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6일 대한하천학회와 경남환경연합, 낙동강네트워크가 낙동강 답사를 실시했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교수가 낙동강과 황강의 합류 지점에 쌓인 모래톱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다.
 16일 대한하천학회와 경남환경연합, 낙동강네트워크가 낙동강 답사를 실시했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교수가 낙동강과 황강의 합류 지점에 쌓인 모래톱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낙동강 합천창녕보(합천보)와 창녕함안보(함안보) 수문 개방 이후 주로 지천 합류지점에서 모래에 의해 서서히 옛날 모습을 찾아가고 있는 가운데, 상류 보 수문도 개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지난 11월 13일 낙동강 8개 보 가운데 하류에 있는 함안보와 합천보의 수문을 개방했다. 정부는 함안보를 관리수위 5m에서 2.2m까지 낮추고, 합천보를 10.5m에서 2.3m로 낮추기로 했다.

보 수문은 한꺼번에 개방하지 않고 서서히 수위를 낮추고 있다. 함안보는 3.3m 정도로 낮아졌다가 수문 개방이 중단되었다.

함안보 상류에 있는 합천군 청덕면 앙진리 광암들의 시설재배 농민들이 보 수문 개방 이후 지하수가 줄어들어 피해를 입고 있다고 주장했고, 한국수자원공사가 지난 16일부터 수문 개방을 중단하고 다시 물을 채우고 있는 중이다.

합천보는 새해 1월 중순까지 수문을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수위를 낮출 것으로 보인다. 합천보는 지난 11월 13일 이후 현재까지 2m 가량 수위를 낮추었다.

수문 개방 이후 낙동강 지천 합류 지점부터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합천보 상류에 있는 회천(합천)과 합천보 하류에 있는 황강(합천), 함안보 상류에 있는 남강(함안) 합류 지점이 그렇다.

19일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교수(토목공학)는 "낙동강 지천 합류 지점에서 특히 모래에 의해 옛날 모습을 서서히 찾아가고 있다"며 "회천, 황강, 남강 합류지점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이는 보 수문 개방의 영향이다"고 말했다.

대한하천학회는 지난 16일 낙동강 달성보, 합천보, 함안보 구간에 대한 현장조사를 벌였다. 박 교수는 "합천보 수문이 완전 개방이 마무리되는 때가 내년 1월 중순 즈음이다. 그 때 다시 현장 조사를 벌인 뒤, 보 수문 개방의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낼 예정"이라 말했다.

낙동강과 황강 합류 지점.
 낙동강과 황강 합류 지점.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낙동강경남네트워크 "상류 6개 보 수문 개방해야"

낙동강 상류 6개 보 수문도 개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다. 낙동강네트워크는 "낙동강은 상·하류가 함께 흘러야 한다. 이번 개방에 따른 정확한 모니터링 결과를 얻기 위해서라도 낙동강 중상류 6개 보 또한 즉시 개방돼야 한다"고 했다.

수문 개방된 보와 개방되지 않은 보는 차이를 보였다. 달성보와 합천보가 대표적이다.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지난 16일 현장 조사를 해 보니 달성보는 여전히 물을 가득 담고 있었고, 달성보 상류 선착장에서 걷어 올린 강 바닥의 저질은 4대강사업 이후 6년간의 수압으로 묽은 뻘에서 진흙 뻘로 단단해져 가고 있었고, 썪은 하수도 냄새가 진동했다"며 "그 현장에서 생명의 흔적은 찾기가 어려웠다"고 했다.

합천보에 대해, 이들은 "11월 13일부터 수위를 단계적으로 내리며 1월 중순 전면개방 수위 2.3m에 도달하게 되는 합천보 수위는 12월 16일 현재 7.3m이다"며 "합천보 상류 회천은 수문개방 이후 수위가 떨어져 침수되었던 바닥이 드러나면서 본래의 모래강 모습을 거의 되찾았다"고 했다.

이어 "드러난 모래톱에는 검은등할미새, 물닭, 흰뺨검둥오리 등 다양한 철새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며 "곳곳에 시커먼 뻘이 제법 넓게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고, 뻘을 헤집지 않아도 썩은 내를 뿜어내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또 이들은 "12월 12일 황강이 흘러드는 합천보 하류의 낙동강은 4대강사업 이전의 모래강으로 완벽하게 변신하여 뭇생명들이 평화로운 생활을 누리고 있었다"며 "그동안 깊어진 수심으로 강을 건널 수 없었던 동물들이 바닥의 퇴적된 모래를 밟고, 강을 건너갈 수 있을 정도였다"고 했다.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4대강사업 이후 낙동강으로 인하여 동서로 단절된 생태계가 복원된 것"이라며 "물가 모래톱을 따라 수달 가족이 물고기를 잡아서 먹고 배설하고 모래목욕을 하며 장난치며 놀았던 흔적이 생생하게 남아 있었다. 무엇보다 큰 변화는 이곳에 멸종위기종 흰수마자가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는 사실이다"고 했다.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지난 11월 13일 4대강 보 추가개방 대책에서 낙동강 상류 보 6개는 모두 제외되었다"며 "그런데 지난 11월 24일 국회 4대강재자연화포럼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낙동강 수질개선과 재자연화는 유속의 흐름증가로 인한 수질개선 효과는 상류보일수록 큰 것으로 드러났다"고 했다.

이들은 "낙동강 재자연화는 준설로 인하여 사라진 모래톱 등을 복원하여 생물서식지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함안보 수문개방 과정의 문제를 반면교사로 삼아 내년 1월 중 낙동강 6개 상류 보에 대한 적극적인 개방을 검토하길 바란다"고 했다.

낙동강 합천창녕보 하류. 이곳은 4대강사업 때 준설했던 지역으로 지금은 다시 퇴적되어 있다.
 낙동강 합천창녕보 하류. 이곳은 4대강사업 때 준설했던 지역으로 지금은 다시 퇴적되어 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태그:#낙동강, #창녕함안보, #합천창녕보, #대한하천학회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