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8일 서울 여의도의 콘래드 서울에서 한EU 미래자동차 포럼에서 패널 토론 중인 참석자들.
▲ 한EU 미래자동차 포럼. 28일 서울 여의도의 콘래드 서울에서 한EU 미래자동차 포럼에서 패널 토론 중인 참석자들.
ⓒ 주한유럽상공회의소

관련사진보기


"완성차 업계에서는 자동차라는 용어 대신 '모빌리티' 혹은 '이동성'을 많이 사용한다."

28일 오전 9시, 서울 여의도의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한-유럽(EU) 미래자동차 포럼에 참석한 에릭 요나트(Erik Jonnaert) 유럽자동차체작협회(ACEA) 사무총장의 말이다. 기조연설을 맡은 그는 첫 문장 한줄에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모두 담았다.

이날 행사의 주제는 더 퓨처 오브 모빌리티 윌 비 클리너 앤 스마터(The Future of Mobility will be Cleaner and Smarter!, 자동차의 미래는 더 깨끗해지고 똑똑해질 것이다). 자율주행차, 친환경차, 커넥티트카 등 3개 분야 중심의 미래 자동차 기술에 대해 국내와 유럽의 관련 전문가가 모여 각 시장의 연구개발 현황과 방향성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요나트 사무총장의 기조연설 주제는 '모빌리티의 재정의: 자동차 제작자에서 모빌리티 공급자로의 변화'였다. 그는 "완성차 업체들은 단순히 자동차라는 하드웨어 생산을 넘어 이동성, 모빌리티의 미래를 모색하고 제공하고 있다"며 시장을 재편하고 있는 새로운 트렌드를 두 가지로 정리했다. 바로, 디지털화와 탈산소화다.

본격적인 연설에 앞서 그는 한EU 에프티에이(FTA)를 통해 자동차 산업에서 각 시장이 거둔 혜택을 언급했다. 미래 자동차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양측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다. 요나트 사무총장은 "한국과 유럽의 자동차 산업이 FTA를 통해 서로 윈윈하고 있다"며 "유럽의 완성차 수출량이 지난 7년간 3배 증가했고, 한국은 자동차 부품 수출이 크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자동차가 아닌 모빌리티, 디지털과 탈탄소 중심으로

그는 두 개 트렌드에 맞춰 완성차 업체가 제작사에서 공급자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사람, 수익, 환경의 변화라는 과제를 풀어야 한다고 했다. 요나트 사무총장은 "2050년까지 전세계 인구는 90억 명에 이르며 이 중 80%가 도심에 거주한다"면서도 "기술 발전으로 도심과 지방의 연결이 더욱 원활해 질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인프라 확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활발한 연구개발 및 투자, 과도한 생산량과 낮은 생산성의 조율, 강화되는 각종 대기환경규제에 대한 대응도 업계의 숙제로 꼽았다.

무엇보다 그는 탈탄소화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그는 "제작사에서 여러가지 구동 솔루션을 보유하며 탈탄소화를 구현하고 있지만, 대체 파워트레인 보급률 낮다는 것이 고민"이라며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구축돼 있지 않으면 구매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면서 각종 인센티브와 지원금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디지털화, 즉 자율주행차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도 내놨다. 그는 자율주행 기술로 도로의 안전성 증진과 교통 효율성 증가, 교통약자의 이동성 보장 혜택이 주어진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최근 논란이 된 미국에서 발생한 자율주행차 교통사고를 언급하면서 "자율주행 자체의 오류로 인한 사고인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며 "초기에는 시행착오가 있는 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업계에서 활발하게 자율주행차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지만, 해결해야 하는 숙제는 있다"면서 차량과 도로 간 통신을 위한 5지(G) 디지털 인프라의 확대, 데이터 확보 및 보안에 중요성을 강조했다.

요나트 사무총장은 지역별로 강화되는 대기환경규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냈다. 그는 "각 국가뿐 아니라 도시 별로 자체적인 환경규제를 마련하는데, 세계 자동차 시장이 과거로 회기하고 있는 것 아닌가 싶다"면서 "이것은 자동차 업계에 악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며 관련규제와 기준의 동조화를 강조했다. 이어 그는 "공기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동차만의 문제가 아니며 미세먼지는 대부분 다른 산업분야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주범이라고 보기도 힘들다"라고 주장했다.

28일 서울 여의도의 콘래드 서울에서 한EU 미래자동차 포럼이 열렸다.
▲ 한EU 미래자동차 포럼에서 주제 발표 중인 조성우 자동차안전연구원 K시티 준비팀 팀장. 28일 서울 여의도의 콘래드 서울에서 한EU 미래자동차 포럼이 열렸다.
ⓒ 최은주

관련사진보기


한국과 유럽의 자율주행차 및 인프라 연구개발 현황

기조 연설 뒤 3명의 업계 전문가의 발표가 이어졌다. 첫 번째로,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조성우 케이(K)시티 준비팀 팀장이 단상에 올랐다. 그는 연구원을 주축으로 진행 중인 국내 자율자동차 안정도 평가를 위한 연구현황 및 자율주행 실험도시인 K시티 구축계획을 소개했다. 연구원에서는 자율추행차량과 인프라 간의 통신 안정성, 차량의 주행 및 고장 안정성, 그리고 운전자와 자율주행시스템의 주행 전환 안정성에 대해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해 올 연말 완공을 목표로 K시티를 구축 중이다. 경기도 화성에 위치하며 10개의 실내 실험실, 14개 시험로 등 총거리 28.5km의 주행장 등으로 구성된다. 현대기아자동차와 현대모비스, 에스케이(SK)텔레콤 등의 업체가 협력하고 있다.

시나 마렉(Sina MAREK) 다임러AG 자동차 규제 전략 담당 매니저는 메르세데스-벤츠를 포함해 그룹의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전략을 설명했다. 그는 "자율주행차와 전기차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라며 "다임러는 대기 질 개선 위해 매 6개월 마다 새로운 전략을 짜고 있으며 현재 벤츠는 자율주행의 3단계까지 선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회사는 2030년 친환경차 비중이 전체 자동차 시장의 60%까지 확대될 것으로 내다보고, 전기차 브랜드인 이큐(EG)를 포함해 친환경차 포트폴리오를 준비 중이다.

알렉산더 마스트로비토(Alexander Mastrovito) 스카니아 홍콩 지속가능 교통운송 솔루션 총괄은 상용차 시장에서의 미래 자동차 기술 도입을 설명했다. 그는 자율주행기술의 완전한 구현과 그로 인한 사회적 기여도는 승용차보다 상용차 업계가 더 빠를 것으로 내다봤다. 보다 효과적인 수송을 위해 상용차 업계에서의 자율주행기술 적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생산성 증대를 목표로 향후 10년 계획을 설립, 자율주행 트럭 개발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면서 "현재, 2대~5대의 화물차를 연결, 군집 운행해 15%의 연료 절감 효과를 보는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탑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국내 업계의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홍성수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한국은 아이티(IT) 강국으로 대기업 중심의하드웨어 경쟁력은 확보하고 있는 반면, 소프트웨어는 그에 반해 부실해 이를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차량의 안전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홍 교수는 "한국은 자동차의 성능적인 안전에만 너무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며 "독일 업체들은 제조업으로서의 완성차 한계 존재 인식하고, 아키텍처와 감성 등에 강점을 두고 연구개발 진행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은 우버, 일본은 소프트뱅크, 동남아의 랩 등 지역적으로 공유 모빌티리도 활발하게 발전 중인데, 한국 이또한 미비한 상황이다"라고 지적했다.

현장에서는 최근 미국에서 논란이 된 자율주행차의 교통사고로 인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이에 마스트로비토 스카니아 총괄은 "자율주행기술의 실현에 있어 실제 도로에서의 주행이 아닌 시뮬레이션을 통한 데이터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주행거리에 따라 도로에서의 변수 및 시나리오 조합해야 하며 자율주행차에 앞서 항공기는 시뮬레이션 테스팅에 대한 방향과 영향이 크다"고 답했다.

윤대성 KAIDA 부회장은 폐회사로 "준비하는 자에게만 미래가 주어진다"며 "한국과 유럽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급변하는 자동차 시장의 미래를 이끌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ACEA와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국내외 산학연관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태그:#자율주행차, #친환경차, #하이브리드, #한EU FTA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