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안동산불 현장의 긴급벌채로 잘린 나무들이다. 초록 잎사귀를 달고 있는 활엽수들도 잘렸다. 하층에 새로 잎을 달고 자라기 시작한 나무와 풀들이 눈에 선명하게 보인다.
최병성
나무가 없는 산에서는 당연히 비가 오면 산사태가 발생한다. 그동안 산림청은 산불 지역의 나무들을 싹쓸이 벌목한 후 산사태를 방지한다며 계곡마다 커다란 돌들로 사방댐을 쌓으며 혈세를 퍼부어왔다.
환경부는 2003년 1월 배포한 <동해안 산불지역 생태계복원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통해 "소나무림이 산불에 취약한 것은 얇은 수피로 생장점이 쉽게 손상되고, 낙엽이 봄에도 많이 축적되어 있으며 4월에도 잎이 달려있기 때문이다. 활엽수림의 우수한 자연복원력은 산불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산불 이후 움싹(맹아) 등에 의한 재생능력이 높기 때문이다"라며 "인공조림의 경우에는 산불 직후에 산불 피해목 및 움싹 등을 제거하고 조림하는 관계로 토사유출이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산불 후 싹쓸이 벌목을 하지 말고 자연 스스로 복원되도록 기다려 주는 것이 인공조림지보다 종 다양성도 더 좋다고 강조한 것이다.
울진 산불이 커진 이유
산불은 나무의 큰 줄기가 타는 수간화, 그리고 나무 꼭대기까지 타는 수관화, 바닥의 낙엽과 초본류가 타는 지표화, 그리고 땅 속 낙엽 분해물과 뿌리까지 타들어가는 지중화 등으로 구분한다.
울진 산불의 최초 발화지점으로부터 후진산불이 퍼져나간 응봉산 줄기의 산불 모습이다. 산불이 확산된 원인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놀랍게도 산불이 소나무만을 타고 이동했다. 초록색 잎사귀를 달고 있는 것이 소나무다. 잎사귀가 누렇게 보이는 것 역시 소나무다. 산불 열기로 인해 잎사귀가 누렇게 변하는 열화현상으로 죽어가는 소나무다. 소나무 사이에 잎사귀 없는 회색빛 나무들이 활엽수다.

▲산불이 소나무만 타고 이동했다. 활엽수는 멀쩡하다. 소나무는 산불이 타고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 것이다.
최병성
울진 산불이 크게 번진 이유는 소나무가 많은 지형이기 때문이다. 소나무는 불에 잘 탈뿐만 아니라, 소방헬기가 물을 뿌려도 한겨울에도 무성한 잎사귀에 부딪혀 물이 바닥의 산불 진화에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지난 3월 31일 국회서 열린 '산불 정책에 대한 차기 정부의 과제'라는 토론회 축사에서 "지역 특성상 경북·강원지역에 많이 분포하는 소나무림이 산불에 매우 취약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숲가꾸기 사업과 내화수림대 조성을 통하여 산불에 강한 산림조성의 필요성을 느꼈다"라고 강조했다.
지난 90년대부터 수시로 발생하는 동해안 대형 산불로 소나무가 산불에 취약하다는 사실은 이미 모두가 잘 아는 사실이다. 지난 2019년 펴낸 산불 백서에서도 소나무가 동해안 대형 산불의 원인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소나무는 척박한 토양에서 잘 자라고, 활엽수는 거름진 토양에서 잘 자란다. 동해안 지역에 소나무가 많은 이유다. 그러나 동해안 산불 발생 지역에 소나무가 많은 숨겨진 이유가 또 있다. 숲가꾸기뿐만 아니라 송이버섯을 딸 수 있는 송이 숲을 만들기 위해 산림청과 지자체가 수십 년간 활엽수를 베어내고 소나무만을 키워왔기 때문이다.

▲산림청의 송이숲 가꾸기 실시 안내 자료. 송이숲을 만들기 위해 소나무 사이의 활엽수들을 모두 베었다. 이게 산불이 잘 나는 동해안 산림에서 산림청과 지자체가 해온 일이다.
최병성
산림청은 주민들이 송이 숲을 원할 뿐 아니라 토양이 척박해 활엽수가 잘 자라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그동안 동해안에 소나무를 심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임도를 따라 울진 산불 피해지를 조사하다 보니 소나무 사이에 참나무들로 가득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참나무가 자라던 숲을 베어내고 소나무를 심은 것이었다. 활엽수가 자랄 수 없는 척박한 토양이라는 산림청의 말과 달랐다.

▲참나무를 베어내고 소나무를 심은 울진의 산림 현장 모습. 참나무가 잘 자라지 못하는 지형이 아니라, 그동안 송이숲을 만든다며 활엽수를 베어내고 소나무만 키워왔던 것이 산불을 키운 것이다.
최병성
<서울신문>은 2021년 4월 25일자 <송이소나무에 송이가 없다. 하나도>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송이소나무를 통한 자연산 송이군락지 만들기에 15년 동안 매년 수억 원을 쏟아 붓고 있지만, 송이 생산량이 전무하면서 실효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나무로 인한 산불의 대형화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그동안 산림청과 지자체들은 불에 잘 타는 소나무를 심어 송이 하나 따보기도 전에 태워 없어지게 했다. 문제는 지금도 여전히 산불 피해지에 소나무를 심고 있고, 이번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도 긴급벌채 후 소나무를 심는 우를 범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악순환의 고리 끊으려면
산불로 타 죽은 소나무 숲들을 살펴보았다. 숲가꾸기로 나무들을 잘라 바닥에 쌓아둔 것들이 산불을 더 뜨겁게 타오르게 하는 장작더미가 되었다.

▲숲가꾸기로 잘라 쌓아 놓은 장작더미들이 산불을 더 키우는 역할을 했다.
최병성
그런데 숲가꾸기로 잘라 쌓아 둔 장작들이 숯덩이가 될 만큼 그 뜨거운 불길에서도 타지 않은 나무들을 발견했다. 벚나무와 참나무류였다.

▲재가 될만큼 뜨거운 불길 속에서도 벚나무는 타지 않았다.
최병성
환경부가 이미 2003년 보도자료에 지적한 바와 같이 활엽수들은 산불에 강하다. 강원대학교 이시영 교수와 충북대학교 안상현 교수가 2009년 4월 한국방재학회논문집에 실은 '지표화 산불피해지의 수종별 임목 고사율 비교분석'이라는 논문에서도 활엽수가 불에 강하다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산불 피해를 받은 소나무 등 7개 수종의 임목고사율을 조사한 결과,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가 20%로서 가장 적었으며, 리기다소나무 59%, 낙엽송 63%, 해송 70%, 소나무 81%, 잣나무 93%, 삼나무 100%로써 참나무류의 임목고사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시영 교수 등의 조사 결과는 참나무 등의 활엽수는 산불이 지나가도 고사율이 20%에 불과할 만큼 산불에 강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산림청과 경상북도는 참나무 등의 활엽수를 베어내고 소나무 위주의 송이 숲을 조성해왔다. 결국 송이버섯을 따기 위한 송이 숲 조성이 산불의 급속한 확산과 산불 진화 실패의 한 원인이 된 것이다.
숲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르며 계속 변화된다. 키 작은 나무- 소나무- 참나무-서어나무 등으로 변해가는 숲의 변화 과정을 자연 천이라고 한다. 지금 동해안에 소나무가 많아 보인다. 그러나 그동안 소나무 숲이 울창해지면서 척박하던 토양이 비옥해지고, 참나무 등의 활엽수가 살기 좋은 숲으로 서서히 천이과정 중인 것이다. 산림청과 지자체는 송이 숲을 만든다며 천이과정 중에 있는 숲을 인위적으로 교란시켜 산불에 잘 타는 숲으로 만들어 온 것이다.
국내 최대 산불 피해였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은 삼척에서 발생해 울진으로 내려오며 한울원전을 위협했다. 이번 3월 4일 발생한 울진 산불은 이와 반대 방향이었다. 한울원전에서 삼척방향으로 타고 올라가며 2000년 산불 후에 조림한 소나무 숲까지 모두 태웠다.

▲2000년 삼척에서 타고 내려온 산불 후 소나무를 심었는데, 2022년 3월 울진산불이 타고 올라가며 다시 인공조림한 소나무 숲을 태웠다.
최병성
불타 죽은 소나무 숲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지고 있었다. 2000년 산불 후 조림하였으니 벌써 약 20년이 되었다. 그러나 소나무 키가 별로 크지 않았다. 긴급벌채로 싹쓸이하여 영양분이 사라진 숲에선 나무가 잘 자라지 못하는 까닭이다. 곳곳에 여전히 붉은 토양이 노출된 모습이다. 산불 후 긴급벌채 한다며 포클레인이 휘젓고 다닌 후유증이 심각함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미국 콜로라도 주에 있는 로키마운틴 국립공원((Rocky Mountain National Park)의 산불 후 모습이다. 미국은 로키마운틴 국립공원이나 옐로스톤국립공원 등에 대형 산불이 발생했지만 우리처럼 불에 타 죽은 나무를 베어내고 새로 나무를 심지 않았다. 땅 속에 있는 씨앗들이 저절로 나오고, 불탄 재와 나무들을 거름 삼아 쑥쑥 자란다. 불탄 나무를 베어낸 곳보다 그대로 둔 곳의 산림이 더 빨리 복원되는 이유다. 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산불 피해 산림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미국 로키마운틴 국립공원의 산불 후 모습이다. 죽은 나무들을 그대로 두었다. 저절로 나온 어린 나무들이 쑥쑥 자라고 있다.
홍석환
그런데 한국은 산불이 발생하면 산사태를 방지한다는 미명 아래 싹쓸이 벌목하여 벌거숭이산으로 초토화시킨다. 산사태 위험은 몇 배나 더 높아지고, 토양에 영양분이 없으니 새로 심은 나무들이 잘 자라지도 못한다.
산불 후엔 숲의 복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연에 맡겨두는 자연 복원이 더 건강한 숲으로 성장하는 길이다. 국민 세금도 들어가지 않는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도 막대한 세금을 산을 파괴하는데 쏟아 붓고 있다. 경제림으로 육성할 일부를 제외하고는 자연 스스로 복원하도록 맡겨두어야 한다. '자연을 그냥 놔두는 것이 자연을 가장 잘 관리하는 것이다'라는 외국 산림과학자의 말을 깊이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뜨거운 산불이 지나간 지 며칠 뒤 꽃을 피운 노루귀를 발견했다. 산불이 지나간다고 모든 생명이 죽는 것이 아니다. 이제 우리 숲에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야 할 때다.
▲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피어난 노루귀. 희망을 노래하고 있다.
최병성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