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중앙일보>는 18일자 기사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내용을 남측에서 녹음했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18일자 기사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내용을 남측에서 녹음했다고 보도했다.
ⓒ 중앙일보 PDF

관련사진보기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7년 10월 3일 평양 남북정상회담에서 "서해북방한계선(NLL)을 주장하지 않겠다"고 말했다는 새누리당의 주장이 논란인 가운데, 당시 남측에서도 정상회담 대화내용을 녹음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앙일보>는 18일자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남측도 녹음했다> 기사에서 '당시 회담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국정원은 녹음을 못했으나 회담 기록을 위해 배석했던 조명균 청와대 안보정책조정비서관이 휴대용 디지털 녹음기로 노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단독회담 발언을 모두 담았다"고 전했다.

정상회담을 마치고 서울로 돌아온 뒤 정상회담에 배석한 김만복 국정원장과 조 비서관이 각각 메모한 내용과 녹음파일을 참고해 대화록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 회담 관계자는 "녹취록 형태의 공식 회담록은 A4용지 100쪽이 넘는 분량이었으며, 2부를 만들어 청와대에 한 부 제출했고 국정원도 한 부 가졌다"고 말했다. 디지털로 녹음된 이 파일은 정상회담 대화록, 김 전 원장과 조 전 비서관의 메모수첩과 함께 국가정보원에 넘겨졌다고 한다.

"A4용지 100여 쪽 회담록, 녹음파일, 메모수첩 국정원에 넘겨"

당시 정상회담에는 남측에서 권오규 경제부총리, 이재정 통일부 장관, 김 원장,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 배석자로 회담 테이블에 앉았고, 기록자로 참석한 조 비서관은 노 대통령 뒤편 배석자 자리에 앉았다. 북측배석자는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뿐이었다.

이번 'NLL 논란'을 촉발시킨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은 "당시 정상회담을 녹음한 북한 통전부가 비선라인을 통해 녹취된 대화록을 남측에 보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은 "김만복 전 원장과 조명균 전 비서관의 수기 메모를 합쳐 대화록을 만들었을 뿐, 북측에서 보내온 녹취록은 없다"고 반박해왔다.

이와 관련해 <중앙일보>는 "그동안 새누리당 일각에선 북한만 정상회담을 녹음하고 우리 측은 녹음을 하지 못해 북한 측으로부터 녹취록을 제공받은 것으로 언급해 혼선이 이어졌다"며 "당시 회담 관계자는 '김만복 원장의 수행비서가 회담장에 녹음기를 가지고 들어가려다 북측에 제지 당했는데, 이게 조 비서관이 녹음기를 반입하지 못한 것으로 잘못 설명돼 생긴 혼선'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함께 '여권 관계자들'을 인용해 "노 전 대통령이 2008년 10월 정상회담 1주년 기념식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10·4선언을 존중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한 게 이 대통령이 대화록을 열람한 계기였다"며 "이 대통령도 청와대에 보관된 대화록이 없어 2009년 2~3월께 국정원에 보관된 대화록을 보고 받았고, 정문헌 의원도 이것을 본 것인 듯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김 전 국정원장은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당시 정상회담에서 남측의 녹음 사실과 녹음 파일의 국정원 보관 여부에 대해 "현 국정원에 허가를 받아야 하는 사항이므로 현재로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답했다.


태그:#NLL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