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대통령이 대선과정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을 공약하고도 이를 무시하고 전국 공모를 통해 입지를 선정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충청권이 대정부 투쟁을 선포하는 등 제2의 세종시 파문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으나, '충청권 입지'라는 문구가 빠진 채 통과됐고, 이명박 대통령의 신년연설에서도 과학벨트의 추진은 강조하면서도 조성 예정지는 언급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충청권에서는 이명박 정부가 세종시와 마찬가지로 과학벨트를 당초 공약과 다르게 타 지역으로 선정하려는 것은 아니냐고 우려했고, 때 마침 지난 6일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방문한 청와대 과학기술비서관이 "공약에 얽매이지 않고 전국을 후보지로 생각하고 있다"며 공모의사를 내비쳤다.

 

이 같은 이명박 정부의 속내가 알려지면서 충청권의 분노가 폭발하고 있다. 충청권 3개 시·도지사와 정치권, 시민·사회단체 등은 연일 이명박 정부를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이행을 촉구해왔다.

 

17일에는 대전·충남·북 시·도지사와 시·도의회, 정치권, 경제·과학기술계,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여하는 '과학벨트 범충청권 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대정부 투쟁을 선언했다.

 

 

충청권 3개시·도는 이날 오후 3시 충청북도 대회의실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충청권 추진협의회 발대식'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염홍철 대전시장과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 충청권 국회의원 및 시·도 의회의장, 세종시 인근 기초자치단체장·의회의장 등 70여명이 참석했다.

 

충청권 추진협의회는 충남 26명, 대전 20명, 충북 22명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충청권 3개 시·도지사가 공동위원장을 맡고, 충청권 국회의원 24명이 고문으로 위촉됐다. 충청권 3개 시·도의회 의장이 자문위원을, 그리고 세종시 인근 기초단체장 8명이 당연직 위원으로 위촉됐다. 나머지 위원은 각 자치단체가 추천한 각계대표들이 위촉됐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앞으로의 활동계획을 협의하고,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대통령 공약사항인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약속을 이행하도록 500만 충청인의 구심점으로써 지혜와 역량을 모아 총력 대응에 앞장설 것"을 천명했다.

 

 

또한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의 당위성에 대해 국민들에게 홍보하고 치밀한 충청권 조성 전략 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 ▲과학벨트 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추진되지 않고 정치적 논리나 다른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면 절대 간과하지 않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 등을 결의했다.

 

이들은 앞으로 충청권 추진협의회를 중심으로 대정부 건의 및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의 당위성 대국민 홍보활동, 500만 충청인 결의대회, 서명운동 등을 전개할 예정이다.

 

또 대전·충남·충북 발전연구원에서 과학벨트 입지선정요건 평가지표 마련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 공동포럼 개최를 통한 여론 조성 등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 사수를 위해 공동 대응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다만, 충청권 추진협의회 구성과정에서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불만이 터져 나오면서 이 조직이 충청권 대정부 투쟁의 구심점 역할을 제대로 해 낼지는 미지수라는 평가다.

 

당초 충청권 추진협의회는 대전·충남·북 시·도지사와 시민·사회단체, 각 계 대표 등을 각 시도가 11명씩을 추천해 30여명 규모로 구성될 예정이었으나, 정치권을 배제했다는 지적에 따라 급하게 국회의원과 시·도의회 의장 등이 추가되어 두 배 규모의 조직으로 구성되게 됐다.

 

또한 대전시가 추천한 위원들 중 상당수가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했던 인물들이라, 시민단체와 정치권에서 '부적절하다'는 문제제기가 있었으나, 대전시는 위원교체를 하지 않은 채 그대로 위원위촉을 강행해 비난을 사고 있다.

 

이처럼 충청권 추진협의회가 출범도 하기 전에 구성과 관련 혼선을 빚고, 위원들 자격을 놓고 논란을 일으키면서 제2의 세종시 사태로 불려지는 이번 과학벨트 논란을 앞장서서 이끌어 갈 수 있을지 우려되고 있다.

 

충청권 의회 의장단 "제2의 대충청 사기극, 준엄한 심판 내릴 것"

 

 

한편, 충청권 지방의회 의장단들은 이날 오전 대전시의회에 모여 별도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 백지화 시도 규탄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날 성명서 발표에는 이상태 대전시의회 의장과 유병기 충남도의회 의장, 김형근 충북도의회 의장, 박종서 대전구의회의장협의회 회장, 강신훈 충남시군의회의장협의회 부회장, 박찬웅 충북시군의회의협의회 부회장이 참석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우리 충청인 모두는 과학벨트 사업이 공모사업으로 변질될 경우, '제2의 세종시 사태', '제2의 대충청 사기극'으로 규정하고, '세종시 사태'와 비교할 수 없는 엄중하고도, 준엄한 심판을 내릴 것을 대내외에 강력히 천명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은 ▲정부와 여당은 국론 분열을 획책하는 과학벨트 공모선정 시도를 중단 할 것 ▲정부와 국회는 과학벨트 특별법에 '충청권 입지'를 지정·고시할 것 ▲이명박 대통령은 500만 충청인들과 약속한대로 과학벨트사업을 충청권에 조성하여 실추된 국민 신뢰를 회복할 것 등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와 함께 '공동 합의문'을 통해 오는 27일로 예정된 충청권 3개 시·도 공동으로 추진되는 결의대회에 적극 참여하고, 2월 중에는 대전·충남·북 광역의회 및 기초의회 의원 전원이 서울을 방문 결의대회를 열기로 했다.


태그:#과학벨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대선 공약, #세종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