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하라 구경의 시작점은 아르크 성이었다. 부하라 왕국의 왕이 살던 곳이라는 이 성은 7세기 경에 만들어졌다고는 하지만 현재의 양식은 16세기에 이루어진 것이다. 정면에서 바라본 성의 모습은 황토색 벽돌로 매끈하게 쌓은 모습이었다. 별다른 장식이나 채색없이 부드러운 이 성의 전경은 사막에서 마주치는 모래언덕을 연상시키고 있었다.

▲ 아르크 성의 전경
ⓒ 김준희
아르크 성의 내부는 전시공간과 기념품 가게로 변해 있었다. 입장료는 4400 숨(숨은 우즈베키스탄의 공식화폐단위, 1숨은 한화 약 1원). 성의 정문을 통해서 들어가니 통로의 양옆은 기념품 가게다. 그곳을 빠져나오니까 널찍한 공간이 있고 여러 개의 전시실이 있고 그곳을 구경하는 서양인들이 보였다.

전시실을 하나하나 구경해보았다. 기원후 1-2세기에 사용했다는 흙 도자기와 녹슨 철검들을 포함해서 많은 유물이 있었다. 사람 키 만한 러시아 사모바르가 있고 화려한 색의 도자기와 접시, 전통악기가 있었다.

그리고 무기가 있었다. RPG 게임에 나올 듯한 큰 활과 창, 도끼와 대포 그리고 대포 알이 있었다. 큰 사과 크기의 대포알부터 내 머리만한 크기의 대포알까지 다양한 크기의 대포알이 전시되어 있었다.

다른 전시실에는 코란이 전시되어 있었다. 큰 방 하나가 코란으로 덮여 있었다. 코란의 크기도 천차만별이었다. 영어사전 크기만한 코란에서부터 피아노 악보를 연상시키는 크기의 코란까지 다양한 크기였다.

전시실을 둘러보고 나와서 성의 곳곳을 돌아다녀 보았다. 아르크 성에 오르면 시내를 바라볼 수 있다고 하기에 나도 그 기대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성의 정면에서 보는 시내는 구시가지의 반대방향이었다. 구시가지에 있는 돔과 미나레트를 보려면 성의 뒤쪽으로 가야만 한다. 하지만 뒤쪽으로 갈 수 있는 길은 없어 보였다.

어딘가 길이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돌아다녀 보았지만 뒤쪽으로 통하는 길은 모두 막혀 있었다. 그렇다면 성의 뒤쪽으로는 갈 수 없다는 말인가. 반쯤 포기한 상태에서 성 한쪽의 의자에 앉아서 쉬고 있던 나에게 행운이 찾아왔다. 역시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는 법. 한 경찰이 다가오면서 나에게 말했다.

"곤니찌와!"

난 그 경찰을 바라보면서 서툰 러시아어로 말했다.

"야뽀니야 니예트, 까레야(일본인이 아니라 한국인)!"

그 경찰은 "까레야!" 하고 내 옆에 앉더니 내가 들고 있던 지도를 보면서 러시아어로 뭐라고 말을 했다. 하지만 난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난 그 경찰에게 성의 뒤편을 가리키면서 그쪽으로 갈 수 없느냐는 시늉을 해보였다. 경찰은 웃으면서 1달러를 내면 자기가 데려다 주겠다고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다른 경찰들처럼 이 경찰도 박봉의 월급을 이런 식으로 보충하고 있었다. 왠지 부정한 일을 하는 것 같아서 찜찜했지만 이번 기회가 아니면 언제 성의 뒤편으로 갈 수 있으랴. 난 1달러에 해당하는 우즈베키스탄 지폐 1000숨을 경찰에게 주고 그를 따라 나섰다.

경찰은 성의 뒤쪽으로 통하는 철제문으로 날 데려갔다. 주위를 한번 둘러보더니 철제문을 감고 있던 쇠사슬 자물쇠를 열고 나에게 들어가라는 손짓을 했다. 난 더위도 잊은 채 카메라를 메고 걸어서 성의 뒤편으로 나아갔다.

성의 뒤쪽은 폐허였다. 성의 앞쪽이 벽돌로 만들어진 매끈하고 견고한 모습이라면, 성의 뒤쪽은 마치 사마르칸드의 아프라시압 언덕을 연상시키는 모습이었다. 단단한 흙과 군데군데 솟아 있는 메마른 풀들. 그리고 부서진 벽돌 구조물들. 왜 뒤쪽을 관광객들에게 공개하지 않는지 이해가 되었다.

▲ 부하라의 전경. 가운데 탑이 칼랸 미나레트
ⓒ 김준희
그곳에서는 부하라의 구시가지가 보였다. 칼랸 미나레트와 굼바스와 칼랸 성원의 푸른 돔이 파란 하늘 아래에서 빛나고 있었다. 카펫 바자르에서 팔고 있는 거대한 카펫과 길을 걷는 사람들의 모습도 보였다. 조금 전의 찜찜했던 기분은 사라지고 더위도 신경 쓰지 않은 채 난 그 광경을 보면서 사진을 찍었다.

▲ 46m 높이의 칼랸 미나레트
ⓒ 김준희
아르크 성을 나와서 근처에 있는 노천카페에서 밥을 먹고 칼랸 성원으로 향했다. 이곳은 칼랸 성원과 그 앞에 있는 칼랸 미나레트(첨탑)로 유명한 곳이다. 특히 12세기에 만들어진 칼랸 미나레트는 부하라의 상징과도 같은 탑으로 46m의 높이라고 한다. 가까이 다가가서 본 그 탑은 사진에서 보던 것보다 더 웅장하고 높게 느껴졌다.

13세기에 이곳에 쳐들어왔던 칭기즈칸은 이 탑을 보고 감명을 받아서 파괴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또 이 탑은 '죽음의 탑'으로도 유명하다. 부하라의 왕이 사형수를 자루에 담아서 이 탑의 꼭대기에서 던져서 처형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니 부하라의 많은 건물들은 모두 황토색이었다. 단지 몇몇 돔들만 푸른색이고 아르크성도 칼랸 미나레트도 굼바스도 황토색이다. 황량한 평원 근처에 만들어진 오아시스 도시라서 그런지 건물들의 색도 모두 황토색 모래벌판을 연상하게 한다.

입장료 700 숨을 내고 들어간 칼랸 성원 자체는 큰 볼거리가 없었다. 사마르칸드의 비비하님 성원 못지않게 커다란 성원인 이곳의 내부에는 나무 한 그루가 있는 넓은 뜰이 있고 그 뜰 사방으로 기둥이 많은 회랑이 있다. 그곳에서는 몇몇 무슬림들이 기도를 하고 있었다.

▲ 칼랸 성원 내부의 뜰
ⓒ 김준희
햇볕을 피해서 회랑 한쪽에 앉았다. 칼랸 성원 앞에는 카펫 시장이 있고 그 옆으로 공예품과 기념품을 파는 많은 노점상들이 있다. 당연히 그곳을 통과해서 라비하우스로 가다보면 수많은 상인들과 아이들이 다가와서 물건을 사라고 하고, 어떤 아이들은 아이스크림을 사달라고 따라오기도 한다. 하지만 이 성원 안쪽은 조용하다. 상인도 없고 아이들도 없다. 보이는 것은 햇볕과 나무 한그루와 푸른 돔뿐, 들리는 것은 무슬림들의 기도소리뿐이다.

▲ 칼랸 성원 맞은 편의 미리아랍 메드레세
ⓒ 김준희
저녁이 되어서 다시 라비하우스로 오니 그 주위에서는 무슨 행사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고 보니까 오늘은 우즈베키스탄의 독립기념일인 9월 1일. 타슈켄트와 사마르칸트에서는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하고 있을 시간이다. 부하라의 구시가지에서도 거기에 맞춰서 독립기념행사를 하는 것 같았다.

하지만 역시 부하라는 작은 곳이라서 그런지 행사라기보다는 잔치같은 분위기다. 따로 마련한 무대장치도 없고 현수막도 없다. 단지 평소보다 좀더 많은 사람들이 모였고 좀더 많은 음식들이 준비되어 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나스레딘 호자의 동상 주위에서는 짙게 화장을 하고 화려한 복장을 한 가수와 무용수가 나와서 노래를 하며 춤을 추고 있었다. 반면에 라비하우스의 다른 편은 마을 사람들이 주로 모여서 노래와 춤을 추는, 마치 마을 잔치 같은 그런 분위기였다.

난 그 마을잔치 쪽을 가보았다. 이곳은 마을아이와 어른들의 무대였다. 어설픈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아이들이 나와서 노래에 맞춰서 춤을 추고 도복을 입은 아이가 나와서 태권도 시범을 보이고 있었다.

▲ 라비하우스 옆의 독립기념축제
ⓒ 김준희
언제 연습을 했는지 대여섯명의 아이들이 보조를 맞추어서 함께 춤을 추는가 하면, 머리를 예쁘게 땋아 올린 어린 아이도 무대를 뛰어다니며 춤을 추고 있었다. 주변의 노천카페에는 많은 현지인들이 앉아서 그 모습을 보면서 음식을 먹고 있다. 평소와는 달리 오늘은 술을 팔지 않는지 카페의 테이블에 술은 보이지 않았다.

한쪽에 서서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한 여인이 다가와서 테이블을 가리키며 앉으라고 권유했다. 현지 노인들이 주로 앉아 있는 자리에 내가 앉으려니 왠지 어색했지만 못이기는 척 앉았다. 테이블에는 빵과 삼사와 챠이와 케이크가 있었다. 나도 음식을 먹으면서 그 잔치를 바라보았다. 어느새 무대 주위에는 많은 현지인들이 둥그렇게 모여서서 박수를 치며 아이들의 춤과 노래를 보고 있었다.

▲ 부하라의 학생들
ⓒ 김준희
저녁 7시 30분이 넘어가면서 이 무대는 온통 춤판으로 변해버렸다. 노래와 춤을 즐기는 민족답게 아이 어른 할 것없이 음악에 맞추어서 모두 뒤섞여 춤을 추기 시작했다. 이미 어두워진 마을에서는 메드레세 너머로 별이 보인다. 술 한 잔 마시지 않은 사람들이 흥겹게 춤을 추고 있고, 덕분에 술 한 잔 마시지 못한 나도 덩달아서 즐거워졌다.

옆 테이블에 앉아 있는 할머니는 내가 한국에서 왔다니까 내게 연신 음식을 권했다. 그때마다 넙죽넙죽 받아먹었지만 배가 부른지조차 모르겠다. 학생처럼 보이는 사람들이 와서 나에게 사진을 찍어달라고 하고, 전통복장을 입은 젊은 우즈베키스탄 여인이 함께 춤을 추자고 권유한다. 왠지 오늘이 지나고 나면 모든 부하라 사람들과 친해져 있을 것 같은 그런 밤이다.

덧붙이는 글 | 2005년 7월 부터 10월까지 4개월간 몽골-러시아(바이칼)-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키르키즈스탄을 배낭여행했습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