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26회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26회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후 계속된 지지율 하락세를 방어하는 데 성공했다.

29일 발표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6월 4주 차 정례조사 결과,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전주 대비 1.3%p 하락한 33.6%를 기록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0.2%p 하락한 60.3%를 기록했다. '결과'면에서는 지난주 정례조사 때와 큰 변화를 찾기 힘든 셈이다.

그러나 '내용'은 달랐다. 일간 조사 결과로 보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한 25일을 기점으로 V자 곡선으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상승했다. 이는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2500명에게 전화면접 및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후 지지층 결집 ↑

'리얼미터'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직전까지 급락했다. 특히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메르스 대국민 사과 이후 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논란이 불거졌던 24일엔 29.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6월 3주 차 정례조사 마지막 날인 19일 조사됐던 35.2%보다 5.3%p나 하락한 수치였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한 다음 날인 26일,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37.4%로 급상승했다. 24일 조사 수치보다 7.5%p 급상승한 셈이다.

리얼미터는 이를 '지지층의 결집 효과'로 분석했다. 새누리당 지지층에서의 긍정평가는 지난 23일 조사 당시 67.2%에서 26일 80.4%로 껑충 뛰었다. 보수층의 긍정평가 역시 같은 기간 12.8%p 상승했다.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으로 분류되는 대구·경북 지역의 긍정평가 역시 같은 기간 동안 12.7%p 상승했다. 거부권 행사 후에도 지지율 하락 추세가 유지된 지역은 부산·경남·울산이 유일했다. 부산·울산·경남에서는 오히려 지지율이 같은 기간 3.4%p 하락했다.

이 같은 핵심지지층의 결집 외에도 메르스 사태로 낙폭이 컸던 충청권과 호남권, 20대와 40대에서도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에 따른 지지율 상승 효과가 있었다. 광주·전라 지역은 23일 9.6%에서 26일 23.7%로 급상승했고 대전·충청·세종 지역은 같은 기간 10.8%p 상승했다. 20대와 40대는 같은 기간 각각 7.3%p, 12.6%p 상승했다.

새누리당의 지지율도 이와 비슷했다.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전주 대비 0.5%p 상승한 37.2%를 기록했다. 이 역시 이재용 부회장의 메르스 대국민사과 이후 주중 최저치(34.5%)까지 하락했다가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이후 반등한 것이다. 일간 조사 결과로 보면,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당일인 25일 35.4%로 반등한 후 26일엔 주중 최고치인 38.4%를 기록했다.

박 대통령에게 찍힌 유승민, 차기 여권 대선주자 4위 등극

친박근혜(친박)계의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9일 오전 경기도 평택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굳은 표정으로 참석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무성 대표.
 친박근혜(친박)계의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9일 오전 경기도 평택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굳은 표정으로 참석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무성 대표.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한편,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가 박 대통령에게만 '득'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이 문제로 박 대통령과 '갈등'을 빚고 있는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지난 23, 24일 이틀간 전국 성인남녀 1000명에게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한 '리얼미터'의 6월 여권 차기 대선주자 조사에서 전월 조사보다 2계단 상승한 4위에 올랐다. 유 원내대표를 차기 여권 대선주자로 꼽은 응답비율은 전월 조사보다 2%p 상승한 5.4%였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즉, 유 원내대표가 공무원연금 개혁안·국회법 개정안 등을 둘러싼 당·청 갈등의 당사자로 주목받으면서 존재감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이 조사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20.2%), 오세훈 전 서울시장(6.2%) 김문수 전 경기지사(5.7%)가 1~3위를 기록했다.

○ 편집ㅣ손병관 기자



태그:#박근혜, #유승민,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여론조사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