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2014년 12월 18일 박근혜 대통령이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6차 청년위원회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지난 2014년 12월 18일 박근혜 대통령이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6차 청년위원회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대통령의 '청년 펀드'가 시작됐다. 박 대통령이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합의한 노사정 대타협을 거론하며 "청년 고용을 위한 재원 마련에 저부터 단초 역할을 하고자 한다"라고 밝힌 지 단 하루 만이다.

1호 기부자는 제안자인 박 대통령이다. 박 대통령은 해당 펀드에 일시금으로 2천만 원을 기부하고 매달 월급에서 20%를 기부하기로 결정했다. 박 대통령의 작년 연봉(1억9255만 원)을 감안할 때, 박 대통령은 매월 320여만 원 정도를 기부할 것으로 보인다.

국무총리·장관·공공기관장 등 정부 인사와 여당 지도부도 동참 의사를 밝혔다. 앞서 박 대통령은 펀드 조성 의사를 밝히며 "국무위원을 비롯한 많은 분이 동참해서 서로 고통을 나누고 분담하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황교안 국무총리는 16일 서울 정부청사에서 국무위원 간담회에서 "사회적 대타협의 분위기를 이어가고 개혁의 성과를 가시화하기 위해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 그리고 공공기관장부터 우선 참여하기로 했다"라면서 박 대통령의 기부 계획 및 가칭 '청년희망펀드' 운영 계획 등을 밝혔다.

그는 이어, "(대통령 등의 참여에서) 더 나아가 사회지도층, 공직사회, 민간에서도 자발적으로 참여가 확대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갈 것"이라며 "이렇게 조성된 펀드의 관리와 운영을 위해 가칭 '청년희망재단'을 신설하고 연말까지 재단설립과 함께 본격적인 사업 시행을 준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황 총리는 또 "향후 조성된 펀드는 청년구직자에 대한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한 민간 일자리 창출 지원 등을 위해서 사용하게 될 것"이라며 "특히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구직자와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 청년들을 대상으로 취업 기회도 최대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노사 모두 어려운 결단을 내려주신 만큼 정부도 청년희망펀드를 통해 청년들에게 큰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새누리당 지도부는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서 기부 동참 의사를 밝혔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이 어제 '노블레스 오블리주' 차원에서 청년일자리 관련 펀드를 직접 제안하고 1호 가입을 선언했다"라며 "노동개혁의 고통을 분담한다는 차원에서 저도 국회 교섭단체 대표인 원내대표 자격으로 이에 동참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무성 당대표와 최고위원들도 함께 하시겠다고 한다"라면서 "사회적 대타협의 분위기를 잇고 개혁성과를 가시화하기 위해 많은 의원들이 동참해주면 감사하겠다"라고 말했다.

다만, 박 대통령의 '청년 펀드'가 "병 주고 약 주는 꼴"이란 비판도 나온다. 정진후 정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이번 (노사정) 합의에서 정부가 그동안 입이 닳도록 내세웠던 청년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해소 방안은 찾아보기 힘들다"라면서 "오히려 더 많은 비정규직을 낳게 될 '기간제 사용기간 연장'과 '파견 확대'의 물꼬를 텄다"라고 비판했다.

또 박 대통령의 청년 펀드 조성 제안을 지적하며 "이럴 때 쓰는 말이 '병 주고 약 준다'는 말 아니겠나"라면서 "머지 않아 청년들이 뛰어들 미래 노동시장을 쑥대밭으로 만들어놓고는 겨우 한다는 것이 펀드 조성인가"라고 비판했다.


태그:#박근혜, #노동개혁, #청년일자리, #청년희망펀드
댓글7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