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태흠 충남지사가 13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김영환 충북지사의 친일발언 대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김태흠 충남지사가 13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김영환 충북지사의 친일발언 대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방관식

관련사진보기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김영환 충북도지사의 '기꺼이 친일파 되련다' 발언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오는 16일 충남도에서 '일일 지사'로 활동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안(제3자변제안)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나온 '기꺼이 친일파가 되련다'는 발언에 대해 공무원노조가 비판 성명서를 발표하고, 일부 언론이 취재거부 의사를 밝히는 등 여론이 악화하자 방문을 취소했다.

지난 13일 아산시에서 열린 베이밸리 메가시티 기자간담회에서 '김영환 충북지사에 대해 할 이야기가 없느냐?'는 질문을 받은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김영환 지사에게) 지난 토요일 교차 일일도지사는 추후로 미뤄야겠다는 연락이 왔다"면서 말문을 열었다.     
 
▲ 김태흠 지사, 친일발언 옹호도 비판도 못했다
ⓒ 방관식

관련영상보기

 
김 지사는 "한일간 강제징용 문제 해법에 대해 여야 정치권과 국민들 입장에서도 시각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며 "36년 동안의 식민지배와 일본이 우리 한민족에게 한 일은 잊지 말아야 한다는 부분은, (정부안에 대한 찬반이) 갈라져 있는 상황이라도 밑바탕은 똑같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법적인 측면에서 의견 차이가 있지 않나 싶다"면서 "미래를 바라보는 입장, 한반도가 처해 있는 여러 가지 상황, 대외적인 부분과 경제적인 부분 등을 고려해 윤석열 대통령이 그러한 방향(강제징용 관련 제3자 변제 방식)으로 정한 것은 고육지책의 해법이 아니었나 한다"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국무총리실에서 과장으로 근무 당시의 상황도 소환했다. 김대중 대통령 취임 후 일본 문화 개방과 천황의 한국 방문 등을 추진하는데 일본 문화가 한국 문화를 지배할 수 있다는 비판적인 부분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끝으로 김 지사는 "서로 간의 극단적인 표현으로 생각을 달리하는 부분을 공격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국익이나 미래에 대한 올바른 방향이냐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청뉴스라인에도 실립니다.


태그:#김태흠지사, #친일발언, #김영환 충북지사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지역 소식을 생생하게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해 언론의 중앙화를 막아보고 싶은 마음에 문을 두드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