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마산해양신도시공사비검증단은 12월 26일 창원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마산해양신도시공사비검증단은 12월 26일 창원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 창원시청

관련사진보기

 
창원마산 앞바다를 매립해 터를 조성해 놓은 '마산해양신도시'사업(서항지구)과 관련한 가포신항 개발계획 당시 예측 물동량 산정에 오류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가포신항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준설토를 가져와 마산해양신도시 터를 조성해 놓은 것이다. 가포신항 계획 당시 예측 물동량 대비 총 화물량은 38%, 컨테이너 화물량은 6%로 물동량 산정에 오류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마산해양신도시공사비검증단(위원장 박재현, 아래 검증단)이 12월 26일 창원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밝힌 것이다. 검증단은 지난 8월부터 5개월간 활동을 벌여 왔다.

마산해양신도시는 마산합포구 월영동 전면 공유수면에 위치해 있고, 사업면적 64만 2000㎡에 총사업비 3403억원으로, 지난 2003년 12월부터 시작해 오는 2019년 12월까지 시행될 계획이다. 현공정은 74%이다.

이 사업은 2019년 말까지 연약지반 개량을 마치고, 상부 기반시설과 조경공사를 2025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옛 마산시와 해양수산부가 추진해 왔다.

가포신항 물동량과 관련해, 검증단은 "1996년 마산항 개발계획 수립의 근거가 된 총 물동량 예측은 2020년에 3479만 4000톤이었으나, 2017년 기준 실제 발생량은 1320만 6000톤으로 38% 수준에 그쳤다"고 했다.

검증단은 "컨테이너는 2004년 민자사업 협약 시 예측한 물동량이 30만 4000TEU 였음에도, 실제로는 1만 8000TEU로 6%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검증단은 "서항지구 준설토 투기장 조성은 정부의 잘못된 물동량 산정이 원인이 되어 시행되었으므로, 그간에 중대한 사정변경이 있었던 점을 근거로 정부에서 협약서 변경과 함께 이 사업의 추진에 직·간접적인 지원과 동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검증단은 "도심 연접지역 준설토 투기장 조성에 따라 수질과 생태계 악화 등의 부작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해수의 순환이 잘 이뤄지지 않는 반 폐쇄 해역인 마산만에 투기장을 조성함으로써, 해양환경 용량저하, 생태계 악화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했다.

이밖에 검증단은 '사업추진 방법'과 '협약체결', '변경' 등 과정에 대한 적정성을 따졌다. 그러면서 검증단은 "마산해양신도시 사업과 관련한 국가의 직접지원과 간접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지속적인 건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태그:#창원시, #마산해양신도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