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교사들 현장체험학습 거부, 천막농성까지... 왜?

"안전장치 미흡"하다며 거부... 학부모는 교사들 고발, 갈등 고조

등록 2024.05.21 18:44수정 2024.05.21 18:44
1
원고료로 응원
a

21일 현장학습체험 전면 개선을 요구하는 대구교사노조 천막농성 이틀째 모습 ⓒ 대구교사노조


봄철 맞아 학생들의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현장체험학습을 둘러싼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여러 번 제도적인 안전장치 마련을 요구하였지만, 교육당국이 이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자, 교사들이 현장체험학습을 거부하는 양상이다.

경기도 양주시의 A초등학교는 교사들이 체험학습 인솔을 거부하자 일부 학부모들이 교사들을 직무유기와 아동학대로 고발하려고 하는 등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교사노조 등에 따르면, A초등학교는 올해 학교운영위원회(아래 학운위)에서 체험학습계획이 통과돼 현장답사가 진행 중이었으나, 교사들이 '최근 체험학습 중 학생 사망사고로 인해 인솔교사가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재판을 받는 등 불가항력적 사고에 노출된 교사의 심리적 부담이 커졌다'며 '제도적 보호장치가 없을 경우 인솔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양주, 현장체험 거부하는 교사와 학부모 갈등

이에 대해, 학운위 소속 일부 학부모들은 현장체험학습 진행을 요구하며 교사들이 이를 거부할 경우 "교사들을 직무유기와 아동학대로 고소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교사노조는 "학운위가 학교 자율성을 해치고 있다"며 현장학습체험의 강제 진행 중단을 촉구했다.


초등교사노동조합은 21일 성명을 내고 "초중등교육법 32조에 따르면 학운위는 심의기구인데, 현재 A초등학교 학운위의 모습은 학운위의 권한을 넘어선 것"이라며 "학운위는 교사들을 직무유기로 고발하기 전에 교사와 학생의 제도적 안전 장치부터 요구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대구, 학교 자율성 보장 요구하며 전면 개선 촉구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안전보장을 요구하는 교사들의 의견을 묵살하고, 고발 조치 운운하는 것은 교육활동에 심각한 위협"이라며 "교사를 향한 고발 위협이 아닌 경청과 대화의 자세로 문제를 풀어나갈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대구에서는 제도적 안전장치를 요구하는 교사들이 20일부터 대구교육청 앞에서 천막 농성에 들어갔다.

지난 4월 대구교육팔공산수련원에서의 야외 체험학습에 참여했던 6학년 학생이 조리하다가 옷에 불이 옮겨붙으면서 화상을 입은 사고와 관련, 숙박형 체험교실의 전면적 개선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대구교사노조 이보미 위원장은 교육언론[창]과 한 통화에서 "교육청은 사고 이후에 안전지도사 증원을 약속했으나, 텐트 숙박이나 버너 조리 식사는 중단할 수 없다고 한다"고 했다.

그는 이어 "전면적인 텐트 숙박과 버너 조리를 중단하지 않더라도, 학교가 학생의 여건과 수준에 맞는 특색 있는 현장체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교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등 대구형 체험학습을 전면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라고 요구했다.

강원, 학생 사망사고로 인솔교사 과실치사 재판 중

한편, 지난 2022년 강원도 강릉에서 현장체험학습 도중 발생한 초등학생 사망사고와 관련 2명의 인솔교사는 과실치사 혐의로 춘천지방법원에서 재판을 받는 중이다. 이들 교사에 대해 유죄가 선고될 경우,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될 전망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교육전문언론 교육언론[창](www.educhang.co.kr)에서 제공한 것입니다.
#현장체험학습 #대구형 체험학습 #현장체험학습 안전사고 #교육언론창윤두현기자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언론다운 언론, 교육다운 교육 교육언론 독립선언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3. 3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4. 4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5. 5 "청산가리 6200배 독극물""한화진 환경부장관은 확신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