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심상정 통합진보당 의원의 모습.
 심상정 통합진보당 의원의 모습.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환경부가 삼성전자를 '녹색기업'으로 선정한 것과 관련해 심상정 통합진보당 의원이 "삼성전자 백혈병 관련 사망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며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 공장에서 일한 노동자들이 백혈병 등 난치병에 걸려 논란이 되는 상황이고 '사회적 윤리와 책임을 다 해야 한다'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도 맞지 않는다는 취지다.

심 의원은 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환경부 업무보고에서 유영숙 환경부 장관에게 "녹색은 생명과 평화를 상징한다, 삼성전자의 녹색기업 선정은 녹색성장기본법에 명시된 '사회적 윤리와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에서 일한 후 백혈병으로 사망한 노동자가 56명(피해자 제보)에 달하고 산재신청자가 22명, 피해제보자가 133명"이라고 지적했다.

심 의원은 또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자력 발전소 4곳이 녹색기업으로 선정된 것에도 "이명박 정부가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 '원자력'을 녹색성장산업으로 넣었다가 국민의 반발로 삭제됐다"며 "그런데 어떻게 원자력 발전소가 녹색기업이 될 수 있나"고 꼬집었다. 이어 "환경부의 선정기준이 있겠지만 상위법을 위반한 것은 그냥 둘 수 없다"고 덧붙였다.

심 의원은 아울러 "2010년 11월에 제정된 'ISO 26000'(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7대 핵심 주제인 지배구조·인권·노동·환경·소비자·공정경쟁·지역사회참여발전이 반영된 녹색기업 지정기준을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유영숙 장관은 "원자력은 녹색이 아니"라면서도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에 따라 위험물질을 얼마나 감소시켰나를 평가해 선정했다"고 말했다. 삼성 백혈병 문제 지적에는 "그건 환경부 소관 내용이 아니"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삼성전자의 천안사업장, 온양사업장, 기흥사업장 등 8개 공장을 지난 1996년부터 녹색기업으로 선정해왔다. 또 한국수력원자력(주)의 고리원전, 울진원전, 월성원전, 영광원전 4곳을 녹색기업으로 선정했다.

환노위 야당 의원들 "쌍용차 특위-삼성 산재특위 구성해야"

한편, 이날 환경노동위원회의 업무보고에 앞서 야당 의원들은 관계부서 쌍용차 정리해고 문제와 삼성전자 백혈병 산업재해 문제를 다룰 소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민주통합당 홍영표·김경협·은수미·장하나·한명숙·한정애 의원과 통합진보당 심상정 의원 등 환노위 소속 야당의원들은 "쌍용차 특위와 삼성 산재특위를 통해 한계상황으로 내몰린 노동자들의 손을 잡아 주시길 바란다"며 "새누리당은 절박한 노동문제를 외면하지 말고 소위 구성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쌍용차 정리해고 문제로 22명이 자살로 삶을 마감했고 삼성 백혈병 등 산재와 자살로 56명이 죽음에 이르렀다"며 "야당 소속 환노위 위원들은 향후 제2의 황유미(삼성 사망자), 제2의 김철강(쌍용 사망자) 같은 노동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죽음의 고리를 끊어내겠다"고 소위 구성 필요성을 강조했다.


태그:#심상정,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삼성, #원자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