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교사 채용 전형시험

그날 오산학교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교사 채용 전형필기시험을 보게 됐다. 다른 분들은 그런 정보를 미리 알고 있었던 듯, 가방에서 참고서를 꺼낸 뒤 시험장에서 열심히 보고 있었다. 나는 아무런 준비도 하지 않고 왔기에 다소 불안했지만 어쩔 수 없이 부딪쳐 보자는 그런 담담한 심경이었다.

오산중학교 교사 신분증명서
 오산중학교 교사 신분증명서
ⓒ 박도

관련사진보기

곧 종이 울리고 감독관이 왔다. 그분은 말없이 한 사람 한 사람 시험지를 나눠주고 60분간의 고사시간을 줬다.

시험문제는 모두 전공으로 국어 일반에 관한 문제였다. 5문제 가운데 3개를 골라 답하는 문제였는데 나는 그 가운데 3개를 골라 답을 했는데도 시간이 남아 다른 한 문제도 답을 썼다.

시험관은 합격자에게는 학교에서 곧 통지가 갈 거라고 했다. 사실 나는 그 무렵 좀 건방진 탓인지 그 학교에 쉽게 채용될 줄 알았다. 그런데 그날 60여 명이 몰려온 것을 보고 좀 놀라고 당황했다. 마침 신문에 마포구에 있는 ㅎ여중고에서도 교사초빙 광고가 났다.

나는 오산학교에서 시험 본 결과가 어떻게 될지 몰라 그 ㅎ여중고 교사초빙에도 응했다. 곧 1차 서류전형에 합격했다 해 면접을 보러갔더니 그 학교에서도 전공교과에 대한 필기시험이 있었다. 1차 서류 전형에 통과한 응모자가 10여 명은 돼 보였다.

시험문제는 대입 본고사 수준으로, 5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났지만 지금도 기억에 남는 문제는 두보의 시 '춘망(春望)' 편이 출제됐다. 그 시는 고교시절 고문을 가르쳐 주시던 김영배 선생님과 특강으로 두시(杜詩)의 대가 동국대 이병주 선생에게 들은 바 있었기에 자신 있게 답을 쓸 수 있었다.

시험 후 집에서 기다리니까 두 학교에서 모두 최종 면접을 보라고 속달 편지가 왔다. 날짜가 더 빠른 오산학교에 갔더니 필기시험 성적으로 두 명을 뽑은 뒤 면접으로 최종 한 명을 뽑는다고 했다. 그날 면접을 본 뒤 집으로 돌아왔더니 이틀 후 최종 합격했다고 전보가 왔다.

그런데 ㅎ여중고 측에서도 필기시험에 합격했으니 최종 면접에 응하라고 연락이 왔다. 그 며칠 새 한 학교라도 합격하기를 기다리는 불안한 처지에서, '양손의 떡'처럼 두 학교 가운데 한 학교를 선택해야 할 행복한 처지에 놓였다.

오산학교 나동성 교장 선생님

결국 시험을 칠 때 교실에서 본 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 선생의 유훈 말씀, 그리고 중고교 시절 매료되었던 소월(素月) 김정식(金廷湜) 시인의 모교란 점, 그가 읊은 'JMS' 등의 시가 나의 발걸음을 오산학교 쪽으로 가게 했다.

전 오산중고등학교 나동성 교장 선생님
 전 오산중고등학교 나동성 교장 선생님
ⓒ 박도

관련사진보기

더욱이 최종면접 때 만났던 당시 오산학교 나동성 교장의 인품과 말씀에 매료되고 말았다.

그분은 합격자 첫 소집에서 12 신임 예비교사의 이름을 한 사람 한 사람 죽 부른 뒤 말씀했다.

"나는 관 두껑을 닫을 때까지 인사에 공정을 기하겠습니다."

"나는 여러분에게 돌아갈 몫을 중간에서 가로채지 않겠습니다."

"존경받는 스승 되고 사랑받는 제자 되게 정성 다합시다." 

깡마른 체구에 카랑카랑한 그분의 목소리가 내 폐부를 찔렀다. 그 말씀들이 내게 복음처럼 들렸다.

그분은 마치 간디의 풍모였다. 나는 오산학교로 마음을 굳힌 뒤 구비서류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거기에는 교사자격증 원본을 제출하면 대조한 다음 돌려준다고 돼 있었다. 그때까지 내 교사자격증은 신성학교 재단이사장실 금고에서 잠자고 있었다.

교사자격증을 되찾다

서류 준비 첫날, 나는 마음을 굳게 다잡고 소공동 김 재단이사장 사무실로 찾아갔다. 김 재단이사장은 나를 보자 대뜸 말했다.

"아니, 학교에 근무치 않고 여긴 왜 왔소?"
"네에? 전 이미 지난 해 연말에 사의를 표했고, 벌써 교장 선생님에게 사표도 제출했습니다."

"나는 아직 당신 사표를 수리하지 않았습니다."
"그때 교장 선생님이 분명히 신학기에 그만 둘 사람은 당신에게 미리 알려달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당신 재임 중 문제가 많았다는데…."
"네에? 구체적으로 무슨 문제였는지 말씀해 주십시오."
"…."

그분은 그 질문에는 대꾸를 하지 못한 채 일방으로 선언했다.

"아무튼 당신 교사자격증 줄 수가 없소."
"네, 좋습니다. 그 교사자격증은 문교부에서 개인 박도에게 교사자격이 있다고 준 증표입니다. 그런데 그걸 볼모로 잡는 것은 인권침해입니다. 나는 이 길로 문교부와 검찰청으로 가서 김 이사장님을 고발할 겁니다."

나는 자리에서 벌떡 일어났다. 그러자 김 이사장은 곧 말을 바꿨다.

"앉아요. 내가 당신을 놓치기 아까워서 그랬던 거요. 박 선생이 우리 학교로 간다면 주임 자리는 곧장 보장하겠소."
"전 그런 자리 바라지도 않습니다."

김 이사장은 여직원에게 금고에 든 내 교사자격증을 꺼내오게 한 다음 나에게 돌려줬다. 나는 그걸 서류봉투에 넣고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떠나왔다.

오산학교 설립자 남강 이승훈 선생
 오산학교 설립자 남강 이승훈 선생
ⓒ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 선생

3월 1일은 삼일절로 공휴일인데 유독 오산학교(五山學校)에서는 개학식을 거행했다. 그 까닭은 오산학교를 세우신 교조(校祖) 남강 이승훈 선생의 3․1 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한 후학들의 정성 때문이었다. 그분은 1919년 기미독립선언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 분으로 당신의 육신마저 민족의 제단에 바치신 분이시다.

서울 용산구 보광동에 있는 오산중고등학교는 평북 정주에 있는 오산학교의 후신으로, 뜻있는 졸업생들이 한국전쟁 중 피난지 부산에서 재건한 학교인데, 수복 후 서울로 옮긴 학교다.  

물질만능주의에 찌든 이 시대에 애국애족의 오산정신(五山精神), 남강정신(南岡精神)을 부르짖는 오산학교와 그 졸업생들의 독백이 시대착오적인 '소경의 잠꼬대'로 들릴지 모르겠다. 하지만 어린 영혼들에게 겨레 사랑, 나라사랑을 심어주는 교육은 민족혼이 메마른 이 땅의 교육 풍토에 눈물겹도록 갸륵하기만 하다.

학교의 사계(四季) 중 가장 생동감이 넘치는 날은 입학식 날이다. 졸업생들이 떠난 어딘가 썰렁한 교정에 봄바람과 함께 풋풋하고 발랄한 신입생들이 밀려오면 학교는 새댁을 맞는 잔칫집 마냥 흥겹다.

오산중 1-12반 학생들과 교정에서(1971. 5.)
 오산중 1-12반 학생들과 교정에서(1971. 5.)
ⓒ 박도

관련사진보기


내 생애 가장 감동적이었던 날

1972년 3월 1일, 나는 그날을 내 생애에서 잊지 못하고 있다. 내가 교단에 선 후 처음으로 담임을 맡아 그들과 첫 대면을 한 날이기 때문이다. 아직 젖비린내가 나는 듯한, 개구쟁이 티를 벗지 못한 중학교 신입생들. 새 교복, 새 모자, 새 운동화… 모두가 새것들이다. 갓 딴 풋과일처럼 신선하다. 

어머니가 3년 동안 입으라고 마련해 준 교복은 상의는 반코트요, 하의는 핫바지다. 처음으로 쓴 중학생 모자가 헐렁해서 눈썹조차 보이지 않는다.

초등학교 때처럼 모자를 벗고 인사를 하다가 다시 모자를 얼른 쓰고 거수경례를 하고는 멋쩍은 듯 쏜살처럼 도망을 간다. 마치 고삐 풀린 송아지나 망아지처럼.

그날 나는 1-12반 팻말 앞으로 다가가자 70여 신입생들이 목을 뽑고 새 담임인 나를 호기심어린 눈빛으로 바라봤다.

나는 그 녀석들이 귀여워 맨 앞 녀석부터 한 녀석씩 살펴가며 그들의 복장을 가다듬어 주거나 볼을 쓰다듬어 주며 맨 뒤 녀석까지 훑어갔다.

"야, 우리 담임 되게 젊다. 아주 싱싱하다."
"굉장히 무섭겠다."

내가 그들을 지나가면 저마다 나에 대한 촌평을 소곤거렸다. 그날 밤 나는 낮에 본 신입생 얼굴들이 아른거려 한동안 잠을 이루지 못했다.

(* 다음 글에 계속)


태그:#어느 해방둥이의 삶과 꿈, #오산학교, #교원자격증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오마이뉴스 기획편집부 기자입니다. 조용한 걸 좋아해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