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있는 월성원자력발전소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있는 월성원자력발전소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월성원전1호기의 수명이 종료돼 가동이 중단된 가운데 경주시민들은 수명연장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경주 월성원전방폐장 민간환경감시기구'가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주시민 71.6%가 수명을 연장하는 데 반대했다. 찬성은 24.6%에 불과했다. 경주 월성원전방폐장 민간환경감시기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1월 16일부터 12월 5일까지 경주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월성원전 1호기 계속운전 관련 주민의식조사'를 실시했다.

원전 안전정책 및 대책에 대해서는 66.8%가 미흡하다고 답했고 10.6%만이 충분하다는 대답을 했다. 지난해 진행된 IAEA의 월성1호기 안전성 평가결과 신뢰도에 대해서도 61.2%가 신뢰하지 않고 있으며 13.6%만이 신뢰한다고 답했다.

수명연장 추진과정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과제로는 원전 안전성 검사가 35.6%로 가장 높았고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대답이 26.8%인 반면에 지역지원금 지급에 대해서는 6.4%에 불과해 일부에서 지역지원금과 수명연장을 거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주민들이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성명을 발표하고 박근혜 당선인이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과 관련해 유럽형 스트레스테스트를 실시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주역민의 뜻에 어긋난다며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지난달 29일 정지된 월성원전 1호기 발전기를 수리하는 모습
▲ 발전기 수리중 지난달 29일 정지된 월성원전 1호기 발전기를 수리하는 모습
ⓒ 월성원자력본부 제공

관련사진보기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월성1호기의 수명연장 문제는 단순히 기술적 안전성 평가만으로 접근해선 안 된다"며 "71.6%에 달하는 경주시민의 민의를 받아들여 즉각적인 영구폐쇄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해 진행된 IAEA의 월성원전1호기 안전성 평가결과 신뢰도에 대해서도 주민들이 신뢰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의 원전 안전정책, 안전성 평가, 국제기구의 안전성 평가에 대해 총제척인 불신을 보이고 있는 여론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은 "돈다발을 흔들고 다니며 경제적 보상이 경주시민의 여론인 양 호도하는 행위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며 "만일 차기 정부에서 유럽형 스트레스테스트를 통해 월성1호기의 안전성을 확인하려 든다면 더 큰 불신만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에 찬성하는 주민들에 대해서도 "영구폐쇄 될 경우 전력난과 전기료 인상을 우려하고 있으나 이는 전혀 사실과 다른 기우에 불과하다"며 "월성원전 1호기는 국가전력의 0.8%를 차지하고 있어 우리나라 전력예비율이 7~15%임을 감안할 때 전력수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월성원전 1호기는 캐나다 원자력공사에서 1960년대에 설계한 1세대 캔두(CANDU)형 원전으로 1982년 상업운전에 들어갔으며 지난해 11월 20일 공식적인 수명이 종료됐다. 정부는 2009년 12월 30일 수명연장을 위한 심사에 들어갔으나 37개월이 지나도록 심사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


태그:#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 반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