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독립기념관 전시관에서 군 위안부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충남역사방문단'
 독립기념관 전시관에서 군 위안부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충남역사방문단'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일본 쿠마모토현 시민들이 한국독립기념관을 찾아 군 위안부 문제 해결방안을 놓고 토론을 벌였다.

'한일교류충남네트워크'가 주최(후원 독립기념관, 충남평생교육진흥원)한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역사방문단' 일원으로 충남을 방문한 일본 구마모토현 시민들이 23일 독립기념관을 방문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독립기념관 전시관을 관람한 데 이어 오후에는 군 위안부 문제에 초점을 두고 공부했다.

주로 일제 침략관을 둘러본 이들은 을사늑약과 항일운동 과정을 설명 듣다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강의 토론시간에는 일본 시민단체의 역할, 구체적 활동방안 등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한 참가자는 "일본정부가 군 위안부를 일본군이 주둔하는 곳마다 운영했다는 사실 자체를 알지 못했다"며 "많은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다.

독립기념관 추모의 광장을 찾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역사방문단'
 독립기념관 추모의 광장을 찾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역사방문단'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토론에 앞서 군 위안부와 관련한 활동과 연구를 하고 있는 강정숙(한국근현대사, 여성사 연구자)씨는 이날 '2012년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와 해결방향'의 주제 강연을 통해 "피해자에게 폭력과 협박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시기는 동원 과정만이 아닌 군위안소에서 성 노예화하는 과정"이라며 "그런데도 일본 우익과 일본 정부가 폭력을 모집 과정만을 놓고 제한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군 위안부 제도는 일본군과 일본정부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국내법은 물론 국제법을 위반한 반인도적인 전쟁범죄"라며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씨는 문제해결방안으로 "한국의 시민사회에서는 전쟁범죄 인정, 진상규명, 공식사죄, 법적 배상, 전범자처벌, 역사교과서 기록, 추모비와 사료관 등 7가지를 요구하고 있다"며 "반면 일본정부는 한국정부가 수용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정부에 대해서도 "한국정부가 문제해결을 주도하기보다는 뒤따라오는 형편"이라고 꼬집었다.

강정숙 군 위안부 연구가
 강정숙 군 위안부 연구가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강씨는 한일시민들의 활동과제에 대해서는 ▲ 양국 정부에 대한 압력과 감시 ▲ 한일회담 완전공개 ▲ 국수주의 시각의 언론 보도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꼽았다.

이시다씨는 "그동안 속해 있는 단체(평화 헌법을 지키는 구마모토 현민의 회)에서 군위안부 문제는 한 번도 다루지 읺았다"며 "일본으로 돌아가면 적극적으로 군 위안부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다나까 노부유키 씨는 "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지방의회에 특별결의를 요청하기도 하고 후쿠오카에서 몇 차례 궐기대회도 가진 바 있다"며 "오늘 배운 군 위안부 실태를 토대로 구체적인 조사활동을 벌이는 등 체계적인 활동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역사방문단'은 일본인들의 잘못된 역사인식을 바로잡고 한·일 간 상호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지난 2007년부터 독립기념관을 중심으로 벌여온 행사로 올해 6번째를 맞는다. 지난 22일 충남을 방문한 이들은 공주한옥마을, 서대전형무소, 여성인권박물관 등을 견학한 후 25일 귀국할 예정이다.


태그:#구마모토, #충남, #역사방문단, #군위안부, #독립기념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