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한민국 임시정부 마지막청사 경교장> 표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마지막청사 경교장> 표지
ⓒ 서울시제공

관련사진보기


서울시가 광복 후 경교장에서 생활한 백범 김구를 비롯한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지켜본 증인 4명의 인터뷰를 담은 책 <마지막 임시정부청사 경교장>을 발간했다. 

임시정부 경위대장 윤경빈 등 경교장에서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지낸 증인들의 구술을 기록한 원고 4편과 학술논고 1편을 당시 사진들, 신문기사들과 함께 담고 있다.

이 책에서 1945년 임시정부 요인 수행원으로 1차 환국한 뒤 임시정부 마지막 경위대장을 지낸 윤경빈 선생은 이승만 대통령도 참석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1차 국무위원회가 그해 12월 3일 경교장에서 개최되어 임시정부가 환국 후에도 기능을 수행하였음을 증언하고 있다.

그 외 임시정부가 상하이에 있을 때 태어나 어린 시절을 김구 등 임정요인들과 지낸 김자동 선생, 반민특위 위원장을 지낸 독립운동가 김상덕의 아들 김정륙 선생, 경교장 옆집에 살면서 지켜본 백범의 인간적인 면모와 서거 당시 상황을 지켜본 오경자 선생 등 4인의 증언을 담았다. 이들은 모두 생존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 책은 지난 2013년 경교장 복원 당시 증인들의 구술을 기반으로, 광복후 경교장이 김구와 임정요인의 숙소 뿐만 아니라 마지막 임시정부 청사로서 기능을 했다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 임시정부청사 경교장>은 강북삼성병원 내에 위치한 경교장 현장은 물론 국공립 도서관, 대학교 도서관, 연구소 등에 무료로 배포될 예정이며 서울시 신청사 시민청에서 열람할 수도 있다.

경교장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지낸 백범 김구가 광복후 집무실과 숙소로 사용했으며, 1949년 6월 26일 김구가 안두희에 의해 저격당한 곳이기도 하다.

2진 환국 이후 1945년 12월 6일 경교장 앞에서 임시정부 각료들을 촬영한 것으로 배경으로 경교장의 기둥이 보이고 있다. 이 사진을 통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내 환국 후 청사였음을 알 수 있다. 앞 줄 왼쪽부터 장건산, 조완구, 이시영, 김구, 김규식, 조소앙, 신익희, 조선환. 둘째줄 황학수, 김성숙, 유림, 김봉준, 유동열, 최동오, 셋째줄 유진동, 성주식, 김상덕, 조경한, 김원봉.
 2진 환국 이후 1945년 12월 6일 경교장 앞에서 임시정부 각료들을 촬영한 것으로 배경으로 경교장의 기둥이 보이고 있다. 이 사진을 통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내 환국 후 청사였음을 알 수 있다. 앞 줄 왼쪽부터 장건산, 조완구, 이시영, 김구, 김규식, 조소앙, 신익희, 조선환. 둘째줄 황학수, 김성숙, 유림, 김봉준, 유동열, 최동오, 셋째줄 유진동, 성주식, 김상덕, 조경한, 김원봉.
ⓒ 서울시제공

관련사진보기


1946년 신탁통치반대 시위 당시 경교장의 사진(LIFE Alfred, Elsenstaedt  촬영)
 1946년 신탁통치반대 시위 당시 경교장의 사진(LIFE Alfred, Elsenstaedt 촬영)
ⓒ 서울시제공

관련사진보기


1949년 6월 경교장을 둘러싼 백범선생 조문행렬(LIFE Carl.Mydans 촬영)
 1949년 6월 경교장을 둘러싼 백범선생 조문행렬(LIFE Carl.Mydans 촬영)
ⓒ 서울시제공

관련사진보기




태그:#경교장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