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이 출간된 지난 1월 3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에 모습을 드러낸 이 전 대통령. 공항에 도착한 이 전 대통령이 대기하고 있던 차량에 오르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이 출간된 지난 1월 3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에 모습을 드러낸 이 전 대통령. 공항에 도착한 이 전 대통령이 대기하고 있던 차량에 오르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이명박 전 대통령이 사재를 털어 만든 장학재단 '청계재단'이 설립목적인 장학사업이 아닌 재산을 불리는 투자사업에 목매달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2일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청계재단의 장학금 지급액은 4년 만에 반토막이 났다. 대학교육연구소가 국세청의 '공익법인 공시'를 분석한 결과, 2010년 6억1915만 원에 달했던 청계재단의 장학금은 매년 줄어 2014년 3억2295만 원까지 줄었다. 2011년의 장학금 규모는 5억7865만 원이었고 2012년과 2013년엔 각각 4억6060만 원, 4억5395만 원이었다.

문제는 이 같은 꾸준한 장학금 감소를 재단 수입 감소 탓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청계재단의 주 수입원인 부동산 임대료·관리비 수입은 2010년부터 2014년 사이 2억7400여만 원 증가했다. 이 전 대통령의 처남 쪽이 기부한 주식회사 '다스'의 주식 1만4900주에 대한 배당금도 2012년부터 매년 1억 원 가량 들어오고 있다. 즉 수입은 늘었는데 본래 목적인 장학금 사업을 소홀히 하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청계재단의 단기금융상품 투자액은 장학금과 달리 수직상승했다. 2012년 단기금융상품에 1억 원을 처음 투자한 이래 2013년 2억353만 원, 2014년 7억834만 원으로 투자금액이 크게 불어난 것. 이에 대해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은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서 "예금 금리가 낮아 수익성을 높이려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학사업보다 재산증식에 힘쓰는 이유, 빚 때문에?

청계재단이 설립목적인 장학사업보다 재산증식에 힘쓰고 있다는 비판은 몇 해 전부터 꾸준히 제기된 바 있다.

이와 관련, 박홍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 2013년 10월 보도자료를 통해 "청계재단이 (이 전 대통령의) 친척들에게 받은 기부금을 재산증자용으로 적립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을 통해 제출받은 '청계재단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 전 대통령의 처남 쪽에서 기부 받은 다스 주식 배당금을 '장학목적'을 명시한 기부증서 내용과 다르게 전액 재산증자 목적의 기부수입으로 편성해놨다는 지적이었다.

또 청계재단이 2010년, 2011년 이 전 대통령의 사돈인 조석래 한국타이어 회장으로부터 받은 기부금 6억 원을 별도의 기부증서 없이 계좌이체로 납입받았다고도 꼬집었다.

박 의원은 이 같은 행태를 '이 전 대통령의 빚을 갚기 위한 조치'라고 봤다. 청계재단은 설립 과정에서 이 전 대통령이 건물을 담보로 대출받은 30억 원의 빚을 떠안았다. 또 이를 갚기 위해 은행에서 50억 원을 대출 받아 해마다 이자 금액만 2억 원을 내고 있다. 결국 대출상환을 위한 자산매각 등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인데 이를 장학금을 줄이고 자산운용수익을 높여 해결하려고만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박 의원은 2014년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익법인법에 따라 상당한 세금을 감면받고 있는 청계재단이 본래 목적인 장학사업은 소홀하고 설립자 채무상환에 주력하는 등 비정상적 운영을 하고 있다"라며 "차입금 상환계획을 만들어 놓고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것은 행정당국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질타했다.

○ 편집ㅣ최은경 기자



태그:#이명박, #청계재단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