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오랫동안 슬레이트지붕이었는데 볼라벤 태풍으로 지붕이 새면서 최근에 새단장을 했다.
▲ 물골 노부부가 사는 집 오랫동안 슬레이트지붕이었는데 볼라벤 태풍으로 지붕이 새면서 최근에 새단장을 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세월이 참으로 많이 흘렀다.

그들을 처음 만난 것이 30년 전이었으니 지금의 물골 노부부가 지금의 내 나이 정도 되었을 무렵이었던 것이다. 그때만 해도 횡성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갑천중고등학교 앞에서 내리면 구불구불 산길을 따라 한 시간여를 걸어 들어가야만 했다.

부엌에서 바라본 뒷뜰, 장독대와 빨래가 널려있다.
▲ 뒷뜰 부엌에서 바라본 뒷뜰, 장독대와 빨래가 널려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사람이 살 것 같지 않은 곳이었지만, 그 길의 끝자락 즈음에 분명히 '물골'이라는 마을이 있으며, 거기에서 길 끝과 맞닥뜨리면 부부가 사는 외딴집이 한 채 있을 것이라 했다. 그래, 그때는 노부부가 아니라 부부였다. 이제 막 지천명의 나이를 넘긴 이들이었으므로.

가마솥이 걸려있는 부뚜막이 있는 부엌의 모습만으로도 정겹다.
▲ 부뚜막이 있는 부엌 가마솥이 걸려있는 부뚜막이 있는 부엌의 모습만으로도 정겹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평안남도 개천이 할아버지(최문용, 82세)의 고향이며, 해방되기 직전인 1944년 고향을 떠나 이곳으로 왔다. 그리고 17세가 되던 해에 열다섯 살 꽃 같은 할머니(김영자, 80세)와 혼례를 치렀다.

"지금은 쭈그렁탱이 할망구지만 젊어서는 참 고왔지."

그 말에 할머니는 수줍은 듯 배시시 웃음으로 화답한다.

고향에서 이곳으로 온 이후 줄곧 이곳에서 생활을 했다.
▲ 최문용(82세) 할아버지 고향에서 이곳으로 온 이후 줄곧 이곳에서 생활을 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이제 그들은 귀가 순해져 남의 말을 제법 들을 수 있는 나이인 이순(耳順)을 넘기고,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 혹은 마음에 따라 살아도 좋은 나이인 종심(從心)도 훌쩍 넘긴 산수(傘壽)의 나이가 되었다. 1944년부터 그곳에서 살았다고 했으니, 거반 70년의 세월을 그곳 외딴집에서 단둘이 살아왔던 것이다.

평생 그곳을 지키며 살아온 삶이 아릿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 최문용 할아버지 평생 그곳을 지키며 살아온 삶이 아릿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외로웠을까?

사람을 얼마나 반기던지 강원도를 다녀오는 길이면 멀리 돌아서라도 종종 들르는 곳이 되었다. 그곳에선 그냥 곡식을 쌓아둔 방에 자리를 깔고 누워 있어도 편안했다. 나락을 훔치려는 쥐들이 들락거려도 시골이니까 그러려니 했다. 외양간에 소 몇 마리와 흑염소와 누런 똥개와 마당에 풀어 키우는 닭이 그들의 친구들이었으며, 그들의 재산목록이기도 했다.

손님에게 줄 꿀물을 타고 있는 김영자(80세) 할머니
▲ 시골부엌 손님에게 줄 꿀물을 타고 있는 김영자(80세) 할머니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어느 해 겨울, 할아버지가 산토끼를 잡아왔다며 탕으로 내왔다. 처음으로 먹어보는 산토끼 요리는 퍽퍽하면서도 질겼다. 내심 기대하고 먹었다가 서울 촌놈이 되어 버렸다.

"서울 양반들은 입이 고급인가 보우. 이 맛있는 토끼탕을 그리 드시는 걸 보니?"

고급이라서가 아니라 난생처음 먹어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했지만, 그들에게는 입맛이 까다로운 서울 양반으로 보였을 터이다.

단촐한 점심식사, 외로워보이면서도 행복해 보인다.
▲ 노부부의 식사 단촐한 점심식사, 외로워보이면서도 행복해 보인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어느 해 가을, 고라니가 농사지은 것을 다 망쳐놓는다며 덫을 놓았는데 내가 그곳에 도착하기 한 시간 전에 잡혔다고 한다. 마당엔 동네 분들이 모여 고라니 가죽을 벗기고, 생간을 참기름과 소금에 찍어 먹는다. 기겁하며 눈을 가리고 헛구역질을 하는 나를 보며 "다른 고기들도 다 따지고 보면 다 그렇게 잔인하게 죽이는데 뭘 그리 새삼스럽게…" 했다.

15세에 이곳으로 시집을 왔다. 시골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님에도 온 몸에 말로는 다 못할 이야기들이 새겨져 있다.
▲ 김영자(80세) 할머니 15세에 이곳으로 시집을 왔다. 시골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님에도 온 몸에 말로는 다 못할 이야기들이 새겨져 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어느 해 여름, 물골에서 십여 분 걸어 내려가면 제법 큰 내가 있는데 그곳에서 천렵했다며 민물고기 매운탕을 양푼그릇에 가득 내왔다. 막걸리 두어 잔에 거나해진 할아버지는 살아온 내력들을 하나둘 풀어놓았다.

그런데 지금도 그때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 제대로 기억이 나질 않는 것을 보면, 내 기억력의 한계 때문이 아니라, 퍽퍽한 삶의 단편들을 다 기억하고 있으면 상처가 될 것 같아 의도적으로 기억하지 않았는지도 모르겠다. 의도적인 망각이었던 것이다.

영정사진을 부탁하고는 옷을 갈아입고 나온 물골노부부
▲ 물골 노부부 영정사진을 부탁하고는 옷을 갈아입고 나온 물골노부부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그렇게 물골을 제집처럼 들락거리다 훌쩍 제주도로 떠나 6년이라는 긴 시간을 보내고 다시 육지로 돌아왔다. 잔설이 남은 이른 봄, 물골로 달려갔다. 여전히 외딴 집이었으며, 굴뚝에서는 하얀 연기가 모락모락 올라왔다.

"서울 양반, 이게 얼마 만이야, 연락 좀 하고 살지! 죽었는지 알았어."

무슨 정이 있어 이렇게도 반긴단 말인가? 나는 그냥 내 삶에 파묻혀 잊고 살았는데.

뜨끈뜨끈하게 장작불로 데워진 구들장에서 몸을 지지고 일어난 다음 날 아침, 산책길에 잔설을 녹이고 피어난 선연한 보랏빛 처녀치마 군락지를 만났다. 꽃을 보는 눈이 막 뜨이던 때라 너무도 반가웠다.

노부부에게 물었더니만, "그거 흔하디흔한 거지 뭐" 하며 대수롭지 않은 것에 뭐 그리 관심을 두느냐는 표정이었다. 사계절을 드나들면서, 야생화 마니아들을 유혹할 만한 특별한 것은 찾지 못했지만 나름 강원도 숲 속이 아니라면 만날 수 없는 꽃들을 그곳에서 만났다. 그곳으로 꽃을 만나러 가는 길이면 어김없이 밥 한 끼는 얻어먹고 온다. 돌아오는 길에는 할머니가 바리바리 챙겨주신다. 물론, 나는 받은 것 이상으로 셈을 정확하게 한다.

맞잡은 두 손, 물골노부부는 이제 하나인듯 그렇게 사랑하며 살아왔고 또 살아갈 것이다.
▲ 손 맞잡은 두 손, 물골노부부는 이제 하나인듯 그렇게 사랑하며 살아왔고 또 살아갈 것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사람을 그리워하는 사람들, 그러면서도 사람들 속에 섞여 사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 그곳이 가장 편안하다고 하는 물골 노부부, 그들의 근력이 자급자족하기에 부족함이 없으면 좋으련만 가는 세월은 막지 못하는가 보다. 누구에게나 공평한 것이 세월이라고 하지만, 그들에게는 조금 천천히 가면 좋을 것 같은데, 도시 생활에 시달리다 3년이라는 터울을 두고 물골을 찾아보니 그 사이 몰라보게 늙으셨다.

"이제 쭈그렁탱이가 되어 힘도 없어. 기력이 있어야 농사라도 부치겠는 데 힘이 없어…. 둘 중 하나 죽으면 자식들한테 가든지, 아니면 큰아들이 들어와 여기서 살든지 해야지…."

가을 초입에 찾은 물골 노부부의 외딴집, 이제는 외딴집은 아니었다.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다 은퇴를 하고 귀농한 부부가 외딴집과 가까운 곳에 집을 짓고 노부부에게 농사를 배우며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인지, 돌아오는 길은 덜 외로웠다. 혹시라도 노부부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어쩌나 늘 걱정을 하며 돌아오곤 했는데 그 걱정이 사라졌기 때문이리라.


태그:#물골, #시골생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