메뉴 건너뛰기

close

수산 지곡리 고가의 대문. 지곡리 고가를 찾았을 때 한창 초가지붕 덧입히기를 하고 있었다.
▲ 대문 수산 지곡리 고가의 대문. 지곡리 고가를 찾았을 때 한창 초가지붕 덧입히기를 하고 있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대문채에 마굿간과 방앗간, 그리고 다락이 있는 집. 제천시 수산면 지곡리 웃말에 있던 이집은, 지곡리 마을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집이었다. 충주댐의 건설로 수몰이 되는 것을 1985년 제천 청풍문화재단지 안으로 옮겨 놓았다. 현재 충북 유형문화재 제8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집은, 대문채와 행랑채, 헛간과 안채로 구분이 되어있다.

생활의 지혜가 엿보이는 대문채

초가로 된 대문채의 대문이 싸리문으로 되어있다. 이런 형태의 대문이 있어 그 아름다움을 더한다.
▲ 싸리문 초가로 된 대문채의 대문이 싸리문으로 되어있다. 이런 형태의 대문이 있어 그 아름다움을 더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수산 지곡리 고가의 대문채만큼 특색 있는 가옥도 드물다. 우선은 대문채가 초가로 되어있는 것이야 일반 가옥에서는 많이 볼 수가 있다. 하지만 지곡리 가옥의 대문은 싸리문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문을 열면 바람벽이 있고, 우측으로는 다락이 있다. 다락의 밑으로는 작은 문을 만들어 놓았다. 다락에는 각종 농기구들이 쌓여 있다. 대문채를 최대한으로 이용을 한 지곡리 가옥의 특징이다.

대문채를 나서 안채 쪽으로 들어가 보면 외양간과 방앗간이 대문채의 다락 밑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대문채의 밑으로 난 문은 외양간으로 바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밖에 나가 농사일을 하고 들어 온 소를 안으로 돌아 들어오지 않고, 이 문을 통하여 바로 외양간으로 들어 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생활의 지혜가 묻어나는 이러한 아름다운 집이 있어, 고택의 답사길은 늘 즐겁다.

대문의 안 우측에 다락을 두었다. 각종 농기구 등을 보관한 이 다락이 이 고가의 특징이다.
▲ 다락 대문의 안 우측에 다락을 두었다. 각종 농기구 등을 보관한 이 다락이 이 고가의 특징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안채에서 보이는 대문채. 외양간과 방앗간이 밑에 있고, 위로는 다락을 두었다.
▲ 대문채 안채에서 보이는 대문채. 외양간과 방앗간이 밑에 있고, 위로는 다락을 두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초가로 된 행랑채

지곡리 고가의 대문 안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헛간채가 있고, 초가의 행랑채가 자리를 하고 있다. 행랑채는 사랑채로도 함께 사용을 하였다는 지곡리 고가를 찾았을 때, 한창 초가의 지붕을 새로 입히고 있었다. 초겨울이 되면 초가의 지붕을 덧입히는 것도 큰 일이다. 일꾼들이 모여 짚단을 고르고, 그것을 잘 추려낸 다음 초가에 올릴 용마름을 틀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리가 된 초가는 또 다른 모습으로 다시 태어난다.

- 자형의 이 초가는 사랑채와 같이 사용을 했다고 하지만, 사실은 행랑채로 보아야 할 것이다. 판문을 달은 안채에 붙은 방이 사랑채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행랑채와 마주하고 있는 판문 밖의 안채 방에 툇마루를 달아 놓은 것을 보면, 이 방을 사랑방으로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판문 밖에 있는 행랑채. 사랑채의 용도로 함께 사용을 헀다고 하지만, 사랑채의 기능은 보이지 않는다.
▲ 행랑채 판문 밖에 있는 행랑채. 사랑채의 용도로 함께 사용을 헀다고 하지만, 사랑채의 기능은 보이지 않는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판문으로 막은 안채

지곡리 고가의 또 다른 특징은 판문으로 만들어진 중문이다. 행랑채와 안채의 사이를 막고 있는 이 판문은 일각문 형태로 되어있다. 하지만 그 모습이 특이하다. 전체적으로 보면 솟을문으로도 보인다. 이 문을 판문이라고 부르는 것은 담벼락이 판자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판자로 담벼락을 만들고 그 위에 기와를 얹었다. 이런 형태의 모습이 지곡리 고가의 아름다움이기도 하다.

안으로 들어가면 대청을 가운데 놓고 ㄱ 자형으로 구성된 안채가 있다. 안채는 좌측으로부터 사랑방과 한 칸 대청이 있고, 꺾이는 부분에 윗방과 안방, 부엌을 달았다. 전체적인 집안의 구조로 보아 안채가 협소하기는 하지만, 나름대로 공간 구성을 잘 활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안방의 뒤로 비교적 넓은 툇마루를 놓은 것도 이러한 협소한 공간을 활용한 좋은 예이다.

중문은 판자로 만들어 낸 판문이다. 판자로 담벼락을 막고, 그 위에 기와를 올렸다.
▲ 판문 중문은 판자로 만들어 낸 판문이다. 판자로 담벼락을 막고, 그 위에 기와를 올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ㄱ 자형의 안채는 전체적인 집의 구조로 보아서 비교적 좁게 구성이 되었다.
▲ 안채 ㄱ 자형의 안채는 전체적인 집의 구조로 보아서 비교적 좁게 구성이 되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안반 뒤편에 비교적 넓은 퇴마루를 놓은 것도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안방 뒤편의 툇마루 안반 뒤편에 비교적 넓은 퇴마루를 놓은 것도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판자 담벼락이 아름다운 부엌

지곡리 고가의 가장 아름다운 곳은 바로 부엌이다. 부엌을 비교적 크게 둔 지곡리 고가는 아래 위를 흙으로 막고, 가운데를 전체적으로 판자로 막았다. 부엌이 이렇게 넓거나, 행랑채가 안채에 비해 방을 많이 들였다는 것은, 지곡리 고가의 주인이 비교적 부농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외양간과 방앗간, 그리고 대문채의 다락 등도 이 집의 농사가 많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위와 아래를 흙벽으로 하고 가운데 부분을 판자 담벼락으로 돌린 부엌
▲ 부엌안 위와 아래를 흙벽으로 하고 가운데 부분을 판자 담벼락으로 돌린 부엌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부엌을 밖에서 보면 아름답게 꾸며진 것을 알 수 있다. 돌출이 되는 부분을 만들어 그릇 등을 건조시켰다.
▲ 부엌 뒤 부엌을 밖에서 보면 아름답게 꾸며진 것을 알 수 있다. 돌출이 되는 부분을 만들어 그릇 등을 건조시켰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부엌의 벽은 집 뒤편으로 난 곳을 돌출시켰다. 그리고 돌출된 부분을 까치구멍을 내어 그릇 등을 보관하게 하였다. 까치구멍을 통해 들어 온 바람이 그릇 등을 건조시키는데 일조를 한 셈이다. 지곡리 고가를 돌아보면서 느낀 것은 생활의 지혜가 묻어나는 집이라는 점이다.

좁은 공간을 활용을 한 다양한 연출이 뛰어나다. 이러한 우리 전통가옥의 아름다움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 아쉽다. 고택 답사를 하면서 늘 느끼는 것이지만, 우리 것이 역시 좋은 것이란 생각이 든다. 삶에 정취가 묻어있기 때문이다


태그:#지곡리 고가, #청풍문화재단지, #제천, #유형문화재, #판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