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석현 "청와대 사찰개입" … <조선><동아> "민주당의 대여 공세"

조중동, 의혹 내용 제대로 보도 안해

<한겨레> "재수사 불가피"

<경향> "청와대 사찰개입‧직접사찰 보여주는 것"

 

검찰의 민간사찰 부실수사가 거센 비난을 받는 가운데 '청와대가 불법사찰에 직접 개입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민주당 이석현 의원은 국회 예산결산위원회에서 대검찰청 '(사찰수사) 증거분석 보고서'를 공개하며, 박영준 지식경제부 차관이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 시절 그의 밑에 있던 이창화 행정관이 정치권 인사들을 사찰했다고 주장했다. 경북 포항 출신의 이 행정관은 국정원 출신으로 2008년 3월부터 청와대에서 일하다 6개월 후 신설된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석현 의원에 따르면 이 행정관이 사찰한 대상은 김성호 당시 국정원장, 정두언 의원 부인, 이재오 특임장관 측근, 이성헌 의원, 전옥현 전국정원 1차장 및 정세균 민주당 의원 등 여권 내 '반 이상득' 인사들을 비롯해 친박계 인사, 야당 의원까지 광범위하게 걸쳐 있다.

 

이 의원이 공개한 대검찰청 보고서에 따르면 검찰은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정모씨의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민간사찰 피해자인 김종익씨의 사찰 파일이 '민정수석 보고용', 'BH(청와대)보고' 등 폴더에도 저장돼 있음을 확인했다. 사찰의 내용이 청와대에 보고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석현 의원은 또 공직윤리지원관실 원충연 사무관과 권중기 경정의 수첩을 공개했는데, 'PD수첩 정리(언론정리)', '트로트 가수, 20대 후반∼30대 초반. 기획사인 ○○○엔터테인먼트. 소속 여가수 성폭행. 1심 재판 중. 피해자 진술은 16시부터 23시' 등의 내용이 적혀있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언론, 연예계 등까지 사찰했음을 보여준다. 

 

18일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이 의원의 의혹 제기를 1면 톱으로 보도하면서 청와대의 사찰 의혹 내용을 자세하게 다뤘다.

 

반면 조중동은 검찰의 청목회 수사와 이에 따른 국회파행 기사들과 함께 이석현 의원의 청와대 사찰 개입 주장을 전했다. 의혹의 구체적인 내용이 제대로 보도되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조중동 모두 한 건 씩의 기사를 싣는데 그쳤으며, 특히 조선‧동아일보는 이 의원의 의혹 제기가 '민주당의 대여공세', '청목회 수사에 맞불놓기'라는 점을 부각했다. 

 

<"박영준 직속 청와대 행정관 김성호·정세균도 사찰했다>(한겨레, 1면)

<'영포 인맥' 청 행정관, '형님'에 맞선 인물 무차별 사찰>(한겨레, 3면)

<'사찰 실행자' 권중기·원충연 메모 살펴보니>(한겨레, 3면)

<'사찰 몸통'은 청와대, 전면 재수사 불가피하다>(한겨레, 사설)

 

한겨레신문은 1면과 3면에서 이석현 의원이 제기한 청와대 사찰 의혹을 자세하게 보도하는 한편, 사설을 통해 "전면 재수사"를 촉구했다.

 

사설은 "불법 민간인 사찰이 한두 사람을 대상으로 한 게 아니라 광범위하게 벌어졌으며, 청와대가 이를 일상적으로 지시하고 보고받았음을 보여주는 흔적은 너무도 뚜렷하다"며 정치인들 외에 피디수첩, 공단 임원, 사진작가, 가수 등 이석현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언급된 사찰 대상들을 구체적으로 거론했다.

 

또 남경필 한나라당 의원 사찰 자료에 'BH(청와대의 영문 머리글자) 하명'이라고 적혀 있는 점, 민간인 사찰 내용이 민정수석 보고용으로 따로 정리된 흔적이 있는 점 등을 지적하며 거듭 청와대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검찰이 이런 사실을 알고도 청와대에 대한 수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비판한 뒤 "청와대의 사찰 의혹은 눈덩이처럼 커져 더는 덮어두기 어렵게 됐다", "이쯤 되면 검찰은 전면 재수사를 거부할 명분이 없다"며 재수사를 촉구했다.

 

<"청와대, 불법사찰 광범위한 개입">(경향, 1면)

<靑 민정수석에 직보…가수‧연예기획사까지 '무차별'>(경향, 3면)

<反 이상득 인사 타깃 '정치사찰의 발' 의혹>(경향, 3면)

<'촛불' 집중 겨냥했다>(경향, 3면) 

경향신문도 1면과 3면에 걸쳐 청와대의 사찰 개입 의혹을 자세하게 다뤘다.

 

3면에서는 이석현 의원이 공개한 대검 보고서와 총리지원관 실원충연 사무관과 권중기 경정의 수첩 내용을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들 자료가 "청와대가 민간인 사찰에 개입하고, 직접 사찰도 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청와대와 지원관실이 여야 정치인과 언론‧예술계 등의 민간인까지 광범위한 사찰을 벌인 정황이 속속 나타나면서 검찰의 부실수사 논란이 증폭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같은면 다른 기사는 이창화 행정관이 "이명박 정부 초기부터 '정치사찰의 발'이란 의혹"을 받았고, "포항 인근의 경주 안강 출신으로 이명박 정부 초기 박영준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 및에서 행정관으로 근무, 사조직 의혹에 휩싸인 '영포라인'으로 분류됐다"면서 그가 사찰한 여권 정치인들이 이상득 의원과 경쟁 긴장 관계인 인사들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또 다른 기사에서는 공직윤리지원관실의 사찰이 '촛불'을 겨냥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피디수첩 사찰을 드러낸 메모에서 불법사찰 문제가 불거진 후 '말 맞추기 정황을 의심케 하는 메모도 나왔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민간 사찰, 청와대 민정수석에 보고…검찰이 수사 안해">(조선, 5면)

 

조선일보는 5면 기사에서 민주당이 "검찰의 청목회 수사 확대에 대해 '대포폰 의혹'과 관련된 추가 폭로로 '맞불'을 놓았다"면서 이석현 의원의 의혹제기를 간단하게 보도한 뒤, 한나라당 안형환 대변인이 "이 의원 주장은 허위이거나 검찰이 이미 조사한 내용"이라고 반박했다는 사실을 덧붙였다. 정치인들 외의 언론‧예술‧연예계 민간사찰 의혹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靑이 직접 정세균-정두언 부인-검성호 전 국정원장 사찰">(동아, 2면)

 

동아일보는 조선일보 보다는 크게 다뤘으나, 역시 '민주당의 맞불 공세'로 접근했다.

 

기사는 민주당이 "대정부 공세 수위를 높여갔다"면서 "검찰의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 입법로비 의혹 수사에 '맞불'을 놓기 위한 포석으로 분석된다"고 시작했다. 이어 "'대포폰'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했던 민주당 이석현 의원이 또다시 '저격수'로 나섰다", "그는 예결위원이 아니지만 '대타'로 이날 예결위에 참석했다"고 정략적 의도가 있음을 강조했다.

 

기사는 이창화 행정관의 정치인 사찰 의혹 부분만 언급하고, 언론계‧연예계 등 민간사찰이 광범위하게 벌어졌다는 의혹 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청와대 관계자의 반박과 여야의 공방을 덧붙였다.

 

 

<"청와대가 김성호 전 국장원장 등 직접 사찰">(중앙, 4면)

 

중앙일보는 4면 하단에 2단 기사로 이석현 의원의 의혹제기를 짧게 전한 뒤, 익명의 청와대 관계자들의 반박 발언을 덧붙였다.

덧붙이는 글 | 원문은 민언련 홈페이지(www.ccdm.or.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불법사찰, #김성호, #정세균, #이석현, #청와대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