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반핵부산시민대책위 등 반핵관련 부산울산경남 지역 단체들이 11일 오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고리1호기 폐로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있다. 참석자들이 고리1호기 정비에 투입하는 예산을 밑빠진 독에 물붓기에 비유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 등 반핵관련 부산울산경남 지역 단체들이 11일 오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고리1호기 폐로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있다. 참석자들이 고리1호기 정비에 투입하는 예산을 밑빠진 독에 물붓기에 비유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
ⓒ 반핵부산시민대책위

관련사진보기


계획예방정비를 앞두고 있는 고리원전 1호기의 폐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한수원이 12일부터 시작하는 고리1호기의 계획정비가 사실상의 2차 수명연장 시도라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논란이 증폭되는 형태다.

11일 부산반핵시민대책위를 비롯한 부산·울산·경남 지역 반핵단체들은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계획정비가 "고리1호기의 남은 가동기간이 4년도 채 되지 않음을 감안할 때 사실상 2차 수명연장을 위한 순서밟기에 들어간 것"이라 주장했다.

앞서 김제남 의원(진보정의당)은 2013년도에 교체되거나 정비되는 고리1호기의 부품 등의 예산이 2382억 원이라 공개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고리1호기는 중요설비 시공비용 725억 원을 포함해 설비부품 설계 및 제작 기지출 비용 등으로 이같은 금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들 단체들은 이러한 내용을 지적하며 "대다수 국민의 요구와 안전을 생각할 때 엄청난 국민혈세를 들여 계획예방정비를 시행할 것이 아니라 폐로를 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리1호기 수명 재연장 논란... 한수원, "2006년부터 계획된 사업" 반박

반핵부산시민대책위 등 반핵관련 부산울산경남 지역 단체들이 11일 오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고리1호기 폐로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 등 반핵관련 부산울산경남 지역 단체들이 11일 오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고리1호기 폐로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반핵부산시민대책위

관련사진보기


또 이들 단체는 지난 4일 계획예방정비 직후 고장으로 멈춰선 고리4호기를 가리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무려 50여 명을 투입해 정밀점검을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장을 일으킨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들 단체는 "이로써 한수원과 한전이 원전의 운영과 점검 작업을 얼마나 안일하게 진행하고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 주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반핵단체들은 고리원전의 노후화에 우려를 표명하고 안정성과 경제성 평가를 주문했다. 이들은 "고리핵발전소 6기 중 4기는 1970~1980년대에 지어진 핵발전소"라며 "핵발전이 노후화되면 잦은 고장으로 인한 운행기간 축소, 방사성폐기물 증가 등으로 운영비 등 관리비용은 증가되는 반면, 운전효율 하락으로 수익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러한 반핵단체들의 지적에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반박 자료를 냈다. 한수원은 "2013년에 고리1호기에 투입될 금액은 1022억 원"이라며 "2382억 원은 과거 5년 동안 발전소 부품교체에 투입된 금액 1360억 원과 2013년에 투입되는 금액 1022억 원을 합한 금액"이라고 밝혔다. 

또 한수원은 이번 계획정비가 "2006년부터 미리 계획된 사업을 일정에 따라 설비개선을 추진하는 것이며 2차 계속운전과는 관계가 없다"고 해명했다.


태그:#고리원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