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선일보의 26일 자 기사 '뜨개질·파티까지 돈 대준 '박원순 서울시'... 100억 펑펑'
 조선일보의 26일 자 기사 "뜨개질·파티까지 돈 대준 "박원순 서울시"... 100억 펑펑"
ⓒ 조선일보

관련사진보기

  
나는 <조선일보>에서 언급한 "박원순 서울시가 뜨개질에 돈을 대준" 주민이다.

26일자 < 조선일보>는 '뜨개질·파티까지 돈 대준 '박원순 서울시'... 100억 펑펑'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박 전 시장의 '마을 생태계' 사업을 비판했다.

'마을생태계를 조성한다며 예산 퍼주기 주민공모 사업'으로 시작된 서울시 중랑구 망우본동 마을공동체 이야기를 <조선일보>에 들려주고 싶다.

망우본동의 마을이야기는 100만 원. 딱 100만 원으로 시작됐다. 서울시는 5인 이상 주민이 모이면 모임을 지원한다고 했다. 그게 2016년이었다. 주민 스스로 모임을 기획했다.

우리는 우쿨렐레도 했고, 뜨개질도 했다. 수채화도 했다. 나중에는 서울시에서 지원하지 않아도 걷기 모임, 요가 모임, 캘리그라피 모임, 그림책 모임, 여행 모임 등 자발적인 주민모임, 즉 스무 개의 자조모임이 피고 지는 꽃처럼 생겨났다.

당시 우리는 포스터와 현수막을 만들었다. 2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주민들을 모았다. 재능 나눔으로 강사를 섭외했다. 장소도 빌렸다. 재료를 구입하여 공동으로 나눠 쓰고, 빌려 쓰고, 모자라면 돈을 거두었다.

함께 뜨개질로 수세미와 머리핀을 만들어 마을장터와 마을축제에 나가 전시회도 하고 물건도 팔았다. 판매수익을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위해 장학금으로 내놓았다.

제출 서류만 한가득, 인건비는 0원
 
서울시 주민 공모 사업으로 시작된 망우본동 마을생태계 조성은 마을공동체,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00만 원 이웃만들기 사업은 이후 망우만끽 마을장터와 200만 원 마을축제로 이어졌고, 5년째 2천여 명의 마을주민이 모이는 꽃망우리 마을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서울시 주민 공모 사업으로 시작된 망우본동 마을생태계 조성은 마을공동체,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00만 원 이웃만들기 사업은 이후 망우만끽 마을장터와 200만 원 마을축제로 이어졌고, 5년째 2천여 명의 마을주민이 모이는 꽃망우리 마을축제로 자리매김했다.
ⓒ 박영윤

관련사진보기

  
서울시 주민 공모 사업으로 시작된 망우본동 마을생태계 조성은 마을공동체,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00만 원 이웃만들기 사업은 이후 망우만끽 마을장터와 200만 원 마을축제로 이어졌고, 5년째 2천여 명의 마을주민이 모이는 꽃망우리 마을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서울시 주민 공모 사업으로 시작된 망우본동 마을생태계 조성은 마을공동체,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00만 원 이웃만들기 사업은 이후 망우만끽 마을장터와 200만 원 마을축제로 이어졌고, 5년째 2천여 명의 마을주민이 모이는 꽃망우리 마을축제로 자리매김했다.
ⓒ 박영윤

관련사진보기

 
모임을 가지며 이런 저런 수다도 떨면서 세상에 공짜가 어딨냐, 나랏돈에는 다 꼬리표가 붙어 있다고 했다.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너무 많았기 때문이었다. 공무원도 아닌데 증빙서류가 끝도 없었다. 매번 강의계획서를 써야 했고, 수업이 끝나면 결과보고서도 제출해야 했다.

돈을 쓸 때마다 영수증을 첨부해 정산보고도 따로 해야 하니 차라리 돈을 쓰지 않는 편이 마음 편했다. 게다가 활동에 대한 인건비는 전혀 없었다. 미칠 노릇이었다. 서류에 질려 나가떨어지는 주민도 있었다.

그럼에도 만 5년을 꼬박 마을 활동을 했다. 꿈을 현실로 만드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마을에서 만나 함께 꿈을 꾸는 게 행복했다.

70대 할머니가 잊었던 화가의 꿈을 떠올리고, 30대 화가가 70대 할머니의 그림 작업을 돕는 것, 청년이 가난한 장애노인을 돌보는 것, 대기업 중년 남성이 마을 장터에서 봉사하는 것, 일용직 노동을 하는 주민이 마을의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 식당을 하는 아주머니가 공동체 정원 식물에 물을 주시는 모습 등 어느덧 우리는 서로가 서로에게 기대고 있었다.

주민의 이름으로
 
  
서울시 주민 공모 사업으로 시작된 망우본동 마을생태계 조성은 마을공동체,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00만 원 이웃만들기 사업은 이후 망우만끽 마을장터와 200만 원 마을축제로 이어졌고, 5년째 2천여 명의 마을주민이 모이는 꽃망우리 마을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서울시 주민 공모 사업으로 시작된 망우본동 마을생태계 조성은 마을공동체,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00만 원 이웃만들기 사업은 이후 망우만끽 마을장터와 200만 원 마을축제로 이어졌고, 5년째 2천여 명의 마을주민이 모이는 꽃망우리 마을축제로 자리매김했다.
ⓒ 박영윤

관련사진보기

 
100만 원으로 시작된 이웃 만들기 모임이었지만, 이웃이 되어가고 공동체가 되어가면서 "주민의 이름으로" 모두 평등하다는 것을 경험했다. 일터에서는 각자 교수, 교사, 화가, 목수, 백수, 만화가, 성우, 회사원, 사회복지사, 연구원, 택배노동자, 학생, 건설노동자, 자영업자, 공무원 등 직함으로 활동하지만, 삶터로 돌아와 주민이 되고 이웃으로 연결되어 마을에서 살아간다.

박원순의 마을생태계 조성은 그에 대한 확인이었다. 있지만 없었던 이웃. 관계성과 공동체성을 담보한 이웃. 망우본동에서 100만 원의 실험으로 이웃들이 등장했고 연결되었다. 마을장터와 마을축제가 열렸고, 공동체로 이어졌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는 징검다리교육공동체 사무처장입니다.


태그:#조선일보, #박원순, #뜨개질
댓글13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