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월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기자회견에서 김성주 할머니가 김주삼 도의원 부축을 받으며 취재진을 향해 "고맙다"는 인사말을 하고 있다.
 지난 1월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기자회견에서 김성주 할머니가 김주삼 도의원 부축을 받으며 취재진을 향해 "고맙다"는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김한영

관련사진보기


김주삼(새정치민주연합·군포2) 경기도의원이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 하는 시민모임'으로부터 '참 의정상'을 받았다.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 하는 시민모임'은 김 의원이 일제강점기 강제노역 피해를 입은 할머니들의 인권회복과 피해보상을 위해 열정적으로 의정활동을 펼친 것을 감사하는 의미에서 상을 주게 되었다는 것. 

경기도는 지난 2012년 11월, '경기도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 여성근로자 지원조례'를 제정했으나 재정부담 등을 이유로 조례를 시행하지 않았다. 이에 김 의원은 김문수 경기지사에게 5분 발언과 도정질의 등을 통해 조례 시행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김 의원의 집요한 요구 덕분에 경기도는 지난 3월 4일, 여성근로정신대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조례의 시행으로 경기도내에 거주하고 있는 34명의 피해 할머니들은 생활보조비 월 30만 원, 진료비 월 30만 원, 사망시 장제비 100만 원을 지원받게 됐다.

김 의원은 "경기도는 지원 조례를 성실히 실행해 피해 할머니 한 분 한 분에게 따뜻한 온정이 느껴지는 진정한 위로와 힘을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평균 나이 80이 넘는 고령의 피해 할머니들은 "일본에 가면 돈도 벌수 있고,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도 있다"는 거짓말에 속아, 일제 강점기 13-15세의 어린 나이에 일본 군수업체에 동원 돼 임금 한 푼 없이 중노동을 강요당했다. 

이들은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굶주림과 혹독한 감시 속에 하루 9-10시간 동안의 강제 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군수공장의 노동은 혹독했다. 키가 닿지 않아 사과 궤짝을 놓고 그 위에 위태롭게 서서 페인트칠을 해야 했으며, 찬 겨울 장갑 하나 없이 맨손으로 철판을 만지고 찬물에 부품을 씻느라 손등은 퉁퉁 붓고 갈라지는 고통을 당해야 했다.

이렇게 열악한 작업환경과 강요된 할당량 때문에 김성주(86세. 안양시) 할머니는 선반 작업을 하다가 손가락이 잘리는 사고를 당하기도 했다.

김주삼 의원은 지난 1월 22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김성주 할머니 등 피해할머니들과 기자회견을 갖고 "한계 연령에 달한 피해 할머니들이 질병과 생활고에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며 행정심판 청구와 함께 지원조례 시행을 강력히 촉구한 바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경기도는 3월 5일 보도자료를 내고 '여성근로정신대 지원 결정'을 표명하게 됐다.

김 의원은 "경기도의 지원조례 시행 결정을 계기로 다른 광역자치단체에서도 관련 조례 제정이 확산하는 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태그:#김주삼, #경기도의원, #근로정신대, #경기도의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