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는 9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월성1호기의 폐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는 9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월성1호기의 폐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 반핵부산시민대책위

관련사진보기


월성 원전 1호기의 폐쇄를 촉구하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월성1호기 폐쇄를 요구하는 전국 동시 기자회견이 열린 9일 부산에서도 반핵단체들이 모여 원전 가동 중단을 외쳤다.

이날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연 반핵부산시민대책위 등 지역 반핵단체 관계자들은 오는 12일로 예정된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서 월성1호기 수명연장 승인이 이루어져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월성1호기가 있는 경주의 시민들과 인근의 울산시민, 그리고 전 국민들이 월성1호기의 신뢰할 수 없는 안전수준을 우려해 폐쇄를 요구하고 있지만 원안위는 이를 표결로 결정하려 한다"면서 "표결은 (원안위) 위원들 간의 구체적인 의견 차이를 숫자로 환원시켜 묵살 할 뿐만 아니라, 안전을 중요시 하는 국민들의 염원도 묵살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표결 대신 주민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핵단체들은 "원자력안전법 개정안에 따르면, 오는 7월부터 노후핵발전소의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되어 있다"면서 "법 개정의 취지에 입각해 월성1호기 수명연장 심사에는 최소한 인근 주민들의 의견이라도 반영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반핵단체들은 부산에 위치한 고리1호기의 사례를 들어 원전 가동 연장이 이루어질 경우의 위험을 우려했다. 이들은 "고리1호기라는 시한폭탄을 안고 사는 우리 부산시민은 월성1호기 수명연장 심사가 남의 일 같지 않다"면서 "부산시민들의 마음은 마치 부산의 미래를 보는 듯해 매우 안타깝고 참담하다"고 전했다.

또 한차례 수명연장 이후 재수명연장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고리1호기를 언급하며 "고리1호기를 가동해서 얻게 되는 조그만 이득을 위해 인근 지역민들의 삶은 일방적으로 희생되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이들은 "설령 노후 핵발전소를 가동해 조금의 이익을 획득할 수 있다 하더라도 국민들은 이윤보다는 생명이 중시되는 사회, 현 세대와 미래세대를 책임지는 사회를 희망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국민적 열망과 신의에 원안위와 정부가 성실히 화답할 것을 다시 한번 요청한다"고 밝혔다.


태그:#월성원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