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경남 산청 성심원 경호강 언저리에 핀 개나리
 경남 산청 성심원 경호강 언저리에 핀 개나리
ⓒ 김종신

관련사진보기


봄을 대표하는 개나리가 겨울처럼 쌀쌀한 시월의 마지막 날 노란 꽃을 피웠다. 지리산 둘레길이 지나는 경남 산청 성심원 경호강 언저리에 핀 개나리의 샛노란 빛은 찬바람이 불며 기온이 뚝 떨어져 초겨울 같이 찾아온 추위를 잊게 한다.
경남 산청 성심원 경호강 언저리에 핀 개나리
 경남 산청 성심원 경호강 언저리에 핀 개나리
ⓒ 김종신

관련사진보기


<식물의 인문학>에 따르면 '꽃은 스트레스의 산물'이라고 한다. 책에서는 개나리, 산수유, 매화, 목련은 급상승하는 기온에 민감해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데 한겨울에도 날씨가 따뜻해지면 스트레스를 받아 꽃을 피운다고 한다.
경남 산청 성심원 경호강 언저리에 때이르게 핀 개나리
 경남 산청 성심원 경호강 언저리에 때이르게 핀 개나리
ⓒ 김종신

관련사진보기


식물이 계절마다 아름다운 꽃을 피워 자태를 뽐내는 듯하지만, 사실은 죽을지도 모른다는 절박함으로 꽃을 피우는 것이란다.
경남 산청 성심원 경호강 언저리에 핀 개나리
 경남 산청 성심원 경호강 언저리에 핀 개나리
ⓒ 김종신

관련사진보기


때 이른 꽃을 피운 개나리도 어떤 마치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우리 국민이 받는 스트레스만큼이나 절박하게 받는 모양이다.


태그:#개나리, #경호강, #식물의 인문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