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9일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청년여성 1인 가구 지원 방안 모색’ 토론회.<광주시의회 제공>
 9일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청년여성 1인 가구 지원 방안 모색’ 토론회.<광주시의회 제공>
ⓒ 광주드림

관련사진보기

"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는 사회적 변화와 함께 우려도 낳고 있다. 특히 청년여성 1인가구는 장기간의 취업준비기간, 성별임금격차 등 노동시장 성차별로 인해 독립과 생활안전의 기반이 불안정하다."

광주지역 청년여성 1인가구의 주거안전 실태를 점검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가 지난 9일 오후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가운데 광주시의회가 지원 조례를 제정키로 했다.

주제 발제를 맡은 박주희 광주여성재단 연구원은 "청년여성 1인가구는 장기간의 취업준비 기간과 고용 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등 고용시장 성차별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원에 따르면 광주지역 전체 1인가구 비율은 1990년 8.1%에서 2015년 28.8%로 증가했고, 이 중 49.1%가 여성가구주로 나타났다.

여성 1인가구의 혼인상태는 20~30대는 비혼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고, 40~50대는 이혼 비율이, 60대 이상은 사별 비율이 높았다.

특히 여성 1인가구의 아파트 거주 비율은 낮고 단독주택 거주 비율이 높았다.

광주지역 주택보급율이 103.5%로 초과공급 상태임에도 여성 1인가구가 월세 형태로 살고 있는 비율이 높아 주거가 불안정하고 안전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여성 1인가구는 북구가 가장 많고 이어 서구, 광산구 순으로 나타나 대학가 인근이나 원룸촌 지역에서 주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광주시의 1인가구 정책 지원은 노인에 한정돼 있고, 1인가구 지원과 관련한 주무 부서나 컨트롤타워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연구원은 "청년여성 1인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해 안전 공공성 강화, 다양한 임대주택 보급 및 주택관리 지원 등을 통합 지원할 수 있는 조례를 제정해야 한다"며 △1인 가구 통합지원 추진기반 마련 △임대주택 보급 및 주택관리 지원 △청년여성 1인가구 자립기반 마련 △안전 증진정책 강화 등을 제안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김광란 광주시의원은 '1인 가구에 대한 종합적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청년여성 1인가구의 주거안전을 넘어서 1인가구 전체에 대한 실태조사와 함께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공공임대주택 입주자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사회주택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미란 광주시의회 부의장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광주지역 여성 1인가구가 처해있는 주거빈곤, 경제적 어려움, 안전문제 등 현실이 확인됐다"며 "1인가구 지원조례를 제정해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문정은 광주청년센터 더숲 센터장은 "1인 거주임이 공개적으로 드러나는 방식은 청년 여성 1인가구에게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며 "청년세대 통합형 거주형태라거나 청년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1인가구 특화 모임 지원 등 마을과 지역에서의 안전한 공동체 형성 및 커뮤니티 형성"을 제안했다.

토론회는 광주시의회 임미란(더불어민주당·남구3) 의원이 좌장을 맡고 광주여성재단 노채영 연구실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또 박주희 광주여성재단 연구원이 발제자로 나섰고 광주시의회 김광란 의원,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장세레나 전 대표, 광주청년센터 더숲 문정은 센터장, 광주여성민우회 김미리내 활동가, 여성가족정책관실 임영희 가족복지담당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토론자로 나선 장세레나 전 대표는 '년여성 1인가구 주거안전 실태', 김미리내 활동가는 '1들의 연대, 나와 그녀들의 다른 미래를 상상하며'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 Copyrights ⓒ 광주드림 & gjdream.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오마이뉴스 제휴사인 <광주드림>에 실린 글입니다.


태그:#청년여성1인가구, #광주광역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광주를 드립니다. 꿈을 드립니다.’ 비영리 사단법인이 운영하며 무료로 시민들께 배포되는 일간신문 광주드림의 슬로건입니다. 2004년 4월22일 창간 이후 광주드림은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