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자는 그동안 세 차례에 걸쳐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의 근현대사 자료를 검색 입수하여 110회 연재한 바 있다. 새 연재 [NARA의 북한 측 노획물]에서는 2017년 10월 기자가 제4차로 NARA에 가서 직접 입수한 자료를 소개한다. 미 정보당국이 한국전쟁 당시 수집한 북한 정부기관의 서류가 그 대상이다. 당시 무차별적으로 자료가 수집된 탓으로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이 연재가 당시 북한 사회 및 한국전쟁사 연구에 이바지하고, 나아가 문화예술인들의 1차 창작 자료로 쓰이길 바란다. - 기자 말

 
갑자기 입대한 의용군들의 사격술 훈련
 갑자기 입대한 의용군들의 사격술 훈련
ⓒ NARA

관련사진보기

 

한국전쟁 당시 두 차례나 인민군에게 수도 서울을 내주었다. 제1차는 1950년 6월 28일부터 그해 9월 28일까지로 약 90일간 서울시민들은 인공치하에서 살아야 했다. 그 두 번째는 1951년 1월 4일부터 그해 3월 15일까지로 약 70일간 인공치하 세상이었다.

그 가운데 제1차 인공치하는 전쟁 발발 사흘 만에 인민군이 들어오는 바람에 서울시민 대부분이 피란을 가지 못한 채(한강철교 및 인도교 폭파로) 인공치하에서 살아야 했다.

지난 5회와 이번 6회에서는 당시 역사학자였던 서울대학교 사학과 김성칠 교수의 <역사 앞에서>와 기자가 NARA에서 입수한 그 시절 사진으로 인공치하의 서울 시민 생활상을 꾸며 보았다. 이 기사가 당시 시대 상황을 바르게 이해하는데 이바지하기 바란다. 

 
서울의 청년학생들이 스크럼을 짜고 시위하고 있다.
 서울의 청년학생들이 스크럼을 짜고 시위하고 있다.
ⓒ NARA

관련사진보기

  

1950년 7월 8일  '청년학생들의 데모'

거리에서 학생들의 데모하는 양을 보았다. 지나가는 사람에게 물으니 날마다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8월 15일까지 계속한다는 말인가.

모두들 배고파서 허리띠를 졸라매고 다니는 이즈음에 저들은 무얼 먹고 저런 기운이 생기는가 싶다. 걸음도 힘차고 그 모습도 씩씩해 보인다. 얼굴은 상기되었으나 희망에 빛나는 눈들이다. 앞선 것이 남자 중학생들.  "원쑤와 더불어 싸워서 죽은 / 우리의 주검에 영광이 있으랴 / 깃발을 다오. 붉은 깃발을" 하는 그 가사는 피비린내가 풍기는 것 같아서 그리 좋은 줄 모르겠으나 곡조도 좋고, 제일 부르는 사람들이 씽씽하여 보기 좋다.

인생은 사랑도 있고, 평화도 있으련만 왜 하필 원수와 싸움과 죽음만을 저토록 강조하는 것일까 싶다. 그도 사회의 풍상을 겪어낸 투사들만이 부르는 노래라면 어울릴 법도 한 일이지만 아직도 천진난만하여야 할 애송이 중학생들이 "원쑤와 더불어 싸워서  죽은 …" 하는 노래를 소리 높여 부르는 양을 보고 있으면 내 가슴이 쓰리다.

다음은 여학생들. 남학생들 못지 않게 씩씩하고 활발하다. 한 학교의 학생이 그리 많지는 않으나 워낙 여러 학교가 동원된 모양이다. …

- 김성칠 지음 / 창작과 비평사 / 1993년판 / <역사 앞에서> 91쪽

  
여성동맹위원들의 궐기대회
 여성동맹위원들의 궐기대회
ⓒ NARA

관련사진보기

   

1950년 7월 12일  '새 나라 새로운 백성이 되고자' 

신문에 보면 어느 대학에서 몇 십 명, 어느 중학(참고, 당시는 6년제 중학교였음)에서 몇 백 명, 심지어 동덕 같은 덴 여자중학이면서도 5,6학년 전원 2백 명이 미적(美敵)과 이승만 도당에 대한 적개심에 불타서 자진 의용군에 지원하였다는 시세 좋은 이야기가 꼬리를 물고 게재되어 있다.

지원하면 그날로 곧 출진하는 것이 이 나라의 특색이다. 마을에선 학교에 나간 자녀들이 돌아오지 않는다 해서 부형들이 야단법석이다. 어찌된 영문인지 몰라서 학교에 찾아가 보면 이미 지원한 그 길로 바로 가서 영예스럽게도 전원 심사에 합격하여 곧 입대하였다는 것이다.

철없는 어머니들은 눈물을 짜면서 "글쎄 그 몹쓸 것이 마지막으로 애비 에미 얼굴이나 한번 보고 간단 말이지, 옷도 갈아입지 않고, 그 다 떨어진 신발을 끌고 대관절 어디로 간지 알아야지만 면회라도 갈 수 있지, 이런 답답한 노릇이 있나" 하고 넋두리를 늘어놓지만 그건 시국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듣건대 대학생들의 지원은 그 수는 적지만, 지원한 사람은 대개가 그럴 만한 동기가 있었다 한다. 첫째는 먹을 것이 끊어진 때문이니, 시골에서 올라와 하숙하던 학생들은 주인집에서 밥도 얻어먹을 수 없고, 고향으로 갈 길도 막히고, 그들에게 만원짜리 쌀을 사먹을 돈이 있을 턱은 더욱 없어서 굶다 못해 의용군으로 지원할 수밖에

… 그리고 또 한 가지 대학생들이 의용군에 지원하게 된 동기는 이른바 '세위' (細委, 세포위원의 준말)의 끊임없는 선전으로 "적어도 대학생 된 자는 지금 의용군으로 나가서 한번은 치르고 와야지만 앞으로 인민공화국에서 사람값에 가지, 그렇지 않으면 이미 대한민국의 백성질은 했겠다, 무엇으로 이를 속죄할 길이 있으며, 반동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냐.

적어도 묵은 껍질을 벗어버리고 새 나라의 새로운 백성이, 그도 지도층이 되려면 의용군 지원은 필수의 길이다. 그리고 이를수록 좋다" 이러한 선전이 그들의 불안한 심리를 채찍질하고 그들의 젊은 공명심을 부채질한 것이다. …

- 앞의 책 / 97~98쪽

 
전란 피해 복구작업에 동원된 서울시민들
 전란 피해 복구작업에 동원된 서울시민들
ⓒ NARA

관련사진보기

 
 
인공 치하 서울시민들이 신문을 통해 전황을 살펴 보고 있다.
 인공 치하 서울시민들이 신문을 통해 전황을 살펴 보고 있다.
ⓒ NARA

관련사진보기

 

 
인민군들이 부교로 강을 건너고 있다.
 인민군들이 부교로 강을 건너고 있다.
ⓒ NARA

관련사진보기

 
아래 두 사진은 북한 측 한국전쟁 자료다.
 
열차 탈선 및 전복사고 현장
 열차 탈선 및 전복사고 현장
ⓒ NARA

관련사진보기

  
 
인민군 박격포부대의 전투장면
 인민군 박격포부대의 전투장면
ⓒ NARA

관련사진보기

 

 

태그:#인공 치하의 서울 모습, #한국전쟁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