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성수동 이마트 본사 직원들이 사무실을 오가고 있다.
 성수동 이마트 본사 직원들이 사무실을 오가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신세계 그룹 이마트가 1일, 전국 146개 매장의 상품진열도급사원 9100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지난 2월 말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으로 불법파견이 적발돼 직접고용명령이 내려진 지 한 달여 만이다. 사회 전반적으로 대규모 정규직 전환을 반기는 분위기지만, 그 과정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에 정규직 채용된 직원들은 신선식품, 일반영업, 지원업무, 가정간편식(HMR) 등 4가지 전문영역에서 근무하게 된다. 이마트 측은 "당초 근무인력보다 정규직으로의 채용인력이 줄어들면서 부족인원에 대해서는 점별 상황에 따라 추가로 정규직 채용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정규직으로 채용한 인력은 중도퇴사 의사를 밝힌 사원들을 제외한 총 대상자의 85%수준이다.

이마트는 이와 별도로 1821명의 전문판매사원을 오는 5월 1일자로 정규직으로 채용하기로 했으며 현재 입사전형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마트 측은 "정규직 전환에 따라 각종 직무수당이 신설되고 임직원 할인제도 등이 새로 적용되며 추가로 드는 비용은 650억 원 가량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정규직 채용 내용과 근로조건 공개하라"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 기업에서 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대규모 정규직 전환이 이뤄졌지만, 그 과정과 전환 대상자의 처우 문제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인력이 속한 '전문직2 직군'이 전환 전 도급사원보다 처우가 못하다는 제보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노웅래 민주통합당 의원은 이날 논평을 내고 "지난 1월 신세계 이마트 직원들에 대한 불법 사찰, 부당 노동행위 등에 대한 문제제기 이후 나타난 변화는 우리 노동운동사에 한 획을 긋는 일대 사건으로 평가할 수 있다"며 "이번 정규직 전환은 불법 하도급을 통해 1등 할인점이 되었던 신세계 이마트가 정치권과 시민사회, 고용노동부의 문제제기에 승복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기존 직원들에 비해 64% 임금 수준을 받는 전문직 2직군으로 전환하는 아쉬움이 남아 있다"며 "신세계 이마트가 실질적인 정규직 전환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우선 노조원 사찰 문제, 합법적인 노동조합 활동 보장 등과 관련된 책임 있는 가시적 조치를 취하고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 의원은 "이마트는 정상적인 경영을 위해 노동조합과 적극적인 대화엔 나서야 한다"며 "합법적인 노조 활동을 보장하고, 직원들에 대한 불법 사찰, 부당노동행위 등에 대해서도 진정성 있는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규직 채용 뒤 임금수준 저하될 것이란 우려 제기돼"

이마트가 발표한 판매전문사원(SE) 정규직 전환 계획에도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마트는 이번 도급사원 정규직 전환에 이어 오는 5월 1일 판매전문사원 1800여 명을 정규직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은 이와 관련해 보도자료를 내고 "정규직 채용 대상인 판매도급사원과 판매전문사원 등 누구도 자신이 정규직으로 채용될 경우 적용받을 근로조건에 대해 이마트로부터 정확하게 고지 받은 바 없다는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며 "정규직 채용이 회사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회사가 연장근로 등 초과근로시간을 제한하여 임금수준이 오히려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 된다"며 ▲판매도급사원과 판매전문사원에 대한 정규직 채용 내역과 적용되는 근로조건 내역 즉각 공개 ▲기존 인력업체에게 지급하던 수수료를 포함한 노무비와 정규직 채용으로 증가하는 인건비 내역 공개 ▲고용노동부는 이마트의 불법파견에 대한 감독 내용과 불법파견 시정여부에 대한 결과 공개를 요구했다.


태그:#이마트, #정규직, #노웅래, #신세계, #서비스연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