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5월 3일 오후 서울시청 주변에 공유 자전거 따릉이 대여소와 자전거 도로가 설치돼 있다.
 5월 3일 오후 서울시청 주변에 공유 자전거 따릉이 대여소와 자전거 도로가 설치돼 있다.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이후 전임 시장 역점 사업 가운데 하나였던 공유 자전거 '따릉이'도 위기에 처했다. 주요 경제지들이 적자 문제를 내세워 공공 자전거도 민간 영역에 맡겨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국경제>(아래 한경)는 지난 4월 29일 "서울시 '따릉이' 1년에 100억 까먹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따릉이의 이용자 수와 사업규모가 매년 늘어나면서 사업과 관련된 예산 투입과 자전거 안전 문제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면서 "특히 적자폭이 1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일부 이용자를 위한 과다 적자라는 의견과 성공적인 공공정책이라는 평가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매일경제>도 지난 3월 28일 "민간영역 침범한 서울시장 공약들"이란 기사에서 "(따릉이는) '달릴수록 적자'라는 오명이 붙어 지난해 적자가 100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된다"면서 "특히 동종 민간 기업이 설 자리를 원천적으로 틀어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과연 이들 언론 보도대로 '따릉이'가 비효율적인 사업인지 따져봤다.

서울시민 10명 중 3명 이용... 적자 늘었지만 건당 운영비 감소 추세

따릉이가 매년 적자를 내고 있는 건 사실이다. 서울시가 지난 4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따릉이 사업은 99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요금 수입이 2019년 90억 원에서 118억 원으로 28억 원(31%) 늘었지만, 운영비(실집행액)도 180억 원에서 217억 원으로 37억 원(21%)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 2015년 시작한 따릉이 사업의 적자는 2016년 25억 원, 2017년 42억 원, 2018년 67억 원, 2019년 90억 원으로 계속 증가했다. 이렇게 적자가 매년 늘어난 이유는 서울시가 2017년 이후 자전거와 대여소 확대와 관리 등에 매년 200억~300억 원씩 예산을 투입했기 때문이다. 덕분에 지난 2015년 당시 자전거는 2000대, 대여소는 200곳이었지만, 2020년 현재 자전거 3만 7500대, 대여소 2228곳으로 각각 19배, 11배 늘었다.
 
최근 5년간 서울시 따릉이 사업 연도별 적자 현황(위)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따릉이 사업 운영 현황(아래). (출처 : 서울시가 지난 4월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
 최근 5년간 서울시 따릉이 사업 연도별 적자 현황(위)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따릉이 사업 운영 현황(아래). (출처 : 서울시가 지난 4월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
ⓒ 서울시

관련사진보기

 
초기 일부 자치구로 제한됐던 사업이 서울시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이용자 수도 급증했다. 2015년 회원수는 3만 4천 명, 이용건수 11만 건에 그쳤지만, 2020년 연간 회원수 106만 명, 이용건수는 2370만 건으로 각각 30배, 200배 늘었다. 지난 6년 누적 회원수는 279만 명, 누적 이용건수는 5960만 건으로, 서울시민(2020년 말 기준 약 967만 명) 10명 중 3명이 회원으로 가입해 1인당 평균 6건 정도 이용한 셈이다.

여기에 힘입어 따릉이는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연속으로 '시민들이 공감하는 서울시 정책순위' 1위로 뽑혔고, 지난 2018년 서울시 공유 정책 사업들 가운데 만족도도 93.9%로 가장 높았다.

서울시 "2000원 넘던 건당 운영비 917원으로 줄어"  
   
서울시 공공자전거팀 담당자는 3일 <오마이뉴스>와 전화 통화에서 "따릉이 전체 이용건수가 늘면서 운영비용이 증가한 건 맞지만, 이용건수 대비 운영비용은 2018년 건당 1191원에서 2020년 917원으로 감소했다"면서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면서 운영 효율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앞으로 수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따릉이 이용건수가 계속 증가하면서 2016년 2123원에 달했던 건당 운영비는 2017년 1388원, 2018년 1191원, 2019년 944원, 2020년 917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경제지들이 이용자 수 증가에 따라 건당 운영비가 감소하는 '규모의 경제'를 외면한 셈이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단순히 운영 수지 적자나 흑자 같은 수익 개념보다는 시민에게 제공하는 교통 복지 차원에서 생각해야 한다"면서 "시민들이 자전거를 타면서 건강해지고 탄소 배출 제로화로 환경도 좋아지는 등 편익 창출 측면도 함께 봐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공공자전거는 교통복지... 환경 등 사회적 편익도 함께 따져야"
 
지난 2020년 7월 24일 오전 서울 광화문역 주변 따릉이 대여소.
 지난 2020년 7월 24일 오전 서울 광화문역 주변 따릉이 대여소.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신희철 한국교통연구원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 본부장은 "공공 자전거는 일종의 교통복지"라면서 "경제적 효율성만 따지면 적자로 볼 수 있지만, 자가용 대신 자전거를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건강 편익, 교통 혼잡 감소, 온실가스 배출 감소 같은 사회적 편익도 함께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 자전거 사업을 민간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신 본부장은 "따릉이 사업은 이미 잘 정착돼 민간보다 공공에서 운영하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한다"면서 "민간 영역으로 넘기면 적자 문제는 사라지겠지만 (이용요금 증가에 따른 이용률 감소로) 기대 효과는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최화영 서울환경운동연합 기후에너지팀 활동가도 "공공 자전거가 기후위기 시대 시민들이 자동차 대신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비용 문제보다는 (친환경이란) 의미를 함께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서울시 자전거 관련 예산이 따릉이 사업에 집중돼 있는데, 앞으로는 사람들이 자전거를 더 안전하게 탈 수 있는 인프라에도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태그:#따릉이, #공공자전거, #공유자전거, #서울시
댓글38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