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류 충돌 위협요인 및 발생 사례
 조류 충돌 위협요인 및 발생 사례
ⓒ 환경부

관련사진보기

환경부는 매일 2만 마리의 조류가 건물 유리창과 투명 방음벽 등에 부딪쳐 폐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이에 대한 저감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2017년 12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전국의 건물 유리창, 투명방음벽 등 총 56곳에서의 조류충돌 발생 현황을 조사했다. 그 결과, 폐사 조류는 멧비둘기 등 대부분 소형 텃새인 것으로 확인됐다. 직박구리와 참새, 박새 등을 포함해 총 378마리의 폐사체가 발견됐다.

환경부는 이 수치를 토대로 연간 800만 마리의 조류가 투명창에 충돌해 폐사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피해 추정량은 연간 765만 마리, 투명 방음벽에서의 피해 추정량은 23만 마리였다. 눈이 머리 옆에 달려 있는 조류의 특성상 정면의 장애물의 거리 분석 능력이 떨어지고, 투명창을 개방된 공간으로 인식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환경부는 새로 설치되는 방음벽은 투명 방음벽 설치를 최소화하고, 설치할 경우 조류가 인식할 수 있는 일정한 간격의 무늬를 적용하는 등 조류 충돌 방지 조치를 의무화하는 규정을 개정한다. 또 '조류 투명창 충돌 저감 지침서'를 마련해 전국 지자체 및 건설업계에 배포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같은 지침을 환경영향평가에도 반영하고, 이미 설치된 투명 방음벽과 건물 유리창에 대해서는 지자체 및 유관 기관과 협력해 조류 충돌 방지 테이프를 부착하는 시범 사업을 4월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건물 유리창에 줄 늘어뜨리기, 점 찍기 등 간단한 방법으로 조류 충돌 예방을 실천하는 안내집의 홍보물을 환경부(www.me.go.kr) 및 국립생태원(www.nie.re.kr)에 올릴 예정이다.
 

태그:#조류 투명창 충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