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양림동은 공존이다. 나이 지긋한 어르신과 젊은이들이 함께 산다. 건축물도 서양식과 우리 전통의 옛집이 잘 어우러져 있다.
 양림동은 공존이다. 나이 지긋한 어르신과 젊은이들이 함께 산다. 건축물도 서양식과 우리 전통의 옛집이 잘 어우러져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양림동이 주목받고 있다. 광주광역시 남구에 속한 양림동은 근대와 현대의 역사문화가 공존하고 있는 마을이다. 광주에서 서양의 근대 문물이 처음 들어온 곳도 양림동이었다. 양림교회는 1904년 선교사 유진 벨이 세운 광주 최초의 교회다.

오웬 기념각은 선교사로 살다 순교한 오웬을 기념하는 건축물이다. 기념각의 내부가 재작년에 방영됐던 드라마 <각시탈>의 배경이 됐다.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지어진 우월순 사택은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주택이다. 우월순은 양림동에서 고아원을 운영했었다.

이장우 가옥은 100년도 넘은 옛집이다. 대문간과 곳간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로 이뤄진 기와집이다. 뿐만 아니다. 양림동에는 여성교육의 요람인 수피아 여학교의 수피아홀도 있다. 서양식 건축물과 우리 전통의 옛집이 공존하고 있는 것도 별난 매력이다.

숭일학교 돌담. 광주 양림동에서는 도심과 가까운 곳이지만 옛 돌담을 많이 만날 수 있는 마을이다.
 숭일학교 돌담. 광주 양림동에서는 도심과 가까운 곳이지만 옛 돌담을 많이 만날 수 있는 마을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마을잡지 '양림사이다'의 표지. 마을 주민들을 중심으로 편집위원회를 꾸리고, 그 주민들이 마을의 곳곳을 직접 누비며 발품을 팔아 사진을 찍고 글을 썼다.
 마을잡지 '양림사이다'의 표지. 마을 주민들을 중심으로 편집위원회를 꾸리고, 그 주민들이 마을의 곳곳을 직접 누비며 발품을 팔아 사진을 찍고 글을 썼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이 마을에서, 이 마을 주민들에 의한, 마을잡지가 나왔다. 국16절 크기 100쪽 분량의 '양림사이다'가 그것이다. 골목과 골목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 그리고 과거와 현재 사이를 잇고 나눈다는 의미를 담아 '양림사이다'로 이름 붙였다.

주민과 응모자들로 편집위원회를 꾸리고, 그 주민들이 마을의 곳곳을 직접 누비며 발품을 팔아 사진을 찍고 글을 쓴 것이 특징이다. 발행인은 이복계 양림동 주민자치위원장이, 편집장은 정장윤 양림교회 장로가 각각 맡았다. 풀뿌리 미디어로 평가받는 이유다.

'양림사이다'는 사이다 한병, 사이다 두병, 사이다 세병 등으로 나눠 양림동의 소소한 골목과 사람, 숲을 화보 형식으로 소개하고 있다. 오웬기념각 100년의 숨은 이야기는 특집으로 다뤘다.

오웬 기념각. 선교사로 살다 순교한 오웬을 기념하는 건축물이다. 기념각의 내부가 재작년에 방영됐던 드라마 ‘각시탈’의 배경이 됐다.
 오웬 기념각. 선교사로 살다 순교한 오웬을 기념하는 건축물이다. 기념각의 내부가 재작년에 방영됐던 드라마 ‘각시탈’의 배경이 됐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초기 오웬기념각은 종교적 색체가 강한 건물이었다. 3·1운동 직후 일제가 충장로3가에 있던 북문안교회의 철거를 요구하자 기독교인들은 남문 밖의 금동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는데, 그 전까지 임시 교회로 이용된 것이 오웬기념각이었다. 1920년대 양림교회가 완공되기 전에도 임시 교회로 사용했다. 그럼에도 오웬기념각은 20세기 초엽 광주사람들에게 종교적인 건물 또는 종교의 공간 이상을 의미했다. 이제껏 경험하지 못했던 연극, 음악, 무용, 영화 등 갖가지 새로운 형태의 문화가 이곳에서 펼쳐졌던 까닭이다."

그러면서 오웬기념각에서 공연된 음악과 가극, 상영된 영화 등을 소개하며 당시의 분위기를 전하고 있다. 음악회는 관객들로부터 큰 환영을 받았고, 변사의 구슬픈 해설과 기막힌 열변은 관람석을 울음바다로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양림동에서 40년째 자전거 수리점을 운영하고 있는 김상복 어르신. 마을잡지 양림사이다가 만난 마을주민 가운데 한 명이다.
 양림동에서 40년째 자전거 수리점을 운영하고 있는 김상복 어르신. 마을잡지 양림사이다가 만난 마을주민 가운데 한 명이다.
ⓒ 이승찬

관련사진보기


1970년대 학강초등학교의 운동회 모습, 어린이들이 학교 운동장에 모여 매스게임을 하고 있다.
 1970년대 학강초등학교의 운동회 모습, 어린이들이 학교 운동장에 모여 매스게임을 하고 있다.
ⓒ 이승찬

관련사진보기


'골목 사이' 편에서는 양림오거리 숭일학교에서 방림동으로 가는 버드나무 길과 5·18 광주민주화운동 때 남편과 자식을 잃은 여성들의 쉼터인 오월어머니집을 소개하고 있다.

'사람 사이' 편에선 '윤혈녀'로 더 알려진 윤형숙(1898-1950)의 삶과 3·1운동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광주 3·1운동의 발상지인 수피아여학교에서 양림교회, 아리랑고개, 숭일학교, 양림오거리, 양파정 아래, 양림다리, 부동교, 작은장 만세터로 이어지는 광주3·1운동 만세길도 안내하고 있다.

'다시 양림' 편에서는 1940년대 학강초등학교의 학생 생활기록부와 1970년대 학교 운동회, 1950년대 학강 간이교 준공식 모습 등을 빛바랜 흑백사진과 함께 실어 추억 속의 양림동으로 이끈다.

광주 양림동에 있는 515갤러리. 전시실에서 음악회가 어우러져 색다른 볼거리를 주고 있다.
 광주 양림동에 있는 515갤러리. 전시실에서 음악회가 어우러져 색다른 볼거리를 주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양림 식구' 편에선 양림동에서만 66년 동안 쌀집을 운영하고 있는 정의순 어르신과 63년째 양화점을 이어오고 있는 서형식 어르신, 40년째 자전거 수리점을 운영하고 있는 김상복 어르신의 일상을 들여다봤다.

양림동에 새로 들어선 게스트하우스와 한옥식당, 쿠키공방, 문화공작소 갤러리도 함께 소개하고 있어 책장을 넘기는 재미를 더해준다. 양림동의 구석구석을 찾을 수 있는 문화지도도 덧붙여 놓았다.

정장윤 편집장은 "양림동의 사소하고 소소한 것들 모두가 지역의 보물"이라면서 "지난해 8월 마을 대표들이 모여서 우리 지역의 보물을 어떻게 보존하고 기록할 것인지 고민하다가 마을잡지를 생각했다"며 '양림사이다' 창간 취지를 설명했다. 마을잡지 '양림사이다'는 해마다 두 차례 펴낼 예정이다.

마을잡지 '양림사이다'의 내부. 마을에 사는 사람과 옛 건축물을 소개하고 있다. 마을주민들이 직접 발품을 팔아 만든 잡지다.
 마을잡지 '양림사이다'의 내부. 마을에 사는 사람과 옛 건축물을 소개하고 있다. 마을주민들이 직접 발품을 팔아 만든 잡지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태그:#양림사이다, #마을잡지, #양림동, #515갤러리, #오웬기념각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찰이 일상이고, 일상이 해찰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전남도청에서 홍보 업무를 맡고 있고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