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31일 오전 경상북도 포항시 송라면 조사리 해수욕장 일대에서는 지난 1993년 '팀스피릿' 훈련 이래 21년만에 최대 규모의 한미 연합상륙작전이 실시됐다.

이날 훈련에는 한국 측에서 해병대 2000여 명, 해군 1000여 명, 미국 측에서 해병대 7500여 명 등 총 1만 2500여 명의 병력이 참가했다. 한미 양국군만 참가하던 예년과는 달리 이번에 공개된 훈련에는 호주군 130여 명도 참가했다.

훈련에는 미 제3해병원정단(MEB)이 보유한 최신형 수직이착륙기인 '오스프리(MV-22) 22대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자랑했다. 이날 언론에 공개된 훈련은 한미 양국 해병대가 상륙돌격장갑차, 공기부양정에 탑승하고 해안에 상륙하는 내용의 상륙돌격작전이다.

이에 앞서 한·미 양연합군은 지난 27일 제주도 남방 해상에서 합류해 훈련지역으로 이동, 이날 최종 상륙지점인 포항에서 모든 병력이 동원된 가운데 상륙돌격작전을 펼쳤다.

주한 미군사령부는 "쌍용훈련은 한미해병 및 해군이 재난구조에서 복합적 원정 작전에 이르는 다양한 범위의 작전 연습을 통해, 양국군의 상호운영성과 업무운영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례연습"이라고 강조했다.

북한, 31일 오전 '해상사격구역 설정, 사격훈련' 통보

반면 지난달 '키 리졸브'와 독수리연습 등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시작되자 동해상으로 300mm 신형 방사포와 스커드 미사일, 프로그 로켓 등을 발사하며 무력시위에 나섰던 북한은 이날 서해 북방 NLL인근 해상에서 사격훈련을 실시했다.

북한은 지난 24일에도 <노동신문> '사나운 발톱을 드러낸 침략의 독수리'라는 논평을 통해 "전형적인 공격훈련임에도 미국은 그 무슨 방어적 성격의 훈련이니, 도발대비니 하는 뻔뻔스런 수작을 내뱉으면서 우리 공화국에 대한 불의의 선제공격으로 북침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광을 하고 있다"고 비난한 바 있다.

북한군 서남전선사령부는 31일 오전 8시 우리 해군 2함대사령부 앞으로 전화통지문을 보내 NLL인근 해상 7개 지점에 해상사격구역을 설정하고 이날 중으로 사격훈련을 하겠다고 통보한 데 이어, 12시 15분께부터 NLL 북쪽해상에서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이날 북측의 사격 훈련은 한미 연합훈련에 대응하는 성격으로 풀이되지만, NLL인근 해상에 해상사격구역 설정을 통보하고 사격에 나선 것은 아주 이례적인 일이다.

국방부 위용섭 부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북측의) 사격계획 통보와 관련해서 우리를 위협하려는 적대적 의도가 내포되어 있고, NLL 인근지역에 대한 불필요한 긴장조성을 통해서 한반도에 위기상황을 고조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이날 낮 12시 15분께부터 서해북방한계선(NLL)을 향해 발사한 수십 발의 포탄 중 일부가 NLL 남쪽 해상으로 떨어졌으며, 이날 낮 12시 40분부터 연평·백령도 주민이 대피소로 이동했다고 군 당국은 밝혔다.

합동참모본부(아래 합참)는 이날 오후"북한의 해상사격 훈련 중 NLL 이남 지역에 (북측 포탄) 일부가 낙탄했다"며 "우리 군도 NLL 인근 이북 해상으로 K-9 자주포로 대응 사격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은 NLL 남쪽 해상으로 떨어진 북한군 포탄 수만큼 NLL 북쪽 해상으로 대응사격을 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지난 2010년 8월 9일에도 서해상으로 117발의 해안포를 사격했으며 이 가운데 10여 발이 백령도 북쪽 NLL 1∼2㎞ 남쪽 해상으로 떨어진 바 있다.

북한군의 NLL 해상사격훈련에 대비해 우리 군은 육·해·공군 합동지원세력이 비상 대기 상태에 돌입했다. 육군과 해병대는 화력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고, 공군의 F-15K 전투기와 해군 함정도 초계 활동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현재 NLL 남쪽으로 떨어진 북한의 포탄 수와 우리 군이 대응사격했던 K-9 자주포 포탄 수는 밝히지 않고 있다. 북한의 사격훈련이 이날 오후 1시 30분께부터 중지된 가운데, 합참은 사격이 종료된 후 우리 군과 북한군의 사격 현황 등에 대해 브리핑 할 예정이다.


태그:#북한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