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재의 다른 글 도시화율은 임의 국가의 전체 인구수에 비해서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이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는 지표다. 도시화율이 약 90%인 우리나라의 경우, 2024년 1월말 현재 총 인구 5131만3912(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가운데 4618만2521명이 도시에 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구의 감소는 곧 도시의 축소로 이어지게 된다. 바야흐로 축소시대에 들어섰다. 축소의 시대에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인구이동'에 따른 도시인구의 감소와 이로 인한 도시의 축소현상이다. 우리나라에서 인구의 자연감소(지속적인 저출산으로 인해 출생보다 사망이 더 많음)가 시작된 것은 2020년으로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나타난 도시인구의 감소는 인구의 자연감소 보다는 인구의 이동에 의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인구감소와 인구고령화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도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인구성장이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인구의 이동은 유출되는 도시와 유입되는 도시의 사회, 경제, 문화적인 변화를 주도하게 되며, 도시의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각 지자체가 더 많은 인구를 유입 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람들은 어떤 이유에서 다른 도시로 이동하는 것일까? 인구의 이동은 교육, 직장, 보다 나은 환경 등의 다양한 이유에서 일어난다. 인구학에서는 거주지 이동으로 인해 얻는 이익이 거주지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보다 더 크다고 판단될 때 이주를 결심하게 된다고 인구이동을 설명하고 있다. 산업혁명이 일어났던 19세기의 유럽사회를 살펴보면, 유럽 각국의 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산업혁명은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시의 증가를 가져왔고,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변화가 가장 활발히 나타났던 나라는 영국이었다. 1801년 영국의 잉글랜드와 웨일즈 지역의 인구 2만 명이상의 도시는 17%에 불과했지만, 1891년에는 54%로 증가했다. 당시 영국(잉글랜드와 웨일즈 지역)의 도시화율은 70% 이상으로 유럽에서 가장 높았다. 동일 시기에 프랑스는 37%, 프러시아는 41%, 그리고 미국은 28%에 불과했다. 농촌지역에서 농사만 짓던 이들은 도시로 이주를 한 직후에는 별다른 기술이 없어서 공장에서 단순 노동을 하는 임금 노동자의 생활을 해야 했지만, 궁극적으로 도시에서의 새로운 기회와 보다 나은 미래에 대한 기대에 의존하여 이주를 결정하게 된 것이다. 하버드 대학교의 도시경제학자인 에드워드 글레이저Edward Glaeser교수 또한 <도시의 승리>(Triumph of the City, 2011) 책에서 사람들이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이유가 도시가 제공하는 새로운 기회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특히 빈곤국가일 수록 사람들은 도시로 몰려드는데, 이는 도시가 사람들에게 가난을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의 가난한 지역들에서, 도시들은 엄청나게 확대되고 있다. 이는 밀집된 도시공간이 빈곤에서 벗어나 번영에 이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In the world's poorer places, cities are expanding enormously because urban density provides the clearest path from poverty to prosperity" (p. 2). 우리나라도 6.25 전쟁이후 많은 사람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 특히 서울로 몰려들었다. 1955년 24.5%에 불과했던 도시화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70년도에 50.2%로 총 인구의 50%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1990년도에는 82.7%, 그리고 2010년도에는 90.7%를 나타내 우리나라 대부분의 인구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인구이동의 특징은 지방 중소도시에서 수도권 지역으로, 특정 연령층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2010년과 2020년 사이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을 연령대별로 비교해보면, 2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수도권과 대도시의 경우, 전국 평균보다 낮은 고령인구를 보이고 있지만, 일부 군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청년인구의 유출과 인구고령화의 심화로 '지역소멸'을 경험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커지고 있다. 큰사진보기 ▲그림 1 연령별 수도권으로의 인구 순이동통계청 2020년 기준 청년인구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경기도 지역이 청년인구 383만 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서울특별시(298만 명), 부산광역시(86만 명), 인천광역시(82만 명), 경상남도(81만 명)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의 청년 인구수가 그 이외 지역의 청년 인구수(평균)와 비교하여 약 17배 정도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큰사진보기 ▲그림 2 청년인구 지역별 분포통계청 우리나라에서 지방 중소도시의 소멸 가능성에 대한 위기의식은 2014년 마스다 히로야의 책, <지방소멸>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마스다 히로야는 향후 30년 이내에 '대도시만 생존하는 극점의 사회'가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고용정보원의 이상호 박사는 2016년 마스다 히로야의 연구를 참고하여 2014년 기준으로 79개의 기초자치단체 시군구가 '지방소멸'을 경험할 수 있다는 통계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일본이 겪고 있는 도쿄로의 인구유출로 인해 나타나는 지방소멸의 문제는 현재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지방중소도시 또한 수도권 인구집중으로 인한 청년인구 및 일자리 감소, 고령화 심화로 지역경제의 침체와 지역민들의 생활수준 및 생산기능의 저하가 가속화되고 있다. 전체 국토 면적의 12.6% 밖에 되지 않는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수는 2021년 현재 2,603만명으로 총인구의 절반 이상(50.2%)에 이르고 있어 비수도권 지역의 도시들이 빠르게 축소 혹은 소멸될 위험에 처해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인구감소 #인구이동 #축소도시 #축소시대 추천9 댓글 스크랩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네이버 채널구독다음 채널구독 글 경신원 (swkyung0221) 내방 구독하기 <흔들리는 서울의 골목길>, <엄마 말대로 그때 아파트를 샀어야 했다> 출간, 주택, 도시, 그리고 커뮤니티를 공부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마주한, 다소 낯설지만 익숙해지고 있는 한국의 여러 도시들을 탐색 중 입니다. 이 기자의 최신기사 농장주가 쏘아올린 작은 공, 세계적인 페스티벌로 뻗어나가다 구독하기 연재 축소의 시대, 매력적인 도시로 살아남기 다음글3화코로나로 주춤했던 '수도권 쏠림 현상'... 또다시 시작 현재글2화바야흐로 '축소시대'에 들어섰다 이전글1화떨어지는 출산율과 반대로 가는 곡선... 이것의 정체 추천 연재 이태원 참사 생존자의 이야기 "사과하기 위해 왔습니다" 그날 서점은 눈물바다가 됐다 최병성 리포트 사진에 담긴 진실... 이대로 두면 대한민국 끝난다 김은아의 낭만도시 민박집에서 이런 이불을 덮게 될 줄이야 박병춘의 산골 통신 다리 위에서 결혼식을? 어느 신혼부부의 특별한 이벤트 SNS 인기콘텐츠 "윤 대통령, 매정함 넘어 잔인" 대자보 나붙기 시작한 부산 대학가 [단독] 쌍방울 법인카드, 수원지검 앞 연어 식당 결제 확인 "김영선 좀 해줘라"...윤 대통령 공천 개입 정황 육성 확인 망가진 한국을 구하는 글...나는 왜 가디언에 그렇게 말했나 '신원식·김용현', 왜 위험한가 영상뉴스 전체보기 추천 영상뉴스 '주술사'부터 '서류뭉치'까지... '명태균 게이트' 입 연 제보자 이창수 "김건희 주가조작 영장 청구 없었다"...거짓말 들통 "여긴 너무 좋아요"... 22명 수녀들이 반한 이곳 AD AD AD 인기기사 1 이러다 12월에 김장하겠네... 저희 집만 그런가요? 2 "무인도 잡아라", 야밤에 가건물 세운 외지인 수백명 3 [단독] 쌍방울 법인카드, 수원지검 앞 연어 식당 결제 확인 4 "윤 대통령, 매정함 넘어 잔인" 대자보 나붙기 시작한 부산 대학가 5 악취 뻘밭으로 변한 국가 명승지, 공주시가 망쳐놨다 Please activate JavaScript for write a comment in LiveRe. 공유하기 닫기 바야흐로 '축소시대'에 들어섰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밴드 메일 URL복사 닫기 닫기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취소 확인 숨기기 이 연재의 다른 글 5화저출산, 지역소멸이 저희들 잘못은 아니잖아요 4화50~74세에게 주목해야 하는 이유 3화코로나로 주춤했던 '수도권 쏠림 현상'... 또다시 시작 2화바야흐로 '축소시대'에 들어섰다 1화떨어지는 출산율과 반대로 가는 곡선... 이것의 정체 맨위로 연도별 콘텐츠 보기 ohmynews 닫기 검색어 입력폼 검색 삭제 로그인 하기 (로그인 후, 내방을 이용하세요) 전체기사 HOT인기기사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미디어 민족·국제 사는이야기 여행 책동네 특별면 만평·만화 카드뉴스 그래픽뉴스 뉴스지도 영상뉴스 광주전라 대전충청 부산경남 대구경북 인천경기 생나무 페이스북오마이뉴스페이스북 페이스북피클페이스북 시리즈 논쟁 오마이팩트 그룹 지역뉴스펼치기 광주전라 대전충청 부산경남 강원제주 대구경북 인천경기 서울 오마이포토펼치기 뉴스갤러리 스타갤러리 전체갤러리 페이스북오마이포토페이스북 트위터오마이포토트위터 오마이TV펼치기 전체영상 프로그램 쏙쏙뉴스 영상뉴스 오마이TV 유튜브 페이스북오마이TV페이스북 트위터오마이TV트위터 오마이스타펼치기 스페셜 갤러리 스포츠 전체기사 페이스북오마이스타페이스북 트위터오마이스타트위터 카카오스토리오마이스타카카오스토리 10만인클럽펼치기 후원/증액하기 리포트 특강 열린편집국 페이스북10만인클럽페이스북 트위터10만인클럽트위터 오마이뉴스앱오마이뉴스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