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10일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사회단체 보조금 비리에 대해 전면감사 실시와 재발방지대책을 촉구했다.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10일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사회단체 보조금 비리에 대해 전면감사 실시와 재발방지대책을 촉구했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새마을운동협의회와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 한국자유총연맹 등 3개 관변단체에 지원되는 사회단체보조금 비리 의혹을 제기하고 전면 감사 실시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와 대구경실련,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 등 43개 시민사회단체는 10일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시 8개 구·군의 3개 관변단체 보조금 지급실태와 비리, 유착 의혹 등을 제기했다.

관변단체의 수상한 보조금 사용

이들은 지난달 28일 <뉴스타파>가 집중 보도한 대구지역 관변단체의 보조금 사용내역 전수조사 내용을 들며 보조금을 관리·감독해야 할 지자체가 보조금 신청부터 정산까지 대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뉴스타파>는 관련 보도를 통해 대구지역 300여 사회단체에 지급되는 보조금 총액 가운데 3개 단체가 36.4%인 11억9000만 원의 보조금을 지급 받았다고 지적했다. <뉴스타파>에 따르면, 관변단체의 보조금 중 경상비 비율은 60%에 달하고, 경상비 가운데 사무국장과 간사의 급여 등 순수 인건비 지출이 80%를 차지했다.

이어 <뉴스타파>는 관변단체가 쓴 보조금 가운데 식대의 비중은 구·군청 단위 조직에서는 10% 정도에 머물렀지만 동 단위 조직에서는 36%나 되고, 대구 남구의 한 관변단체 조직은 사업비 전액을 회원들의 식비로 썼다고 보도했다. <뉴스타파>는 이들 단체가 정부의 사회단체 보조금 관리지침에 명시된 식비 지출 관련 조항을 명백하게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대구지역 시민사회다체들은 10일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사회단체 보조금 비리에 대해 전면 감사를 실시할 것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사진은 시민단체들이 의혹을 제기한 관변단체의 보조금 신청서.
 대구지역 시민사회다체들은 10일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사회단체 보조금 비리에 대해 전면 감사를 실시할 것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사진은 시민단체들이 의혹을 제기한 관변단체의 보조금 신청서.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은재식 우리복지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대구 중구의 한 관변단체는 2013년, 시내 두 평짜리 식품가게에서 백지 간이영수증을 받아 호미, 곡괭이 등을 구입했다고 허위로 꾸민 40만 원짜리 영수증을 제출했다"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서구의 한 관변단체는 빗자루, 집게를 구입한 간이영수증을 첨부했지만 이 영수증은 고기와 술을 파는 식당에서 발행된 가짜 영수증이었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그는 "또다른 관변단체는 10여 차례 연탄나누기 행사비용으로 300만 원 가량의 보조금을 사용했지만 모두 간이영수증이었고, 이중 절반이 넘는 150만 원 어치의 연탄 구입처는 단체 전임 회장의 페인트 가게였다"고 폭로했다.

이날 기자회견을 연 단체들은 "매년 관행적으로 되풀이되는 간이영수증 사용과 공무원들이 직접 사업계획서 및 정산보고서 등을 작성해주는 행위는 지자체 장의 비호가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대구시에 관변단체와 지자체와의 유착, 사회단체보조금 비리에 대해 즉각적인 감사와 보조금 환수 및 고발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재발방지대책 마련도 촉구했다.

한편, 대구시는 "구·군 예산으로 사회단체보조금을 지급했기 때문에 직접 지도·점검할 수 없다"며 "각 구·군에서 오는 30일까지 지도점검을 한 후 결과를 보고 감사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태그:#관변단체, #사회단체보조금, #비리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