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도토리입니다. 도토리는 나무에 따라서 크기, 모양이나 맛들이 조금씩 다릅니다. 땅에 떨어진 도토리를 가능한 한 빨리 주워야 벌래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도토리입니다. 도토리는 나무에 따라서 크기, 모양이나 맛들이 조금씩 다릅니다. 땅에 떨어진 도토리를 가능한 한 빨리 주워야 벌래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박현국

관련사진보기


지난 7일, 민속연구반 반원들이 도토리묵을 만들어서 먹었습니다. 도토리묵을 만들기 위해서 지난해 가을부터 도토리를 줍고, 물에 넣고 갈아서 도토리가루를 직접 만들어서 도토리묵과 도토리쿠키를 만들었습니다.

도토리는 참나무 갈래인 떡갈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에 열리는 열매를 말합니다. 한국 참나무는 대부분 가을이 되면 잎이 떨어지지만 일본에는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사철 활엽 참나무 종류도 있습니다.

  도토리를 물에 넣어서 믹서로 간 다음 가루로 만들었습니다. 왼쪽 흰색은 도토리가루를 무명헝겊에 거른 것이고 오른쪽은 거르지 않은 것입니다.
 도토리를 물에 넣어서 믹서로 간 다음 가루로 만들었습니다. 왼쪽 흰색은 도토리가루를 무명헝겊에 거른 것이고 오른쪽은 거르지 않은 것입니다.
ⓒ 박현국

관련사진보기


최근 오래된 참나무 종류가 병으로 죽어가고 있지만 그래도 일본 간사이 지역에는 산과 들에 소나무보다 참나무 종류를 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참나무 종류는 도토리가 열립니다. 도토리는 곰을 비롯한 야생동물의 먹거리입니다.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살았던 곳에서 도토리가 흔히 발견됩니다. 이것은 도토리를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먹고 살았다는 뜻입니다. 일본이나 한국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은 지금도 도토리묵을 반찬으로 먹고 있으며 도토리묵을 만들 수 있는 도토리가루도 쉽게 살 수 있습니다.

  도토리가루에 물을 섞어서 끓인 다음 식혀서 도토리묵을 만들었습니다.
 도토리가루에 물을 섞어서 끓인 다음 식혀서 도토리묵을 만들었습니다.
ⓒ 박현국

관련사진보기


일본 역시 오래된 집터에서 도토리가 발견되기도 하고, 산에 도토리나무가 많습니다. 그러나 최근 일본 사람들은 도토리를 그다지 먹지 않습니다. 일본 사람들 역시 나이 드신 분들은 도토리를 먹은 적이 있고, 옛날부터 먹고 살았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많습니다.

벼나 보리농사를 짓기 전 사람들은 도토리를 비롯한 나무 열매를 따 먹었을 것입니다. 급격한 사회, 경제, 생활의 변화로 먹는 방법이나 먹거리 종류도 바뀌고 말았습니다. 먹거리 습관이나 종류 역시 바뀌는 부분과 잘 바뀌지 않는 부분이 명확히 설명되어지지는 않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묵을 먹을 때 간장을 끼얹어서 반찬으로 먹지만 일본 사람들은 콩가루를 끼얹어서 먹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묵을 먹을 때 간장을 끼얹어서 반찬으로 먹지만 일본 사람들은 콩가루를 끼얹어서 먹습니다.
ⓒ 박현국

관련사진보기


오래 전 한반도나 일본에서 도토리를 먹었습니다. 지금이나 옛날이나 도토리를 구하기 쉬웠기 때문입니다. 일본에서는 도토리를 먹는 생활 습관이 완전히 없어졌습니다. 그런데 왜 한반도에는 도토리를 먹는 습관이 아직 남아있는 것일까요?

  도토리쿠키입니다. 도토리가루와 다른 재료를 넣어서 만든 것입니다.
 도토리쿠키입니다. 도토리가루와 다른 재료를 넣어서 만든 것입니다.
ⓒ 박현국

관련사진보기


민속연구반 수도선생님 연구실에서 도토리를 주워서 물에 넣어서 갈고, 껍질을 버리고, 남은 도토리가루로 묵과 쿠키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비록 수도 선생님을 비롯한 여러 분들이 수고를 했지만 모두 맛있게 먹었습니다.

  민속반원들이 도토리묵을 맛있게 먹고 있습니다.
 민속반원들이 도토리묵을 맛있게 먹고 있습니다.
ⓒ 박현국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박현국 기자는 일본 류코쿠(龍谷)대학 국제문화학부에서 주로 한국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태그:#도토리, #도토리묵, #도토리가루, #도토리쿠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제가 일본에서 생활한지 20년이 되어갑니다. 이제 서서히 일본인의 문화와 삶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한국과 일본의 문화 이해와 상호 교류를 위해 뭔가를 해보고 싶습니다. 한국의 발달되 인터넷망과 일본의 보존된 자연을 조화시켜 서로 보듬어 안을 수 있는 교류를 기대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