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대전 외국인 이주노동자 종합지원센터에 설치된 무료지과 진료 장비. 재정부담으로 일반 병원에서 사용하지 않는 낡은 장비를 재활용하고 있다.
ⓒ 오마이뉴스 심규상
▲ 19일 열린 대전시 주최로 열린 '국제교류전'에 박성효 대전시장(오른쪽)이 참석해 행사장을 둘러보고 있다. 하지만 대전시는 이주노동자 지원사업은 외면하고 있어 차별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 대전광역시
대전시가 외국인을 위한 각종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 노동자에 대해서는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이 때문에 자치단체 마저 외국인이주노동자에 대해 차별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 해 말 부터 유성 엑스포과학공원 내에 86억원들을 들여 관내 8개 대학(5월말 현재 1145명)에서 유학중인 외국인 학생을 위한 기숙사를 건립하고 있다. 이 건물은 내년 6월 중순 께 준공예정이다. 시는 유학생 기숙사가 준공되면 450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숙소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BRI@시는 또 지난해 7월 대전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교통·의료시설·관광명소 등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체험프로그램 등을 운영을 목적으로 '대전시 국제교류센터'를 설립했다. 시는 위탁운영을 맡은 국제교류문화원에 매년 1억여원을 지원하고 있다.

시는 이 밖에도 '국제화추진협의회'를 구성한 데 이어 '자매도시교류연합회'를 구성해 매년 수천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반면 '대전외국인 이주노동자 종합지원센터'는 외국인노동자에게 지원할 약품이 부족해 발을 구르고 있다. 하지만 자치단체 차원의 지원은 전무하다.

지난해 초부터 중구 은행동에 자리잡은 '이주노동자 종합지원센터'는 연간 20여개국에서 1000여명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글공부 등을 위해 이용하고 있다.

▲ 대전외국인이주노동자종합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날수록 약품부족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오마이뉴스 심규상
특히 이주노동자무료진료소에는 대전은 물론 인근 충남지역에서도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일반 병원은 말이 잘 통하지 않아 진료받기가 불편한데다 불법체류자들의 경우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해 진료비가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지난 2004년 입국한 중국인 이주노동자인 장위국(27·중국 하얼빈)씨는 "다른 일반병원에서 의료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비싼데다 말이 잘 통하지 않아 아파도 참아 왔다"며 "지난 해 말 친구의 소개로 지원센터를 알게 된 후 이곳만을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종합지원센터에는 매주 일요일만을 손꼽아 기다리는 이주노동자들을 위해 치과, 한방, 양방 등의 분야에서 150여명의 자원 의료진과 100여명의 자원봉사자가 순번을 정해 이들을 맞고 있다.

이주노동자 지원센터 "의약품도 부족, 자치단체 관심을"

하지만 운영비 전액을 민간 후원에 의존하다보니 이용 이주노동자가 늘어날수록 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주요 의약품마저 부족해 자원 의료진이 한숨을 자아내고 있다. 의료장비도 민간병원 창고에 쌓여 있던 것을 재활용하고 있다.

무료치과 진료 봉사를 하고 임동진씨는 "치과 장비의 경우 시중 병원에서는 사실상 시용하는 곳이 없는 낡은 것이지만 고가이다보니 새로 구입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며 "때문에 질높은 의료 서비스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안타까워 했다.

▲ 한 외국인 이주노동자가 주말을 이용해 종합지원센터를 찾아 무료진료를 받고 있다.
ⓒ 오마이뉴스 심규상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아직까지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자치단체 차원의 지원계획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행정자치부는 올 초 지방자치단체별로 국제결혼한 외국인 및 이주 노동자 등 국내 장기 거주 외국인에 대한 지원조례 제정과 전담 인력 및 예산 확보 등을 추진키로 하고 지난 10월 '외국인 지원 표준조례안'을 만든 상태다. 즉 연착륙을 도우려고 행정자치부 등이 나서고 있지만 실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정책이 겉돌거나 더뎌지고 있는 것.

대전외국인이주노동자 종합지원센터 김봉구 소장은 "이주노동자들의 경우 내국인이 꺼리는 3D업종에서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갑근세 등 세금을 내고 있음에도 아무런 혜택을 받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이어 "대전시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자치단체 일아 아닌 노동청 소관이라며 외면하고 있다"며 "민간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자치단체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해 초 문을 연 대전외국인 이주노동자종합지원센터에서는 대전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무료지료센터 및 대전 국제결혼 이주여성지원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 이주 노동자의 경우 대전지역 5000여명, 충남 지역 2만5000여명 등 모두 3만 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 건강위해 후원의 손길을..."

▲ 한글 자원봉사단이 외국인 이주노동자를 상대로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에게 무료 진료사업을 펼치고 있는 '대전외국인이주노동자 종합지원센터'가 시민들의 후원을 바라고 있다.

이 곳은 150여명의 자원 의료진과 100여명의 자원봉사자가 매주 일요일 마다 30~50여명의 이주 노동자들을 맞고 있다.

이 단체는 후원금에만 의존해 오고 있지만 최근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약품은 물론 운영 경비가 턱 없이 부족한 상황.

겨울이 되면서 난방비 등으로 운영비가 늘어나면서 적자 폭도 커지고 있다.

종합지원센터 김봉구 소장은 "의지할 곳이 없어 인근 충북 등에서 일부러 이곳을 찾아 온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에게 약품 부족 등으로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어 마음이 아프다"며 후원의 손길을 요청했다.

이를 위해 오는 25일 오후에는 창립 4주년 기념식을 겸한 '후원의 밤' 행사도 예정하고 있다.

재정적 후원 외에 자원봉사 활동도 절실한 상황이다. 이 곳에서는 매주 일요일마다 수 십여명의 한글 자원봉사단이 10여개국 100여명의 이주노동자와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4개월 째 네팔 노동자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있는 김연선(26)씨는 "한글 자원봉사의 경우 해당 국가의 언어를 전혀 몰라도 무방하다"며 "특히 일대일 교육이 효과가 큰 만큼 많은 시민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후원문의/ 042-631-6242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