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천성산 지킴이'로 알려진 지율 스님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관에서 4대강 다큐멘터리 '모래가 흐르는 강' 시사회를 열고 인사말을 하기 위해 무대로 나오고 있다.
지율 스님은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환경파괴를 알리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내성천 강가에 머물며 영주댐 건설공사로 인한 내성천의 변화 모습을 기록했다. 지율 스님이 직접 촬영, 편집, 제작한 다큐멘터리는 오는 28일 독립영화관 인디스페이스, 인디플러스 외 전국 주요 도시에서 상영될 예정이다.
▲ 영화감독으로 인사하는 지율스님 '천성산 지킴이'로 알려진 지율 스님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관에서 4대강 다큐멘터리 '모래가 흐르는 강' 시사회를 열고 인사말을 하기 위해 무대로 나오고 있다. 지율 스님은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환경파괴를 알리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내성천 강가에 머물며 영주댐 건설공사로 인한 내성천의 변화 모습을 기록했다. 지율 스님이 직접 촬영, 편집, 제작한 다큐멘터리는 오는 28일 독립영화관 인디스페이스, 인디플러스 외 전국 주요 도시에서 상영될 예정이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물길 따라 내려온 모래는 조용히 두 발을 감싸 안았다. 몇 초 후 모래에 폭 안긴 지율 스님의 발은 더 이상 보이지 않았다.

지율 스님이 직접 촬영한 영상을 모아 만든 다큐멘터리 영화 <모래가 흐르는 강> 속 한 장면이다. 2005년 천성산을 지키기 위해 음식을 끊었던 스님은 2008년 9월, 카메라를 들었다. 이명박 정부가 4대강살리기사업을 착공한다는 뉴스를 본 직후였다.

공사로 파헤쳐진 산, 무너져가는 강을 기록하던 스님은 2011년 낙동강 지류인 경상북도 영주시 내성천에 이르렀다. 빗물과 함께 스며든 소백산 암석은 금빛 모래로 변해 내성천에 흘렀다. 하지만 내성천 하류에는 4대강 사업의 하나로 두 개의 보가 들어설 예정이었고, 상류에는 영주댐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그때부터 내성천은 계속 본래의 아름다움을 잃어가고 있다.

지율 스님은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린 <모래가 흐르는 강> 시사회에서 "(촬영 기간 동안) 항상 슬프고, 항상 기뻤다"고 말했다. "제 경험을 사람들과 어떻게 나눠야 사회가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꿀 수 있을까 (고민하며) 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촬영 어려워도 카메라 꽉 잡은 스님 "너무 낡아 주인에게 못 돌려줄 정도"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관에서 열린 지율스님의 4대강 다큐멘터리 '모래가 흐르는 강' 시사회에 관람객들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자리를 나서고 있다.
▲ 지율스님 타큐 '모래가 흐르는 강' 첫 시사회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관에서 열린 지율스님의 4대강 다큐멘터리 '모래가 흐르는 강' 시사회에 관람객들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자리를 나서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천성산 지킴이'로 알려진 지율 스님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관에서 열린 4대강 다큐멘터리 '모래가 흐르는 강' 시사회에서 관람객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 4대강 다큐멘터리 제작한 지율스님 '천성산 지킴이'로 알려진 지율 스님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관에서 열린 4대강 다큐멘터리 '모래가 흐르는 강' 시사회에서 관람객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촬영 한 번 배운 적 없는 스님이 4년간 영상을 찍고, 한 시간 정도 편집 교육을 받고 75분짜리 다큐멘터리를 완성하는 일 역시 쉽지 않았다. 지율 스님은 "캠코더가 없어서 빌렸는데, (촬영) 끝에는 많이 써서 거의 중고가 되는 바람에 (주인에게) 돌려주지 못하고 있다"며 쑥스러워했다.

그럼에도 "영화의 기술적 부분이 부족해도, 뜻을 담아낼 수 있다면 자연을 보는 시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었던 스님은 카메라를 놓지 않았다. 스님의 뚝심 덕택에 <모래가 흐르는 강>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

4대강사업 반대운동에 힘써온 김정욱 서울대 명예교수는 영화를 본 뒤 "(지율 스님께) 너무 고맙다"고 말했다. 그는 "(4대강 사업지역 피해를) 사진으로 보다가 영상으로 접하니 느낌이 남다르고, 속도 더 상한다"며 "많은 사람들이 꼭 봤으면 좋겠다"고 했다. 경기도 수원에서 온 조영숙(55·주부)씨는 "모래가 흐르던 맑은 물이 죽어가는 모습에 마음이 아팠다"며 4대강사업으로 변해버린 내성천의 모습에 안타까워했다.

영화는 3월 28일 극장에서 개봉한다. 제작과 배급을 맡은 영화사 '시네마 달'은 더 많은 관객과 만나기 위해 3월 17일까지 배급위원단을 모집하고 있다. 시네마 달은 소셜펀딩 사이트 '텀블벅' 등으로 참여한 배급위원들에게 감사의 표시로 엔딩 크레딧에 이름을 새기고, 시사회 초대권을 증정할 예정이다.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관에서 열린 지율스님의 4대강 다큐멘터리 '모래가 흐르는 강' 시사회에 한 시민이 다큐멘터리를 지켜본 뒤 눈물을 훔치고 있다.
▲ 눈물 바다가 된 지율스님의 다큐 '모래가 흐르는 강'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관에서 열린 지율스님의 4대강 다큐멘터리 '모래가 흐르는 강' 시사회에 한 시민이 다큐멘터리를 지켜본 뒤 눈물을 훔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태그:#4대강, #내성천, #지율 스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진기자. 진심의 무게처럼 묵직한 카메라로 담는 한 컷 한 컷이 외로운 섬처럼 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길 바라며 오늘도 묵묵히 셔터를 누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