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전 5개 구청장 협의회는 7일 오전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 정상추진을 촉구했다. 사진 왼쪽 부터 박희조 동구청장, 김광신 중구청장, 서철모 서구청장, 정용래 유성구청장, 최충규 대덕구청장.
 대전 5개 구청장 협의회는 7일 오전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 정상추진을 촉구했다. 사진 왼쪽 부터 박희조 동구청장, 김광신 중구청장, 서철모 서구청장, 정용래 유성구청장, 최충규 대덕구청장.
ⓒ 대전 서구

관련사진보기

 
2023년 시작되는 방위사업청(방사청) 대전 이전 예산 일부가 국회 국방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에서 삭감된 것과 관련, 대전 5개 구청장이 삭감 철회를 촉구했다.

지난 4일 국방위 예결소위는 방사청 대전이전 예산 210억 원 중 90억 원을 삭감했다. 이에 대해 이장우 대전시장을 비롯한 대전시의회 여야 의원, 시민단체 등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고, 대전 전 지역에는 예산 삭감 철회를 촉구하는 플래카드가 곳곳에 내걸렸다.

이러한 가운데 대전 5개 구청장협의회(회장 서철모 서구청장)는 7일 오전 대전시청 브리핑 룸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최근 수도권 일각에서 일고 있는 방위사업청 이전 관련 예산 삭감 등 대전 이전 반대 움직임에 대해 145만 대전 시민과 함께 심각한 우려와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지역균형발전에 반하며 지방자치의 근간마저 흔드는 것으로, 중기부 세종 이전에 따른 상실감과 박탈감이 채 회복되지 않은 대전 시민에게 다시 한 번 깊은 상처를 주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이들은 또 "지난 8월 정부는 많은 고심 끝에 국방산업의 최적지인 대전으로 방위사업청 이전을 확정하였고, 안정적 정착과 운영을 위해 단계별 이전 계획을 마련했다"며 "1700명에 이르는 대규모 조직의 단계별 이전은 불가피한 선택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중앙 정치권에서는 납득할 수 없는 사유로 관련 예산을 반토막 내어 지역민의 염원을 철저히 외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삭감된 방위사업청 이전 예산을 당초 원안대로 전액 유지하고, 이전 반대 조장 행위를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이들은 "앞으로 지역을 분열시키고 대전 시민을 우롱하는 사태가 반복될 경우, 더 이상 좌시하거나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 예산 삭감 즉각 철회 ▲방위사업청 단계적 이전과 안정적 정착 적극 지원 ▲대전을 방위산업의 메카 조성 등을 촉구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사업인 방사청 대전 이전은 국토부가 지난 8월 30일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전 이전 공공기관으로 고시하면서 확정됐다. 방사청은 연간 예산 17조원에 직원이 1600명에 달하는 대형 공공기관기관이다.

이에 따라 방사청은 내년 상반기 청장과 차장실, 국방기술보호국 등 지휘부를 포함한 230여명이 우선 대전으로 이동할 예정이며,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3년도 정부 예산(안)'에 방사청 대전 이전 및 설계비 210억 원이 포함됐으나 국방위 예산심의 과정에서 90억 원이 삭감됐다.

태그:#방위사업청대전이전, #방사청이전, #대전구청장협의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