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국교육대학생연합(교대련·의장 조하나 부산교대 총학생회장)이 '시간선택제 교사 제도 도입 철회'를 내걸고 동맹휴업을 벌인다. 8일 교대련은 9일 전국 동시다발로 기자회견을 연 뒤 11일 권역별 집회를 벌인다고 밝혔다.

이날 수도권은 서대문 독립문 공원, 충청권은 세종시 교육부 앞, 경상권은 부산역 앞, 전라권은 광주 충장로, 제주는 제주시청 앞에서 각각 집회를 열고 시가 행진 한다.

교육부는 지난 3월 7일 '시간선택 교사제' 도입을 위한 입법예고에 들어갔다. 교대생들은 지난해 12월 이 제도 반대 서명운동을 벌여 5000여 명이 참여한 서명용지를 교육부에 전달 했다.

교대련, 전교조, 학부모 단체들은 지난 3일 서울 정부청사 앞에서 '시간선택제 교사 제도 도입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또 교대련은 전국 교육대학 동맹휴업 투표를 했다.

교대련은 이날 "누구를 위한 시간선택제 교사인가?"라는 제목의 성명서에서 "어느 누구보다도 한국 교육의 질을 생각해야 할 교육부가 그저 정부의 공공부문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을 아무런 교육철학 없이 그대로 추진하는 데 유감"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장 교사들은 업무, 수업준비, 학생생활지도 등 많은 일을 하고 있다. 그런 교사들에게 꼭 필요한 것은 교사들끼리의 업무협조나 연계"라며 "시간선택제 교사와 전일제 교사의 교류가 힘들어지면 교직사회에 분열과 갈등이 심각해진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동료 교원이나 학생들과의 불연속적인 관계로 학교 행정업무와 교육활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시간제 교원 상호 간 업무 인수·인계나 협조 또한 매끄럽지 못할 것"이라며 "교사의 연속적이지 못한 업무로 피해를 받는 것은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이 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시간선택제 교사의 신규 채용은 또 다른 비정규직 교사의 양산일 뿐이다"며 "교육부에서는 '정규직'이라고 못을 박고 있지만, 일주일에 2~3일 일하고, 그에 비례하여 받는 월급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기는 대단히 어렵다"고 강조했다.

교대련은 "지금까지 교육부가 했던 불통 방식이라면 신규 채용의 직접 당사자인 예비교사의 의견수렴을 제대로 한다는 말을 믿기 힘들다"며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시간선택제 교사 전환이 도입되면 신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시간선택제 교사 도입은 시간문제이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전국의 예비교사들이 민주적인 총투표를 통하여 시간선택제 교사 제도 철회를 위한 동맹휴업을 선포했다"며 "전국의 예비교사들의 이 행동은 시간선택제 교사 제도 도입을 반드시 철회하라는 의미"라고 밝혔다.


태그:#전구교육대학생연합, #시간선택제 교사제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이 기자의 최신기사"양수 발전 괜찮나?" 토론 12일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