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구상찬 한나라당 의원
 구상찬 한나라당 의원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참여정부 때 인도적 대북지원을 목적으로 출범시킨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산하 민간단체를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들이 고사 직전으로 몰아넣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남북나눔공동체는 지난 2005년 대북 인도적지원과 남북교류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민주평통 위원 742명과 임원 46명으로 구성한 민간단체로, 민주평통의 전국·해외 조직을 통해 후원금을 마련해 대북 사업을 펼쳐왔다. 이 법인의 이사는 민주평통 사무처장이 맡도록 돼 있고 사무실을 민주평통 본관에 두는 등 이 단체는 사단법인이지만 민주평통 산하 단체로 불러도 무방할 정도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구상찬 의원(한나라당)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직후 이 단체에는 기업과 일반인들로부터 기부 받아 조성한 10억여원 가량의 재정이 남아있었다. 그러나 2011년 9월 현재 이 단체의 재정은 수 백 만원 수준으로 거의 바닥났다.

이 단체는 지난 2009년 4억 9700만 원 규모의 채소종자 지원사업을 한 뒤 아무런 사업을 벌이지 않고 있다. 남북관계 경색과 통일부로부터 물자반출 승인을 받는 게 어려워졌다는 게 표면적인 이유다. 그러나 사업 실적도 없이 재정이 바닥나게 된 것은 이명박 정부 출범 뒤 민주평통 간부들이 자신의 측근들을 이 단체 직원으로 밀어넣는 등 남북나눔공동체를 사조직처럼 운영해왔다는 이유가 크다는 게 구 의원의 설명이다.

"대통령 측근들의 '사조직화' 돼버린 남북나눔공동체"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취임한 A 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과 B 전 민주평통 사무처장은 자신들의 재임기간 동안 비서와 운전기사 등을 남북나눔공동체 직원으로 편입시켰다. 구상찬 의원측은 B 전 사무처장과 A 전 수석부의장이 남북나눔공동체에 밀어 넣은 측근들을 6명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

구 의원은 "이들의 인건비는 법인 재정으로 충당됐고, 이들은 연 400%의 보너스와 퇴직금 조로 300만원씩을 지급받기도 했다"면서  "일반인과 기업들이 대북 인도적 지원과 남북 교류사업에 써달라고 맡긴 후원금이 대통령 측근들이 자신들의 측근을 먹여 살리는 데 사용됐다"고 주장했다. 

구 의원은 이어 "이 단체는 지난 2008년 한 중견 의류업체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써 달라고 맡긴 5억여원 어치의 의류도 엉뚱한 곳에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남북나눔공동체는 남북관계 경색을 이유로 이 의류를 국내와 미얀마로 보냈고 이에는 A 전 수석부의장과 B 전 사무처장의 의사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구상찬 의원은 "(A 전 수석부의장과 B 전 사무처장이) 단체를 실질적으로 개인의 사조직화하고 재정을 바닥내 버린 것"이라며 "민주평통이 이 단체 관련 사실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해 전임자들의 횡령·정관위배 등의 위반사안을 사법기관에 수사의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태그:#민주평통, #남북나눔공동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상근기자. 평화를 만들어 갑시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