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제주, 사계리 김유순(94). Digital Pigment print
▲ 좀녜 제주, 사계리 김유순(94). Digital Pigment print
ⓒ 김흥구

관련사진보기

'좀녜'란 해녀를 뜻하는 제주도의 옛 방언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해녀'라는 말 대신 굳이 좀녜를 전시 제목으로 택한 것은, 해녀가 일본의 식민화 작업으로 만들어진 명칭이라는 견해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은 오늘날 관광 상품화된 제주의 상징이나 호기심의 대상으로서의 해녀가 아니라, 주어진 삶을 지켜가기 위해 생의 막바지까지 힘든 물질을 지속해 나가는 이 세상 '어망(어머니, 제주 방언)'들을 왜곡 없이 사진에 담고 싶었던 사진가의
마음이 제목과 연동된 것이다.

사진 '좀녜'는 2002년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사진학과 학생이었던 김흥구는, 학교 수업이 끝나면 배를 타고 제주도로 건너가 주말을 꼬박 해녀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녀들의 삶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상하게도 오래 전부터 해녀에 대한 자료와 TV 방송에 끌렸습니다. 왜 그런지 자문해 보았는데, 자주 편찮으셨던 어머니 밑에서 성장하는 동안 무의식중에 강한 어머니를 동경케 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카메라를 들고 곁에 서 있기만 해도 물을 뿌리며 손사래를 치는 해녀들의 배타를 가슴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을 때쯤, 여전히 대학 재학생이던 김흥구에게 한 뭉치의 흑백사진들이 결과물로 들려졌다. 그 사진들이 바로 2003 제1회 GEO-OLYMPUS PHOTOGRAPHY AWARDS 대상 수상작 '좀녜'이며, 그는 당시 수십 년 경력의 기성 사진가들을 제치고 대상의 영예를 안아 크게 화제가 되었다.

그때의 수상이 스무 살 중반의 김흥구를 당당히 '다큐멘터리 사진가'로 불리게 했지만, 그것은 '좀녜'의 완결이 아니라 시작이었다. 물과 볕에 그을리고 주름진 얼굴로 젊은 날의 사진 앞에 선 비양동의 할망 해녀부터, 비 오는 날에도 테왁을 들고 바다로 나가는 서천진동의 해녀 무리, 물안경을 쓰고 심연의 바다에서 해산물을 건져 올리는 온평리의 해녀에 이르기까지, 김흥구는 이후로도 좀녜들에 관한 기록을 멈추지 않았다.

오히려 바다 속 삶까지 따라 들어가고자 스킨스쿠버다이빙을 배웠고, 역사적 기록의 큰 맥락에서 멀리 해외로 '물질 나간' 원정 해녀들을 찾아 일본을 드나들었다. 또 베갯잇 터진 것까지 눈치챌 정도로 자식보다 더 자주 곁을 지켰던 한 우도 해녀의 수양아들이 되기도 했다.

할망바당, 온평리 2004. Digital Pigment print
▲ 좀녜 할망바당, 온평리 2004. Digital Pigment print
ⓒ 김흥구

관련사진보기


제주, 우도 서천진동 2002. Digital Pigmentprint
▲ 좀녜 제주, 우도 서천진동 2002. Digital Pigmentprint
ⓒ 김흥구

관련사진보기


그렇게 10년. 오륙십 대 해녀들이 주축을 이룰 정도로 (해녀들 나이가) 고령화돼 앞으로 20~30년 후에는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을 입증하듯 이미 몇몇 해녀들은 세상을 떴다. 이제 서른 살 중반이 된 김흥구는 사진으로 남겨진 그녀들과 아직 바다에 남겨진 또 다른 그녀들의 사진을, 지난 7일부터 오는 26일까지 사진위주 류가헌 갤러리에서 전시를 통해 세상에 처음 내보인다.

송수정 사진기획자는 "김흥구의 '좀녜'는 물질하는 여인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작가의 길 앞에서 주저하던 청년을 사진가로 길러낸 어머니들에 대한 이야기다. 그들은 기꺼이 작가가 자맥질할 수 있는 바다가 되어 주었다. 어머니들이 작가 앞에서 펼쳐낸 스스럼없는 일상들, 그 고단하고 따뜻하고 질펀한 그래서 결국에는 담담해 보이는 사진 속에서 덕분에 우리는 작가의 숨비 소리도 함께 듣는다. 너무 아무렇지 않아 보여서 끝내는 우리를 서럽게 만드는 어머니들이 아직은 거기에 있다. 사라지지 않았다. 다행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송기영 시인은 "사진 속에는 막막하고 먹먹한 세월들이 여러 겹의 주름으로 접혀 있다. '여자'였기 때문이 아니라 '어머니'였기 때문에 기껍게 받아들인 운명. 그녀들은 아직까지도 돌섬과 바람의 섬을 품고 있다. 김흥구의 삼다는 돌, 바람 그리고 어머니"라고 말했다.

'주제에 대한 애정과 일관성 있는 시선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예전의 심사평이, 이후 10년간 축적된 오늘의 결과물에 대해 어떤 평가로 이어질지는 사진계와 관람객의 몫이다.

다만 오래 참았던 숨을 물 밖에서 일시에 내뿜는 해녀들의 '숨비 소리'가 그렇듯이, 사진가로서 김흥구가 보여 준 '긴 호흡' 은 누구나 쉬이 흉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만은 명확하다. 김흥구 사진전 '좀녜'의 첫 번째 감동이 거기에 있다.

제주, 우도 동천진동 이백순(96세) 2003. Digital Pigmentprint
▲ 좀녜 제주, 우도 동천진동 이백순(96세) 2003. Digital Pigmentprint
ⓒ 김흥구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글쓴이는 박광자 류가헌 갤러리 관장입니다.



태그:#김흥구, #해녀, #잠녀, #좀녜, #류가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