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는 '2013 2월22일상' 수상자로 김경훈 김종술 소중한 윤찬영 이규정 이동철 이상규 이숙경 이종필 최오균 한만송 황주찬 총 12명의 시민기자를 선정했습니다. '2월22일상'은 한 해 동안 꾸준히 좋은 기사를 쓴 시민기자에게 드리는 상입니다.

시상식은 2013년 2월 22일 <오마이뉴스> 상암동 사무실에서 치러집니다. '2013 2월22일상'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50만원을 드립니다. 이 자리에서는 '2012 올해의 뉴스게릴라상'과 '2012 특별상', '2012 올해의 기사상', 시민기자 명예의 전당 시상식도 함께 열립니다. 수상하신 모든 분들께 축하인사 드립니다. [편집자말]
김종술 기자.
 김종술 기자.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김종술 기자] "'죽이겠다'는 협박까지 들었지만..."

김종술 기자는 구체적 물증으로 4대강 사업을 비판하는 기자다. 최병성 <오마이뉴스> 시민기자가 4대강 사업 검증 총사령관이라 한다면, 김 기자는 금강 지역의 야전사령관이다. 그만큼 김 기자는 생생한 글과 사진으로 금강의 아픔을 독자에게 전했다.

김 기자가 쓴 '금강 백제보 부근 물고기 떼죽음... 수천 마리 떠올라'는 4대강 사업 문제점을 다시 전국적인 이슈로 만들었다. 그는 금강 물고기 떼죽음을 통해 4대강 사업이 '반 생명' 사업임을 보여줬다.

하지만 김 기자의 기사를 보면서 걱정이 들기도 했다. 지금이야 이명박 정권 말기여서 보수 언론마저 4대강 사업을 비판하지만, 그 이전에는 이게 어디 쉬운 일인가. 대통령이 올인하는 사업을 비판하는 한 시민으로서 부담이 있지 않았을까? 게다가 그는 해당 지역(충남 공주)에 사는 주민으로서 이해관계도 얽혀 있을 텐데.

"겁나는 일 많았습니다. 협박 많이 받았어요. 대놓고 '죽이겠다'고 하는 이야기까지 들었죠. 시공사의 정보 제공자도 '조심하라'더군요. 관공서의 아는 분들이 저에게 '조심하라'고 했고."

그는 이런 어려움에도 왜 끝까지 기사를 썼을까.

"제가 전남 장성에서 태어났는데, 집 뒤에 채석장이 있었어요. 어렸을 때는 몰랐는데 채석장 때문인지 동네 어른들 대부분이 단명하시고, 아버지도 폐암으로 돌아가셨어요. 나중에 산재 판정 받았죠. 그 뒤로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아요. 금강의 아름다움에 반해 제가 서울에서 공주로 이사왔는데, 하필 정부가 4대강 사업을 하더라고요. 안 되겠다는 생각에 만사 제쳐두고 뛰어들었죠. 좋아서 하는 일이에요."

이명박 정권이 끝날 때가 되자 보수언론은 물론이고, 감사원마저 4대강 사업을 비판하는 요즘. 김 기자는 지금 어떤 이슈를 지켜보고 있을까?

"골프장과 채석장 문제에 관심이 많아요. 허가권 판매 등 구조적인 문제도 그렇고, 건설로 인한 피해는 그 지역 주민들이 보는데 혜택은 다른 이들이 챙겨가거든요. 해당 지역 주민들도 '어떻게 하느냐'고 연락을 해와요. 그럼 재능기부 한다는 생각에 달려가지요."

윤찬영 기자.
 윤찬영 기자.
ⓒ 윤찬영

관련사진보기


[윤찬영 기자] "일상의 문제로 정치 이야기 하고 싶어"

최근 개봉 영화나 신작 드라마 등은 <오마이뉴스> 시민기자에게 좋은 글 소재다. 많은 사람이 최신 작품의 정보를 원하는데, 기사가 '단순 정보'만을 제공해서는 곤란하다. 관련 기사가 <오마이뉴스> 메인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정보 전달 이외에 다른 '무엇'이 필요하다. 

윤찬영 기자의 글은, 다른 그 무엇을 보여주는 가장 적절한 예다. 그의 기사는 항상 따끈따끈하다. 현재 가장 이슈가 되는 영화나 드라마 등을 소재로, 우리 시대에 필요한 이야기를 끄집어 내기 때문이다. 윤 기자는 자신이 글이 "시대의 화두를 던지는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미 그의 글은 우리 사회를 돌아보게 하는 힘이 있다.

그는 영화 <아저씨>를 통해 '난세'를 이야기하고, <광해>로 '지도자'를 언급했으며, 드라마 <골든타임>으로는 '의료 선진화'의 허구를 파헤쳤다. 이렇게 그는 영화와 드라마에 우리 사회 현실이 녹아 있고, 그것들이 다시 우리를 성찰케 한다는 걸 잘 보여준다.

영화 등 대중 예술로 사회 문제를 쉽게 풀어쓰는 윤찬영 기자. 아니나 다를까. 현재 그는 틈틈이 영화 시나리오도 준비중이라고 했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매우 인상적으로 봤어요. 영국 탄광촌에서 일어나는 일로 당시 신자유주의의 폐해를 그린 영화인데, 저도 그 작품처럼 우리들 일상의 문제로 정치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노골적인 대사 없이 은근하게 그 시대상을 녹여낼 수 있는."

은근히 기대된다. 윤찬영 기자의 '작품'을 스크린으로 볼 날이 말이다.

이종필 기자.
 이종필 기자.
ⓒ 이종필

관련사진보기


[이종필 기자] 물리학자의 논리정연한 칼럼... "새 진보 고민한다"

이종필 기자는 공식적으로 입자물리학을 연구하는 물리학자다. 현재 한국과학기술대학교에서 공부하고 가르치며, 자체 홈페이지(www.tenelux.com)도 운영한다. 최근에는 <물리학 클래식>도 출간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이종필 기자를 설명할 수 없다. 그는 과학자인 동시에 날카로운 칼럼니스트이기 때문이다. 어떤 사건이 터지고 그에 대한 예리한 글 한 편이 절실할 때, 여지없이 그가 등장한다.

비록 당사자는 시사평론을 '취미'라 칭하고, <오마이뉴스>를 '놀이터'로 정의하는 겸양을 보이지만, 그의 글은 결코 만만치 않다. 깊은 내공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의 글은 언제나 진중하고 사건의 정곡을 찌른다. 큰 이슈든 어처구니 없는 일이든, 이종필 기자는 논리정연함으로 사건의 본질을 보여준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에 쓴 '그들은 제2의 노무현 탄생이 싫었다'가 대표적이다. 이 기사는 <오마이뉴스>에서 점수 5만7628점을 기록하고, 시민 2093명에게 자발적원고료 721만7000원을 받았다.

그는 이 기사와 관련해 "내가 이런 저런 글을 많이 써왔는데, 결국은 그 기사 하나 쓰려고 지금까지 그렇게 많은 글을 썼던가"라는 소회를 밝혔다. 실제 이 글은 많은 이들에게 힘이 되었다. 전직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 앞에서 많은 이들이 어찌할 바를 모르던 상황. 이 기자는 많은 시민이 흘린 눈물은 무슨 의미인지, 앞으로 뭘 해야 하는지 등을 글로 잘 보여줬다.   

사실 이 기자는 <오마이뉴스>에 많은 글을 쓰지 않았다. 그는 오랜시간 공들여 1년에 10편 정도의 기사를 섰다. 하지만 2012년에는 총선과 대선 탓에 많은 기사를 섰다. 이 기자는 "내적으로 에너지가 고갈됐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

"'엣지' 있는 모습으로 새로운 진보를 구성하고 싶어요. (진보는) 헐벗고 굶주려야 가치 있다는 기존 운동방식을 버리고, 다 같이 잘 먹고 잘 살 수 있다는 모습을 보여야죠. 더불어 진보의 재구성은 제대로 된 문명사회를 지향해야 해요. 단순히 경제수치만 높은 선진국이 아닌 문명사회. 저는 그 과정에서 과학자로서 제 역할을 찾고 싶어요. 어차피 미래 문명사회는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해야 하니까요."

한만송 기자.
 한만송 기자.
ⓒ 한만송

관련사진보기


[한만송 기자] "어설픈 의원보다 좋은 지역신문이 낫다"

<오마이뉴스>에게 지역신문 기자는 소중한 존재이다. 시민기자 제도를 운영하는 <오마이뉴스>는 다른 매체에 비해 생생한 현장 이야기가 많다. 지역신문 기자들은 <오마이뉴스>를 통해 지역 이슈를 전국 의제로 만든다.

과도한 중앙 중심 사고 탓에 놓쳤거나, 중앙지가 의도적으로 외면한 사건을 따끈따끈한 뉴스로 생산하는 그들. <오마이뉴스>가 지향하는 풀뿌리 민주주의와 깊이 관련된 일이다. 

한만송 기자는 인천 지역신문 <부평신문>의 기자다. 또 그는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서 앞에서 설명한 역할을 휼륭하게 해낸다. 한 기자는 "어설픈 국회의원 서넛보다 알찬 지역신문 하나가 낫다"는 신념으로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갖고 있다.

실제 그는 2012년 4.11총선 때 인천지역에 다량의 <조선일보>가 무료 배포되는 현장을 특종보도했다. (관련 기사 : 투표 4일전 <조선일보>는 왜 신문을 무료 배포할까?) 또 2012년 11월에는 연평도 등 남북 접경지를 찾아가 생생한 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전했다.

하지만 지역신문 기자로서 <오마이뉴스>에 기사를 제공하는 게 쉽지만은 않을 듯하다. 매체 성향이 완전히 일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오마이뉴스>가 좋아하는 기사가 있고 지역신문이 써야 할 기사가 있죠. 지역에서는 큰 시설을 유치하면 그게 주요 조식이 되지만, <오마이뉴스>는 당연히 그렇게 가지는 않죠. <오마이뉴스>를 거쳐 지역 뉴스가 포털에 오르는 등 좋은 점이 많은데, <오마이뉴스>의 '색깔' 때문에 지역에서 종종 오해를 받기도 해요."

그럼에도 그는 <오마이뉴스>의 방향성에 적극 공감한다. 지역신문이 지향하는 지역의 이야기가 곧 우리가 나누어야 할 시민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시민기자가 쓴다는 것 자체가 경쟁력입니다. 하지만 요즘 <오마이뉴스>가 중앙지를 따라가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대선올레나 총선버스 등 현장성 기사가 나와야 합니다. <조선일보> <한겨레>와 차별있는 기사를 전략적으로 배치해야지요."

9년 전, 한 기자는 <오마이뉴스>에게 많은 것을 배우고 자극받은 신입기자였다. 하지만 이제 그는 지역신문의 대들보 같은 존재가 됐다. 그는 지금도 "중앙이 무너져도 풀뿌리가 무너지지 않으면 민주주의는 지킬 수 있다"라는 신념으로 현장을 누비고 있다.




태그:#2월22일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와 사회학, 북한학을 전공한 사회학도입니다. 물류와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일을 했었고, 2022년 강동구의회 의원이 되었습니다. 일상의 정치, 정치의 일상화를 꿈꾸는 17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하여 제가 선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