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부가 수서발 경부선과 호남선을 'KTX 경쟁체제 도입'이라는 이름으로 민영화를 추진하려는데 대해 대구의 시민단체들이 대책위를 구성하고 민영화 반대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대구시민단체회의, 공공운수노조 대경본부 등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KTX 민영화 저지와 철도공공성 확보를 위한 대구시민대책위(이하 대책위)'는 15일 오전 동대구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대책위는 "정부는 공기업 민영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공공성이 확보되어야 할 기간산업인 KTX를 1%의 재벌들에게 특혜를 주며 팔아치우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정부가 경쟁체제가 되면 가격이 인하되고 시민이 싼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새빨간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영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민영화가 진행되면 가격이 올라가고 사고가 빈번해진다"고 지적했다.

 

또 "KTX 민영화는 단순히 철도만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의료, 전기, 가스, 상수도 등 모든 공공부문의 민영화로 급속하게 진행돼 시민의 이동권과 생존권이 박탈당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책위는 "민영화 초기에는 국민적 비판을 피하고자 요금을 인하할 지 모르지만, 시간이 지나면 요금인상은 불 보듯 뻔하고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를 비롯한 지방노선은 축소되거나 폐지되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철도노조 김재하 부산본부 본부장은 "작년 한 해 KTX를 이용한 고객들은 5천만 명이 넘고 수서역이 개통되면 이곳에서 이용하는 고객들이 2천만 명 이상 될 것"이라며 "정부가 재벌들에게 엄청난 특혜를 안겨주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장애인지역공동체 박명애 대표도 "새마을호는 문이 작아서 휠체어가 들어가지 않고 무궁화는 경사로가 없는 차량이 많아 어쩔 수 없이 KTX를 많이 탄다"며 "민영화가 되면 서민은 기차를 이용하지 말라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동대구역 내에서 민영화를 반대하는 서명운동에 들어가자 많은 사람의 서명이 이어지기도 했다.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유학 중 잠시 한국을 찾은 김은세(27)씨는 "독일은 대중교통 체계가 잘 발달되어 있지만, 국가에서 민영화를 추진하지는 않는다"며 "국민이 반대하는 정책을 국가가 마음대로 추진하는 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에서 대구까지 한 달에 열 번 정도 KTX를 이용한다는 김영점(53)씨도 "민영화를 한다면 반드시 요금이 오르게 될 텐데 새마을도 없애고 무궁화도 없애면 서민은 아예 기차를 타지 말라는 예기냐"며 "민영화는 절대로 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철도업무 민영화 즉각 중단과 열차와 시민의 안전을 위해 적정인력 확보,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시설과 운영을 통합할 것 등을 요구하고 오는 3월 27일까지 민영화 반대 서명운동을 집중적으로 벌이기로 했다.


태그:#KTX 민영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