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동료 A가 아침에 팀원들이 함께 있는 카톡 방에 메시지를 남겼다.

"둘째의 열감기가 첫째에게 옮아 밤새 고열이 났습니다. 두 아이 모두 병원에 가야 해서 오전에 반반차를 사용하겠습니다."

이어지는 팀원들의 응원 메시지.

"힘내세요."
"A가 고생이 많네요."

아침에 팀원들이 모여있는 카톡 방에 휴가를 사용하겠다고 메시지를 남긴 A의 육아를 들여다보면서 느끼는 감정은 복잡하다. 나도 여전히 육아를 이유로 자주 휴가를 사용하지만 아이들이 초등학생이 되고 나니 (특히 학부모들이 자주 호출되는 1학년의 고비를 넘기고 나니) 아이들이 어릴 때에 비해서 긴급한 순간이 발생하는 빈도가 급격히 낮아졌다.

반면 어린 자녀를 둔 남자 동료들이 긴급하게 휴가를 내서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니 안쓰럽기도 하지만, 부러움이 먼저 솟아났다. 우리 집 남편이 그렇지 않아서가 아니다. 집에 오면 남편은 엉덩이 붙일 새 없이 가사를 챙기고, 아이들 문제집 채점까지 챙겨주니까.

그러나 남편이 직장에서 육아나 가사 일을 하는 것을 얼마나 드러내는지는 알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동료들의 육아 참여 이야기에 안쓰러움보다 (이렇게 드러내놓고 말할 수 있다는 데) 부러움을 먼저 느낀 모양이다.

내가 쌍둥이를 낳고 육아로 발을 동동 구르던 2013년 이전에는 엄마의 육아 휴직이 자유롭지 않았고 아빠 육아도 흔치 않은 시기였다.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은행, 외국계 기업 등 여성을 위한 복지가 잘 마련된 곳을 제외하면 국가가 보장하는 1년의 육아 휴직은커녕 산모의 건강을 위한 3개월의 출산휴가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감기가 심해져서 폐렴 직전에 입원한 아들을 챙기려고 정시 퇴근을 하는 것인데도 사무실에서 일찍 나간다고 부장님께 혼 나서 울던 일, 쇄골뼈가 부러진 딸을 두고 출근했더니 선배가 부장님께 휴가를 대신 청해주던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갔다.

육아에 필요한 건 시간
 육아에 필요한 건 시간
ⓒ Pixabay

관련사진보기


요즘은 아빠들의 육아 참여가 활발해지고 있고 1년의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사례도 주변에서 빈번하게 발견할 수 있다. 미취학 아이들을 하나둘씩 키우고 있는 우리 팀 남자 직원들은 매일 담소 중에 육아 이야기를 빼놓지 않는다.

외벌이인 동료 B는 낮에 아이를 돌보느라 지친 와이프 대신 밤새 잠을 안 자고 보채는 아이를 달래느라 힘들었다는 얘기를 아침 인사로 대신한다. C는 출근을 일찍 하는 아내 대신 매일 아침마다 아이를 어린이집에 등원시킨다는 이야길 한다.

사실 둘째 아이가 돌이 지난 뒤 와이프가 복직을 했다는 A는 어머니가 본가인 대전에서 올라와서 둘째를 봐주신단다. 여섯 살인 첫째는 유치원에 다니지만 둘째는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고 어머님이 돌봐주기로 하신 거다. 손주 돌봄으로 A의 부모님은 비자발적 주말부부가 되셨다.

그러나 아이가 어릴 때 아프면 가장 가까운 부모님이 돌봐주신다고 해도 나 역시 몹시 신경이 쓰였다. 가뜩이나 A의 와이프는 3교대에 해외 출장이 잦은 직업군으로 아이가 아플 때 등의 비상 상황에 대처가 자유롭지 못하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A가 휴가를 내고 아이를 돌보게 된 거다.

시터, 친정 부모님, 시부모님, 혹은 친정 언니나 고모 등 다양한 돌봄 시스템을 봐도 역시 아이에게 부모만한 이가 없는 건 맞다. 꼭 육아 때문은 아니겠지만 그래서 주간 근로가 52시간으로 줄어들면 부모는 좀 더 많은 시간에 가정에 있는 아이들에게 얼굴을 비출 수 있겠구나 싶다. 줄어든 근무시간만큼 그 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제도도 함께 개선됐으면 좋겠다.

아이들이 어릴 때 내가 다니던 회사는 아침에 8시에 출근하면 오후 8~9시까지 꼼짝없이 자리를 지켜야 했다. 고객 서비스가 주업무인 회사라 평일에 휴가가 자유롭지도 않았다. 그나마 휴가를 사용하려면 며칠 전부터 동료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팀장에게 승인을 받아야 했다.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한 뒤에 이직한 지금의 회사는 개인 휴가를 승인이 아닌 통보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고 반차(8시간 중 4시간 휴가), 반반차 (8시간 중 2시간 휴가) 등의 자유로운 휴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갑작스러운 아이 돌봄 상황이 필요한 때에 부모들은 마음 편하게 휴가를 사용할 수 있다. 나에게도 A에게도 무척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럼에도 아픈 아이를 두고 출근을 서두른 A의 얼굴은 약간 피곤해 보였다.

시간이 지나면 다 해결된다는 위로 같은 건 A에게 건네지 못하겠다. 그저 지금 참 힘들겠다고 토닥여주기만 했다. 육아란 엄마에게뿐만 아니라 아빠에게도 힘든 일이라는 걸 일찌감치 배울 수 있으니 어찌 좋지 아니한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네이버 개인블로그(http://blog.naver.com/nyyii)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70점엄마, #쌍둥이육아, #워킹맘육아, #워킹맘, #까칠한워킹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편집기자. 시민기자 필독서 <아직은 좋아서 하는 편집> 저자,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 공저, 그림책 에세이 <짬짬이 육아> 저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