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인천오페라합창단의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이 시작되자 태극기를 든 채 자리에서 일어나고 있다.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 김한길 민주당 대표,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강운태 광주시장, 박준영 전남지사는 제창한 데 반해 박 대통령과 박승춘 보훈처장은 자리에서 일어났을 뿐 노래를 부르지는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인천오페라합창단의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이 시작되자 태극기를 든 채 자리에서 일어나고 있다.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 김한길 민주당 대표,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강운태 광주시장, 박준영 전남지사는 제창한 데 반해 박 대통령과 박승춘 보훈처장은 자리에서 일어났을 뿐 노래를 부르지는 않았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오전 10시 광주 5.18국립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33주년 기념식'에 참석했다. 현직 대통령이 5.18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5년 만이다. 이날 기념식엔 5.18유가족과 5.18유공자,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김한길 민주당 대표,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 무소속 안철수 의원 등 정치권 인사도 참석했다. 김범일 대구광역시장은 역대 대구 시장 가운데 처음으로 5.18기념식에 참석해 주목을 받았다.

박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매번 5.18 국립묘지를 방문할 때마다 가족들과 광주의 아픔을 느낀다"며 "영령들께서 남기신 뜻을 받들어 보다 더 성숙한 민주주의를 만드는 것이 그 희생과 아픔에 보답하는 길이라고 믿는다"고 추념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박 대통령은 "산업화와 민주화의 고비를 넘어선 우리 앞에 지금 또 다른 도전이 기다리고 있다"며 "세계가 놀란 경제성장으로 국가는 크게 발전했지만 국민의 삶은 그만큼 행복하지 못하고, 민주주의의 큰 진전을 이뤄냈지만 계층간, 지역간, 세대간 갈등의 골은 메워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이제 5.18 정신은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으로 승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민주주의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민행복이고, 국민행복시대를 열어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정부는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논란이 돼 온 <임을 위한 행진곡>이 합창되는 동안 태극기를 들고 기립했지만 노래는 따라 부르지 않았다. 5.18유가족과 5.18유공자들 그리고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김한길 민주당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이 합창되자 함께 불렀다.

안철수 무소속 의원과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가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안철수 무소속 의원과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가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한편 5.18유가족과 5.18부상자 등 5월 단체 회원 70여 명은 기념식이 시작되기 전인 오전 9시부터 약 한 시간 동안 5.18국립묘지 민주의 문 앞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기념곡으로 지정하라"고 요구하며 연좌시위를 벌인 뒤 기념식에 참석했다.

오월 단체 회원들은 "이 노래 어디에 대한민국을 전복하자는 내용이 있나, 이 노래 어디에 대통령을 죽이자는 가사가 있나"며 "망월동이 통곡한다, 임을 행진곡 제창하자"고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특히 박근혜 대통령에게 "33년 동안 불러온 노래가 공식 기념곡이 아니면 무엇이냐"며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을 즉각 경질해서 수모 당한 5.18의 자존심을 지키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안철수 의원이 18일 오전 5.18유가족 등 오월단체 회원들이 5.18 33주년 기념식에 앞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기념식 공식 기념곡으로 제창하게 해달라"며 연좌 농성을 벌이는 곳을 전격 방문해 위로하고 있다.
 안철수 의원이 18일 오전 5.18유가족 등 오월단체 회원들이 5.18 33주년 기념식에 앞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기념식 공식 기념곡으로 제창하게 해달라"며 연좌 농성을 벌이는 곳을 전격 방문해 위로하고 있다.
ⓒ 이주빈

관련사진보기


특히 안철수 의원은 기념식 입장에 앞서 농성을 벌이는 오월단체 회원들을 방문해 손을 잡으며 인사했다. 한 회원이 "정치는 국회에서 하라"고 항의하기도 했지만 5.18유가족들은 손을 내밀어 안 의원과 인사하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맘껏 부르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국회 본회의장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며 이 노래의 제창과 5.18기념곡 공식 지정을 촉구해 온 강기정 민주당 의원은 오월단체 회원들에게 "임을 위한 행진곡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는 민주주의 문제도 아닌 광주의 자존심 문제"라며 "저라도 불참하겠다"며 광주광역시의원들과 함께 5.18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이 5년 만에 5.18기념식에 참석했지만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문제로 그 의미가 반감됐다는 평가다. 전임 이명박 정부가 뚜렷한 이유 없이 5.18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퇴출시키려고 했던 행태가 새정부의 국가보훈처에 의해 반복됐기 때문이다.

또 박 대통령이 광주의 정서를 감안해 <임을 위한 행진곡>이 합창되는 동안 태극기를 들고 기립은 했지만 노래를 따라 부르지는 않은 것에 대한 평가도 엇갈리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부터 김한길 민주당 대표,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박 대통령, 강운태 광주시장, 박준영 전남지사.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부터 김한길 민주당 대표,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박 대통령, 강운태 광주시장, 박준영 전남지사.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광주의 한 기초자치단체장은 "대통령께서 나름의 성의를 갖고 광주를 껴안으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강기정 의원은 "광주와 5.18에 대한 애매한 박 대통령의 자세를 그대로 드러냈다"며 "박 대통령이 국민대통합을 스스로 걷어 차버렸다"고 혹평했다.

끝이 안 보이는 '윤창중 성추행 정국'의 획기적인 국면전환을 노리는 박근혜 대통령. 적어도 5.18 광주에서 박 대통령의 출구전략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태그:#안철수, #5.18, #박근혜, #임을?위한?행진곡, #윤창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