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추운 겨울 서민들의 허기진 배를 따스하게 해주는 어묵
▲ 어묵 추운 겨울 서민들의 허기진 배를 따스하게 해주는 어묵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때이른 한파에 발을 동동거리며 걷는다. 찬바람에 민얼굴은 춥고, 시린 손은 제 몸의 체온에 기대어라도 시린 손 녹여보려고 호주머니에 꽁꽁 숨었다. 이렇게 추운 날이면, 따스한 집안에서 뒹굴거리고 싶지만, 사람살이란 이 추운 겨울에도 거리를 종종거리게 하는 것이다.

하얀 김에 마음이 따스해 진다.
▲ 어묵 하얀 김에 마음이 따스해 진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광화문, 붉은 목도리의 물결이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가고 어둠이 깔린 광화문광장은 노란색 목도리의 행렬이 물결을 이룬다. 그 사이, 붉은 물결이나 노랑 물결보다도 더 강렬한 흰 빛이 공중으로 퍼진다. 어묵이 자글자글 끓어가며 내는 김이다. 추운 날씨만큼이나 하얀 김은 넓게 퍼진다.

비위생적이며, 거리 미관상 좋지 않다고 노점상들을 내몬 나라지만 선거철이 되니 그들에게도 조금의 자유가 주어진다. 평소에도 그런 배려가 있는 나라면 얼마나 좋을까? 천 원에 어묵꼬치 하나와 국물 두어 컵을 먹어도 좋다. 세 컵도...

이런 풍경들 많은 것이 살아있는 거리가 아닐까?
▲ 어묵 이런 풍경들 많은 것이 살아있는 거리가 아닐까?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서민들의 음식이다. 퇴근 무렵 유난히 배가 고프고 추워 몸이 사시나무 떨리듯 할 때, 어묵 꼬치 하나와 국물 한 컵이 주는 행복은 천 원 이상의 행복이다.

오백 원 할 때,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며 한 꼬치씩을 먹곤 했다. 그 시절이니 노점상 단속이 심하지 않았으니 어묵, 붕어빵, 호떡, 군고구마, 군밤, 은행까지 흔하게 만날 수 있는 풍경이었다. 이젠 흔하지 않은 풍경이 되었다. 이런저런 구실과 도시미관에 좋지 않다고 노점상들을 내몰았지만, 그들이 사라진 거리가 과연 더 인간다워졌는지는 의문이다.

천 원이면 어묵 한 꼬치와 따스한 국물 두어 잔으로 몸을 따스하게 할 수 있다.
▲ 어묵 천 원이면 어묵 한 꼬치와 따스한 국물 두어 잔으로 몸을 따스하게 할 수 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따스하다. 모처럼 만에 유세장으로 나온 인파로 분주하다. 집에서는 도저히 낼 수 없는 묘한 맛, 조금 비위생적이면 어떤가? 그 정도 것으로 우리의 몸이 건강을 잃을 정도도 아닌데. 서민의 먹을 거리를 빼앗고, 삶의 방편을 빼앗는 것은 그닥 잘하는 일이 아니다.

이것도 하나의 삶의 풍경이며, 그러한 풍경들을 자아내며 살아갈 수 있는 발판을 삼는 이들이 있다는 것, 그것이 더불어 삶의 모습이 아닐까?

잠시 몸을 녹이고 가는 길, 집에서는 이런 맛이 아닐 터이다.
▲ 어묵 잠시 몸을 녹이고 가는 길, 집에서는 이런 맛이 아닐 터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도시가 점점 삭막해져 간다. 그렇게 된 까닭에는 이런 소소한 풍광들이 하나 둘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추운 겨울, 그 한 철 만이라도 살아가기 위해 거리에 좌판을 벌인 이들이 만들어내는 풍광을 도시의 풍경으로 만들어갈 수는 없을까?

거리의 찬바람을 맞으며, 발을 동동거리며, 시린 손으로 먹는 어묵 한 꼬치와 국물과 뜨거운 단팥에 입 데일까 조금씩 베어먹는 붕어빵, 국화빵, 잉어빵이나 쫀득한 흑설탕 흘러내려 옷에 뭍을까 사각종이를 부여잡고 베어먹는 호떡, 매운 맛에 짜릿한 떡볶이, 달짝지근한 군고구마... 이런 것들이 과거의 풍경으로 사라진 듯한 도심.

그들 모두가 점포로 들어가 버린 대한민국의 풍광은 더 아름다워졌는지, 사람 사는 것 같은지 모르겠다. 겨울엔 저 하얀 김만으로도 '따뜻하겠다'느낄 수 있으면 좋겠다.


태그:#어묵, #포장마차, #서민, #풍경, #노점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