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여자 배구를 대표하는 박미희 씨(39세). 그녀는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에 출전중 북한 선수에게 들었던 말을 아직도 기억한다.'미희? 광주 사태때 괜찮았어? 누구 다친 사람 없었어?'그 북한 선수는 박 선수가 당시 당연히 '오월의 광주'에 있었을 것이라고 짐작한 것. 하지만 당시 박 씨는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이하 '광주여상')에 다니면서 학교 기숙사에서 생활했다. 하지만 1980년 5월 18일, 그녀는 서울에 있었다.대통령기쟁탈 제14회 전국남녀고교배구대회가 20일 오전 경북체와 속초고의 대전을 시작으로 27일까지 장충체육관에서 열전 8일의 경기에 들어간다. (동아일보 1980년 5월 19일자)"늦어도 대회 개막 이틀 전에는 도착해요. 옛날 장충체육관에서 배구대회를 많이 치렀잖아요. 어느 팀이든 늘 가는 숙소가 정해져 있는데, 아직 이름도 기억하네. 우리는 장미여관이란 곳에 머물렀죠."비상 계엄 전국 확대, 문익환 목사 등 각계 민주인사 소요 배후 조종 혐의로 체포, 김재규 사형 확정 등. 연일 각 신문에는 '쿠데타'의 조짐들이 보도되고 있었지만, 10대 소녀들에게는 너무나 거리가 먼 사건들이었다."전혀 못 느꼈어요. 팀 분위기는 좋았던 걸로 기억해요. 중학교를 같이 다녔던 친구들이 8명이나 있었거든요. 하지만 1학년을 주축으로 구성돼 있어서, 우승 전력은 아니었어요. 4강이 목표였던 것 같아요."광주에서는 광주여상말고도 한 학교가 더 대회에 출전하고 있었다. 창단 2년밖에 되지 않았던 송원여고(이하 '송원')는 당시 공격적인 스카우트로 광주여상의 숙적이었던 상대. 개막일, 송원은 부산 남성여고를 세트 스코어 3:0으로 가볍게 따돌린다.다음날 광주여상도 첫 경기에서 태안여상을 3:0으로 누른다. 신군부가 광주상황에 대한 보도를 허용한 날, 어린 소녀들은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승리의 기쁨을 맛보고 있던 바로 그때가 금남로가 피바다가 된 시간일 수도 있다는 것을. 21일은 도청 앞에서 계엄군의 집단 발포가 자행된 날이다.예선 2차전에서 경복여상에게 3:1로 승리한 광주여상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동시에 부전승으로 8강을 통과하는 행운도 갖게 된다. 하지만 22일부터 각 언론이 '광주'를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광주 일원 데모 사태(동아일보)'는 선수들에게 전혀 다르게 다가섰다."시합할 수 있겠냐. 감독님이 더 이상 이런 분위기에서는 안되겠다고 그러시는 거예요. 그래도 저는 부모님이 해남에 계셨는데, 광주에 가족이 있는 친구들은 막 울고. 무서웠어요."결국 광주여상은 일신여상과의 4강전을 기권하고 만다. 이어 송원도 대회를 포기한다. 시합도 못하고, 그렇다고 광주로 돌아갈 수도 없고. 박 씨는 얼마간 지속할 수밖에 없었던 서울 생활을 답답한 시간으로 기억한다."열흘인가 보름 정도? 하여튼 굉장히 오래 있었던 것 같고, 무척 지루하다는 느낌이 남아 있어요. '시합은 시합대로 못했지', 어린 나이에 마음이 안 좋았겠죠. 나중에 얘기를 들어 보니까, 시합은 정말 아무 것도 아니었지만."'창문에다 솜이불 걸어 놨었다, 총소리가 휙휙 날아다녔다'는 친구 어머니. 광주에 있는 자녀를 데려가기 위해 일부러 허술하게 보이려고 차를 이용하지 않고 경운기를 타고 다녀왔다는 해남의 이웃들. 어디에는 죽은 사람들이 많이 쌓여 있었고, 저녁에 몰래 시체를 갖다버렸다더라는 이모님들의 얘기들."그래도 사실 그렇게 피부로 느끼지는 못했어요. 월남전이 얼마나 처참했는지도 잘 모르는 상태였으니까요."김대중 대통령과 함께 있는 사진이 눈에 띄었다. 배구 국가대표팀과 함께 있는 모습. '언제 찍은 거냐'고 물었더니 "88올림픽을 대비해서 훈련할 때, 김 대통령이 태릉선수촌에 찾아 왔었다"고 답한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잖아요? 선수들과 식사도 자주 했던 걸로 아는데..."예, 많았어요. 아시아 청소년 대회에서 1등만 해도 만찬에 초대받았으니까요."- 퇴임할 때까지는 광주가 잘 안 알려졌죠. 저, 이건 대답하지 않으셔도 되는데요. 지금은 전 대통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스포츠를 이용했다는 말은 저도 들었어요. 글쎄요... 거기에 대해서는 뭐 어떻게..."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당시 엘리트 스포츠인 중에 전 대통령으로부터 혜택을 받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렇지만 그녀는 시간이 지나면서 '광주'가 자꾸 마음에 와 닿는다고 한다. "그때 똑똑한 사람들이 많이 죽었다고 하잖아요. 그런 얘기를 들으면 가슴이 아파요. 알게 모르게 피해본 사람이 많잖아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정신적인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도 많구요. 앞장 섰기 때문에..."광주가 아닌 서울에서 보낸 '1980년 오월'. 5.18항쟁에서는 스포츠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느끼게 만든 사춘기 소녀 시절의 특별한 경험. 엘리트 스포츠인으로 박 씨처럼 5.18을 받아들이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다만 이런 생각이 들었다.'광주 사태때 괜찮았던'사람들. 내가 오월의 광주를 받아들이기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이 너무 많다.

5.18과 스포츠
1980년 5월 18일 일요일 저녁,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TV프로를 보고 있었을까. 그것은 박찬희 선수의 WBC 플라이급 6차 방어전이 아니었을까. 당시 '한국 최고의 빠른 테크니션'으로 평가받았던 박 선수는 일본의 도전자 오쿠마 쇼지에게 9차 TKO로 패해 타이틀을 뺏기고 만다.1980년 5월 19일부터 27일자 동아일보를 살펴 보면, 5.18 즈음 굵직굵직한 스포츠 기사들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프로야구가 시작되기 전 최고의 대회 중 하나로 꼽히던 백호기 야구대회. 19일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상은(상업은행)은 롯데를 11:2로 제압, 우승을 차지한다. 허규옥(삼성), 유지훤, 신경식(이상 두산), 하기룡(MBC) 선수등 프로야구 원년 멤버들이 활약했다.`차범근`이란 이름도 사진과 함께 볼 수 있다. "한국의 차범근 선수가 소속해 있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팀은 21일밤 프랑크푸르트에서 거행된 유럽 축구연맹(UEFA)컵 선수대회 결승 2차전에서 차선수의 결정적 어시스트로 서독 1부리그의 숙적 `보루시아 뮌헨그라트바하`팀을 눌러 팀창단 이후 최초의 선수권을 차지했다." (5월 22일자) 모스크바 올림픽 관련 기사도 눈에 띈다. 26일자 동아는 '올림픽 개최 찬반 운동, 미소 서로 승리 주장'이라는 제목으로 "전세계적인 이목을 끌었던 제22회 모스크바 올림픽 참가 엔트리 마감시한인 24일밤 자정이 지난 현재 백악관과 크레믈린 당국은 올림픽 참가 문제를 놓고 세계각국을 상대로 벌였던 찬반양진영으로의 규합운동에 모두 승리했다고 대만족을 표시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같은 날짜에는 "국가대표축구팀 사상 최연소 선수가 탄생됐다. 그는 최순호 선수다. 이제까지 가장 어린 나이로 국가대표가 된 선수는 차범근으로 19년 1개월때이다. 그러나 최순호는 18년 4개월만에...(하략)"라는 기사가 실려 있다.한편, 신군부의 '쿠데타'는 스포츠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전문대학 이상의 휴교령으로 인해 전국대학농구대회와 봄철 대학축구 결승전등은 잇따라 무기 연기됐고, 강원도는 '광주 항쟁'때문에 전국 소년 체전을 6월 10일부터 16일 사이에 개최해 주도록 관계 부처에 건의하기도 했다. 또한 26일 개막한 실업야구 4차리그는 경리단과 상무팀이 '비상사태'로 빠진 가운데 개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