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청와대 대포폰' 등 새롭게 의혹이 불거진 민간인 불법사찰에 대한 국정조사 및 특검 도입 여부를 놓고 꽁꽁 얼어붙은 정기 예산국회 상황이 한동안 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와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가 여·야 대치 정국에 대한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 19일 오후 서로 만나 대화를 나눴지만 큰 소득없이 헤어졌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날 면담 직후 브리핑에서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를 강하게 했지만 김무성 원내대표는 '이미 검찰에서 수사한 사건이기 때문에 국정조사의 필요성이 없다'는 얘기를 아주 강하게 했다"며 여·야 간의 인식 차가 상당함을 시사했다.

 

박 원내대표는 "김 원내대표가 (저와) 갑론을박하다가 '국회가 한 번 여과를 시켜서 국민적 의혹을 덜지 않는 한 우리 민주당은 도저히 돌아갈 수 없다'는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의 얘기에 '좀 논의를 해보겠다'고 했다"며 "그것이 거부의 뜻인지 모르겠지만 '논의하겠다'는 데 희망을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무성, 예결위 강행 입장 고수해... 상생법 처리 '원포인트' 본회의 가능"

 

민주당의 선(先) 국정조사·특검 도입 요구로 파행하고 있는 예산심사 상황에 대해서도 김무성 원내대표는 '법정시한 내 처리'라는 원론적 입장을 강조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박 원내대표는 "지금 예결위에 대해 김 원내대표는 굉장히 강경했다, 예결위 강행 입장을 고수하고 '민주당 의원들이 저렇게 방해하는 일은 있을 수 없는 일 아닌가'라고 했다"고 김 원내대표의 말을 전했다.

 

그는 이어 "김 원내대표에게 '우리 민주당으로선 국정조사에 응하지 않는다고 하면 결코 해결할 수 없다'는 얘기를 했다"며 "아마 오늘(19일)은 저런 상태로 가고 '서로 고민을 해서 다시 만나서 얘기를 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사실상 다음을 기약한 채 상황을 해결하지 못한 것.

 

그러나 박 원내대표는 "저희도 국회가 빨리 정상화돼서 예산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한다, 국정조사 문제에 대한 긍정적 답변을 기다리면서 희망을 갖기로 했다"며 아직 합의 가능성이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란 데 방점을 찍었다.

 

박 원내대표는 오는 22일 국회 정상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선 "하루살이 정치라 아침에 살았다 저녁에 죽고, 저녁에 살았다 아침에 죽어 아직 예측 불가능하다"며 "당 대표가 22일 오후 1시 30분까지 경고와 성찰의 시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저희들로선 딱히 한나라당의 (국정조사·특검 도입) 합의 없이는 예측할 수 없다"고 답했다.

 

다만, 박 원내대표는 SSM(대형 슈퍼마켓)규제법안 중 하나인 상생법 처리를 위해 예정된 25일 본회의 개의 여부에 대해선 "'원포인트'로 열릴 수 있다"고 답했다.  

 

김무성 "대포폰 재수사 검찰이 결정할 문제... 예정대로 예산안 처리"

 

한편, 김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회동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늘은 민주당의 얘기를 듣는 자리였다"면서 "대포폰 재수사는 검찰이 결정할 문제지 정치권이 하라, 말아라 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내 일부 소장파 사이에서 나오고 있는 '불법사찰 재수사'와 야당의 민간인 불법사찰 국정조사·특검 요구 수용 가능성을 일축한 것.

 

무엇보다 김 원내대표는 "예산안 문제는 절대 양보할 수 없다, 예정대로 예산안을 처리할 것"이라며 단독으로라도 법정시한(12월 2일) 내 예산심사를 끝마칠 뜻을 분명히 했다.


태그:#박지원, #김무성, #예산국회, #민간인 불법사찰, #국정조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