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가 1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민주통합당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로운 변화를 향한 국민의 열망을 제대로 받들지 못한 것에 대해 무한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사퇴 의사를 밝힌 뒤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가 1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민주통합당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로운 변화를 향한 국민의 열망을 제대로 받들지 못한 것에 대해 무한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사퇴 의사를 밝힌 뒤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가 13일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지난 1월 15일 국민참여경선으로 80만 시민의 환호를 받으며 취임한 지 석 달 만의 일이다.

한 대표는 이날 오후 3시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총선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며 "새로운 변화를 향한 국민의 열망을 제대로 받들지 못한 데 대한 무한책임을 지고 대표에서 물러나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이번 총선 민심은 이명박 정권에 대한 심판이었고, 이에 공감하는 수많은 시민들을 투표장으로 모시지 못한 책임은 전적으로 저희에게 있다"며 "공천과 선거운동을 하며 수많은 밤을 악전고투했지만 목표를 이루는 데 미흡했고 모든 부족함은 대표인 제 책임"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 대표는 "내가 대표로서 모든 책임을 지고 간다"며 "흔들림 없이 정권교체를 위한 대장정에 적극 나서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총선에서 보여준 민심에서 교훈을 찾고 성찰과 자기 혁신에 매진하겠다"며 "정권교체를 위한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겠다"고 말했다.

한명숙 대표는 지난 11일 선거결과가 나오자마자 주변에 '대표직 사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세균 전 대표 등 친노 중진들의 만류로 이틀간 입장발표가 늦어졌지만 그는 이미 사퇴의 뜻을 굳혔던 것으로 전해진다.

문성근 권한대행 유력... "엄중한 시기, 공백 안 된다" 

이처럼 한 대표가 4·11 총선 이틀 만에 선거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임함에 따라 민주통합당은 또 다시 격랑에 휩싸이게 됐다. 민주통합당은 14일 저녁 8시 임시최고위원회의를 소집하고 향후 당 운영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14일 오전부터 민주통합당 당사는 향후 운영방안을 놓고 술렁였다. 우선 한 대표의 공백을 어떻게 채울 것인지 숙의했다. 민주통합당 사무부총장단은 이날 오전 당사에 모여 긴급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상임고문단도 이날 서울시내 한 음식점에 모여 한 대표의 거취문제와 향후 당 운영 방안에 대해 의논했다.

우선 민주통합당은 정해진 당헌당규에 따라 대표의 궐위 시 2개월 이내 새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해야 한다. 이 규정은 민주통합당 당헌 제25조에 규정된 바다. 민주통합당 당헌 제25조 3항에 따르면, 당대표 또는 최고위원이 궐위됐을 경우, 궐위된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대표·최고위원을 선출을 해야 하며, 새 당대표 등이 선출될 때까지는 선출직 최고위원 중 다수 득표자순, 원내대표 순으로 당대표의 직무대행을 수행한다고 규정돼 있다.

3월 1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민주통합당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명숙 대표와 문성근 최고위원이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3월 1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민주통합당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명숙 대표와 문성근 최고위원이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이 규정에 따르면, 한 대표의 권한대행은 문성근 최고위원이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월 15일 열린 대표최고위원 경선결과 문 최고위원이 2위를 했기 때문이다.

문성근 최고위원은 이날 <오마이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상당히 엄중한 시기에 지도부 공백사태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며 "정해진 당헌당규에 따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직무대행을 맡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최고위원이 이끄는 임시지도부는 최장 2개월간 활동하게 된다. 당헌에 규정된 대로 2개월 이내 새 지도부를 선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주통합당은 6월 13일 전당대회를 열기 전까지 임시 지도부 체제로 당을 운영하게 됐다.

민주당의 '비상상황' 수습할 세 가지 묘책 

문제는 대선 경선이다. 민주통합당 당헌에는 대선후보 경선을 최소 180일 이전에 시작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면 절묘하게도 새 대표체제는 6월 13일에 들어서고, 대선후보 경선은 같은 달 19일에 시작된다. 당이 이 두 가지 일을 거의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저러한 묘책들이 당내에서 거론되고 있다.

첫째, 새로 구성되는 19대 국회 당선자대회를 조기에 열고 원내대표를 선출한 뒤에 그 원내대표가 당을 이끌다가 대선후보가 결정되면 선대위 체제로 당을 운영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둘째, 지난 1월 15일 뽑힌 지도부 중 다수득표 순에 따라 문성근 최고위원이 차기 전당대회까지 임시지도부를 이끄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셋째, 당을 전면적으로 혁신하는 차원에서 새누리당처럼 아예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당을 쇄신하는 방안도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통합당의 한 고위 관계자는 "통상 6월 국회 개원을 앞두고 5월 중순쯤 당선자대회를 여는 게 평시의 방법이지만 현재는 비상상황이기 때문에 최대한 당겨 5월 초 당선자대회를 열고 원내대표를 뽑아 당을 운영하다 2개월 이내 전당대회를 치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문성근 최고위원은 "지난 1월 80만 시민이 직접 뽑은 지도부인데 정해진 당헌에 따라 임시체제로 운영하다가 2개월 뒤에 지도부를 뽑는 것이 옳지,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당을 운영하는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며 "최고위원들 간의 논의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문 최고위원은 "한 대표는 그만두셨지만 이 지도부는 80만 시민이 참여한 '시민참여형' 지도부인데 당선자(의원) 중심으로 간다는 것은 창당정신에도 안 어울리는 것 같다"며 "논의를 계속 모아보겠다"고 전했다.


태그:#민주통합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