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본문듣기

실험이냐 기만이냐... 전주영화제에서 만난 이 영화에 든 의문

[김성호의 씨네만세 716]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단편경쟁' <분리에 대한 중요한 발견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불안>

24.05.11 11:16최종업데이트24.05.11 11:16
원고료로 응원
영화제 단편경쟁 부문은 영화계의 자산이 어느 수준에 이르렀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가늠자다. 제작비가 적게 들고 촬영기간이 짧은 단편영화의 속성상 신예 창작자들이 제 색깔을 마음껏 펼치는 장이 되기 때문이다.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단편경쟁' 부문에 역대 최다인 1332편의 단편이 출품됐다는 사실은 적어도 양적으로 한국영화의 자산이 팽창해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지난 수년 간 영화계에 닥쳐온 위기, 즉 정부 지원 감축이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극장 및 영화산업의 충격은 이들 신예창작자의 창작욕구를 막지 못한 듯 보인다.
 
이제 남은 건 양이 질을 보장하느냐에 대한 것이다. 더 많은 시도가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20세기 말과 21세기 초 등장한 한국영화의 기수들, 즉 이창동, 박찬욱, 봉준호, 홍상수, 김기덕, 최동훈, 류승완 등 걸출한 일군의 감독들이 등장한 뒤 그만한 재능이 튀어나오고 있는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일각에선 한국영화 창작자들이 동일한 학교 교육을 거치며 과거와 같은 자기만의 색채를 잃어버리고 있는 것이 아닌지를 우려한다. 또 과거에 비해 균일한 교육과정과 문화적 세례를 받은 세대가 자라나고 있다는 점도 이같은 걱정에 무게를 더한다.
 

▲ 분리에 대한 중요한 발견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불안 스틸컷 ⓒ JIFF

 
한국 단편 역대 최다 출품, 경쟁력은?
 
이번 전주국제영화제 한국단편경쟁 부문 경쟁작으로 선정된 작품은 단 25편에 불과하다. 1332편 중 25편이니, 단순 계산해도 각 작품이 5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것이다. 선정 과정에서 전주국제영화제의 지향이 반영됐을 건 자명하다. 영화제 측은 '영화와 창작을 둘러싼 근본적인 의제를 설정하고 나름의 답변을 마련하고자 하는 영화에 주목했다'고 나름의 잣대를 밝혔다. 즉 저만의 작가론을, 최소한 그 씨앗을 발견할 수 있는 작품을 찾고자 했다는 뜻이다. 작가라 부를 수 있는 차세대 영화인을 간절히 기다리는 마음이 그대로 묻어난다.
 
<분리에 대한 중요한 발견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불안>은 전찬우의 20분짜리 실험영화다. 실험영화라 단정하는 것은 관객이 영화의 서사를 자연스레 따르기가 쉽지 않은 탓이다. 영화는 한 연인의 이야기 가운데 어느 모자가 등장해 지나치고 다시 연인의 이야기로 끝난다. 여자와 남자는 관계의 끝에 임박해 있는데, 한 침대에서 나누는 대화가 자못 날이 서 있다.
 
영화의 시작점, 여자의 손에 임신테스트기가 들려 있다. 선명한 두 줄, 임신이다. 여자는 곁에 누운 남자에게 어떻게 할 것이냐 묻는다. 남자는 모르겠다고 확신 없이 답한다. 여자 또한 확신이 없다. 헤어짐을 암시하는 여자에게 남자는 그러나 제가 그녀를 좋아한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그 이상은 모르겠다고. 그들이 처한 상황은 알 수 없는 채로 남자의 무책임과 여자의 확신 없음이 교차한다.
 

▲ 분리에 대한 중요한 발견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불안 스틸컷 ⓒ JIFF

 
이해했다 말하는 이 없는 영화, 가치는 있을까?
 
침대에서 일어나 또 다른 공간으로 걷는 그들. 그들이 집에 도착했을 때 처음 보는 남자아이 집 안에 앉아 TV를 고쳐달라고 말하고 있다. 여자는 상황이 이해되지 않는다. 아이를 내쫓으려 하고 마침내 경찰에 신고까지 한다. 어느 순간 나타난 아이 엄마는 아이와 만난다. 그렇게 그들은 떠나고 남겨진 연인은 이런 저런 별로 중요치 않게 보이는 대화를 이어간다.
 
흑백의 화면 위로 펼쳐진 남녀와 모자의 이야기는 기실 그것이 무엇이 중요한 지 알 수 없게 흘러간다. 그리고 어느 순간 이들이 뱉는 말을 뒤로 돌리고 뭉개어 그것이 무슨 말인지를 알 수 없도록 한다. 도대체 무엇을 보이기 위함인지, 어떤 말을 하려는지 알 수 없는 불가해함이 영화 가득 맴돈다.
 
간신히 버티고 버텼을 누군가가 낮게 코를 고는 소리가 들려오자 곁에 또 다른 이는 허리를 곧추 세운다. 그 곁의 이는 연신 하품을 터뜨리고, 그 애인처럼 보이는 이가 기지개를 편다. 난해함을 넘어 과연 관객과의 소통을 의식하였는지 의심스러운 영상과 소리 가운데 낙오하지 않은 이가 몇이나 있을지를 짐작하기 어렵다.
 

▲ 분리에 대한 중요한 발견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불안 스틸컷 ⓒ JIFF

 
진지한 고민, 집요한 들여다봄... 그러나 실패
 
분명 높은 경쟁률을 뚫고 살아남은 작품이다. 전주국제영화제가 수십 편의 작품을 떨어뜨리고서 <분리에 대한 중요한 발견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불안>을 선정한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그 기회의 교차, 당과 락 사이에서 당을 따낸 이 영화의 불가해함과 자기폐쇄성 가운데 한국 단편영화의 가능성이 어디에 있는지 한참 동안 고심했다.
 
나는 이 영화를 두 차례 감상했다. '한국단편경쟁 6' 가운데 자리한 이 영화를 나는 첫 대면에서 넘는 데 실패하였다. 그러나 이 작품 때문이 아니라 이 영화의 가능성을 넘지 못한다 판단됐을 다른 수십 편의 영화를 위하여 나는 다시 한 번 이 영화에 도전하기로 마음먹었던 것이다. 극장을 빠져나오며 들려오는 작품의 불친절함과 불가해함, 선정자의 의도를 알 수 없음을 비난하는 목소리들 사이로 한 명의 평자로서 이 작품의 가치를 끌어내기 위한 여러 시도를 감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 모두는 철저한 실패로 돌아갔다.
 
나는 이 영화가 어째서 흑백으로 찍어야 했는지를 설명해낼 수 없다. 나는 이 영화가 어째서 서로 관련성 없는 연인과 모자를 교차해야 했는지를, 또 그들이 끝내 서사와 개연성 면에서 납득되지 않는 관계로 흩어져야 하는지를 설명할 수 없다. 나는 또한 이 영화가 소리를 뭉개는 이유 또한 설명할 수 없다. 포스트 모더니즘이 가졌던 일말의 가치, 이성과 합리성의 해체가 가질 수 있었을 유익함은 사라진 지 오래, 이 영화가 지향하는 것과 표방하는 것을 나는 이 영화에 밀려 떨어진 수많은 작품들 앞에 납득시킬 수가 없다.
 

▲ 전주국제영화제 포스터 ⓒ JIFF

 
발자크의 외침
 
영화가 끝난 뒤 GV 자리에서 많은 관객들이 영화를 조금도 이해할 수 없었다고 토로한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심지어는 영화의 주연배우조차 영화를 이해하지 못하였다 실토하였다. '상황은 상황대로, 인물은 인물대로 움직이는 것'이란 감독의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이해한 관객이 있을까를 의심한다.
 
실험영화는 그것이 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이상 무엇을 위한 실험인지를 적어도 증명하려 시도해야 한다. 스스로 안에 잠겨드는 자폐적 콘텐츠가 예술일 수 있는지를 되물어야 한다. 심지어 파격적이지도 독자적이지도 못한 영상은 제목 '분리에 대한 중요한 발견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불안'에서의 '중요한 발견'이 무엇인지도 납득하게 하고 있지 못하다.
 
저 유명한 오노레 드 발자크는 명작 <미지의 걸작> 속 인물의 입을 빌려 예술을 표방하며 자기 안에 갇히길 일삼는 일련의 작가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평하였다.
 
"누구도 안에 감추어져 있는 것에 대해 만족을 표하지 않지. 그걸 잘 알아두라고!"

나는 이 대사보다 이와 같은 작품에 더 적합한 비평을 알지 못한다.
덧붙이는 글 김성호 평론가의 얼룩소(https://alook.so/users/LZt0JM)에도 함께 실립니다. '김성호의 씨네만세'를 검색하면 더 많은 글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전주국제영화제 JIFF 전찬우 한국단편경쟁 김성호의씨네만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작가.영화평론가.서평가.기자.3급항해사 / <자주 부끄럽고 가끔 행복했습니다> 저자 / 진지한 글 적어봐야 알아듣는 이 없으니 영화와 책 얘기나 실컷 해보련다. / 인스타 @blly_kim / 기고청탁은 goldstarsky@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